전시회

[오승익 개인전 ㅡ 그 자리, 한라산] 02

드무2 2025. 2. 6. 06:58
728x90

[오승익 개인전 ㅡ 그 자리, 한라산] 02

 

 

 

 

 

 

한라산 가는 길 _ 너븐팡

259.1 × 193.9㎝

Mixed Media + acrylic

2012

 

 

 

 

 

 

한라산 흔적

_ 서귀포 겨울 한라산

162.2 × 112.1㎝

Mixed Media + acrylic

2012

 

 

 

 

 

 

 

 

 

한라산 흔적 _ 바닷길

145 × 115.5㎝

Mixed Media + acrylic

2019

 

 

 

 

 

 

 

 

 

 

 

 

 

 

 

한라산 흔적 _ 그날 기억 02

53 × 41㎝

Mixed Media + acrylic

2023

 

 

 

 

 

 

그 자리, 한라산

_ 여름 한라산

53 × 45.5㎝

Mixed Media + acrylic

2025

 

 

 

 

 

 

그 자리, 한라산

_ 한라산 바라보기

53 × 45.5㎝

Mixed Media + acrylic

2025

 

 

 

 

 

 

한라산 흔적 _ 오후 6시

60.6 × 45.5㎝

Mixed Media + acrylic

2023

 

 

 

 

 

 

한라산 흔적

_ 서귀포 겨울 한라산

53 × 41㎝

Mixed Media + acrylic

2023

 

 

 

 

 

 

 

 

 

 

 

 

 

 

 

 

 

 

혼저옵서예

한라산 흔적展

다시 만난 제주 청년, 화가 오승익

 

 

 

https://youtu.be/eIhEGU-UpW8

 

 

 

 

 

 

 

그 자리, 한라산

_ 붉은 한라산 01

41 × 27㎝

Mixed Media + acrylic

2024

 

 

 

 

 

 

한라산 흔적 _ 기억하기

45.5 × 33.4㎝

Mixed Media + acrylic

2022

 

 

 

 

 

 

그 자리, 한라산 _ 붉은 기억

33.4 × 45.5㎝

Mixed Media + acrylic

2024

 

 

 

 

 

 

한라산 흔적 _ 그날 기억 03

33.4 × 53㎝

Mixed Media + acrylic

2023

 

 

 

 

 

 

 

 

 

 

 

 

 

 

 

 

 

 

 

 

 

 

 

 

 

 

 

 

 

 

 

그 자리, 漢拏山 (한라산)

 

나의 그림 주제는 한라산의 흔적이다. 그리고 제주인의 흔적, 제주도 중산간 지역의 아픔과 희망이 흔적이 담긴 한라산을 고집스럽게 오랫동안 그리고 잇다. 묵묵히 나를 지켜주고 치유과 위로 해주는 한라산, 없어져 버린 마을 대신 묘지가 있는 그 자리, '그 자리 한라산' 을 마음에서 나오는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해 본다.

 

인간은 삶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내적 또는 외적으로 삶의 흔적을 누구나 가지고 있다. 다만 사람에 따라 각기 그 흔적의 크기나 짙은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나의 40대 중반 시절부터 한라산 흔적을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제주 사람들에게는 각기 다른 아픔과 상처가 가슴에 한으로 남아있으며, 그 이야기 중에는 항상 공통으로 한라산이 등장한다. 그리고 나의 가족, 친인척 중에도 제주인의 아픔과 상처를 가지고 잇으면서 그들은 한라산에 대해 이야기하곤 했다. 한라산은 제주가 겪은 다양한 역사의 흔적을 품고 있어 제주인에게는 특별한 존재이다. 늘 그랬듯이 한편에 서서 기억, 희망, 애정, 4 · 3의 아픔과 같은 제주인의 생애를 묵묵히 지켜보며 모든 것을 품어오고 있다. 나는 이런 한라산으로부터 위안과 고마움을 느끼고 심지어 이를 같아야 할 책임을 느꼈을 지 모른다. 아픔과 흔적이 남아있는 그 자리에서 본 한라산은 지금 나의 흔적을 표현하는 대상이 되었고 본 전시에서 '그 자리 한라산' 이라는 주제로 '한라산 가는 길', '그날 기억', '5월 아침 7시', '10월 오후 6시' 등의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오승익 Oh Seung eik

 

Eㅡmail.  osi0629@naver.com

Atelier.  제주도 제주시 구산로4길 55

 

초청개인전

2001 제주도문예진흥원 초청개인전 「오승익 토르소 ㅡ 흔적전」. 문예회관 제1전시실

2012 현대미술관 초청개인전 「오승익 흔적 ㅡ 한라산 전」. 제주현대미술관

2024 제주도문예진흥원 초청개인전 「제주청년 오승익 _ 한라산 흔적」. 문예회관 제3전시실

2025 제주갤러리 선정 오승익 개인전 「그 자리, 한라산」, 제주갤러리 _ 인사이트센타B1

 

경력

제주대학교 미술교육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

 

전 제주도립미술관 운영위원, 이중섭 탄생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이중섭미술관 운영위원,

     한국미협 서양화 1분과 이사, 전국체전 미술 영상 감독

현 한국미협, 제주미협, 산남회, 시상작가회, 기당미술관 운영위원, 제주대학교 미술학과 강사,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 풍경수채화 강사

 

최근 전시

 

2024

갑진동행전, 지오갤러리

봄의 향연 작은 그림과 조형전. 갤러리 찔레

한국미협제주도지회전, 문예회관 전시실

IOAF 국제해양예술제. 갤러리 ED

제51회 백록담전. 애플갤러리

탐라만상전. 갤러리 ED

제주전업작가전, 문예회관 전시실

서귀포미협 초대전, 기당미술관

제주청년작가전 30회 기념 기획총청전. 문예회관 제3전시실

2024 아트페스타인 제주. 산지천갤러리

제28회 제주미술제.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댈러리

 

2023

한우영 갤러리 초대전. 한우영 갤러리

제1회 애향탐라교류전. 여수전남문예회관

제50회 백록담전. 델몬드갤러리

한국미협제주도지회전. 문예회관 전시실

IOAF 국제해양예술제,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제27회 제주미술제 "융, 섬의 연대기". 산지천갤러리

한국 인도 수교 50주년 기념 국제미술교류전. 문예회관전시실

부산국제아트페어. 백스코

 

2022

한국미협제주도지회전, 문예회관 전시실

제49회 백록담전 문예회관 전시실

제주대학교 개교70주면 기념 국제교류전. 이아전시실

IOAF 국제해양예술제. 돌담갤러리

제26회 제주미술제. 제주갤러리 _ 인사이트센터B1

인도 Inko Centre 전시

인도 뭄바이비엔날레. Sir J. J. School of Art 특별 전시실

부산 국제아트페어. 백스코

 

2021

한국미협제주도지회전, 문예회관 전시실

IOAF 국제해양예술제. 까페지오

김택화와 제자들전, 김택화미술관

부산국제아트페어. 백스코

 

2020

한국미협제주도지회전, 문예회관 전시실

2020추자섬 예술기지프로젝트 후풍갤러리초대전, 후풍갤러리

IOAF 국제해양예술제. 문예회관전시실

제주미술제 ㅡ 제주동인, 제주도립미술관

한국미협제주도지회. 문예회관 전시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