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9 ㅡ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9 ㅡ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1. 스쿼트 (Squirt) 현상
수구에 회전을 주고 칠 때 수구가 똑바로 진행하지 않고 회전을 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휘어져서 진행하는 현상을 스쿼트라고 한다.
스쿼트는 회전을 많이 줄수록,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수록, 세게 칠수록, 하단 당점을 줄수록 많이 발생한다.
스쿼트 현상은 특히 회전을 많이 주는 경우에 심하게 발생하므로 회전을 많이 주어야 하는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대부분의 샷에서는 3 팁 (옆단)보다는 2 팁 (1 시 30 분, 10 시 30 분 3 팁, 일명 '대각선 팁') 정도를 주는 것이 좋다. 프로선수들의 경기를 보면 대부분 2 팁을 주고 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점 ● 설명
● 바깥돌리기의 경우에는 특히 스쿼트 현상에 유의하여야 한다. 위 배치 ①의 경우와 같이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고 속도를 빠르게 쳐야 하는 배치에서는 스쿼트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 이러한 상황에서는 생각보다 더 두껍게 1 적구를 겨냥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5 / 8 두께로 맞추기 위해서는 6 / 8 두께로 겨냥하여야 한다. 5 / 8 두께로 겨냥하면 스쿼트 현상으로 인하여 얇게 맞아서 도형 ②의 경로로 빠지게 된다.
2. 커브 (Curve) 현상
커브 현상은 스쿼트 현상과는 반대로 회전을 준 방향으로 수구가 약간 휘어져서 진행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먼 앞돌리기의 경우 커브 현상으로 인하여 의외로 1 적구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일명 백차).
따라서 먼 앞돌리기의 경우에는 가급적 회전을 억제하고 생각보다 조금 두껍게 맞추는 것이 좋다 (아래 도형).
프로선수의 경기를 보면 대부분 극단적인 당점사용이나 강한 샷을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