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동물원] 07
서울대공원식물원
서울대공원식물원 종합안내
서울대공원식물원은 1985년 5월 1일 개원하여 2015년 6월 "수목원 ·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서울시 최초의 '공립수목원'으로 지정되었다. 식물원은 '전시온실', '식물주제원', '식물표본전시관', '재배온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관련 전시 · 수집 · 연구 · 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전시온실은 '사막관', '열대1관', '열대2관', '온대관'으로 구분되어 세계 각 기후대의 900여 종의 식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야외 식물주제원은 '초화원'과 '수국원'으로 계절별로 화려한 꽃을 만날 수 있다.
식물표본전시관에는 다양한 식물표본이 수집 · 전시되어 깊이 있는 식물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고양이 ㅡ 혹시 먹을 거를 안주시나?
Cafe UNG GA BI
제3아프리카관
제3아프리카관
치타의 발톱이 항상 나와 있는 이유는 뭘까요?
초원 위의 스피드 왕이라 불릴 정도로 치타는 빠른 속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고속력이 120km/h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치타에게는 빠른 방향전환이 필요한데 발톱이 없으면 빠른 방향전환이 어렵기 때문에 발톱이 항상 나와 있는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사자는 왜 코끼리 똥을 좋아할까요?
사자가 고약한 냄새를 좋아하는 것은 아닙니다.
코끼리 똥의 여러가지 냄새 중에 흥분을 일으키는 성분때문에 좋아하는 것이지요.
코끼리 똥의 대부분은 풀과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어 육식성인 사자에게는 코끼리 똥으로 부족한 섬유질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사자
사자의 무리
대부분의 사자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이 무리를 프라이드(pride)라고 부릅니다.
프라이드는 성숙한 수컷, 여러 마리의 암컷, 자손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컷은 어미, 자매, 사촌 등 혈연관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슈퍼 프라이드는 프라이드 중 가장 큰 프라이드를 말하며, 30마리 정도가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리의 유대관계는 강하고 낯선 개체를 잘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무리 내 사자들의 행동이 전염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데, 하품, 털 고르기, 포효 등의 행동을 하면 다른 사자들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사자의 사냥
무리의 암사자들은 함께 사냥을 하여 사냥의 성공률을 높이고 부상의 위험을 낮춥니다.
사냥하는 동안 작은 암사자들이 그룹의 중앙에서 먹이를 쫓고, 크고 무거운 암사자들이 매복했다가 습격하거나 먹이를 잡습니다. 암사자들의 역할을 사냥감의 종류와 그날의 상황에 따라 바뀝니다.
사자의 성장
야생의 암사자는 4살이 되어야 짝짓기를 할 수 있으며, 수사자는 5 ~ 8살이 되어야 짝짓기를 합니다.
사육상태에서는 짝짓기가 가능한 시기가 좀 더 빨라집니다. 암컷은 1년 1회 이상 발정하며, 새끼는 성숙한 사자 체중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은 크기로 태어납니다.
암컷들은 함께 새끼를 키우며 자신의 새끼뿐 아니라 다른 암컷의 새끼에게도 젖을 먹입니다.
새끼의 사망률은 높아 2세가 되기 전에 80%가 사망합니다.
사자의 사랑
사자의 무리 내에서는 수사자의 서열이 뚜럿하여 암사자를 차지하기 위해 매번 싸울 필요가 없습니다.
암사자가 짝짓기할 수 있는 2일에서 5일 동안에 300번 이상 짝짓기를 합니다. 사자는 짝짓기를 하기 전에 서로 머리와 뺨을 비비고 혀로 핥아줍니다.
낮게 그르렁대는 소리를 내 구애 행동을 하며, 며칠 동안은 둘만의 시간을 보냅니다.
사자 Lion
식육목 고양이과 (Carnivora Felidae)
서식지 | 먹이 | 크기 | 분포 |
초원, 사막 | 대부분 50 ~ 500kg의 포유류 | 70 ~ 92cm | 사하라 남부, 남아프리카, 인도 북서부 |
우리는 이 프라이드를 먹여살리는 암사자야.
나는 프라이드를 지키는 수사자야!
잘 생기고 힘이 센 수사자만이 프라이드를 이끌 수 있지.
암사자와 수사자의 역할
암사자와 수사자는 무리 내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합니다.
암사자는 함께 사냥하고 새끼들을 키웁니다. 암사자는 수사자보다 더 작고 가벼워 더 민첩하고 빠릅니다. 암사자들이 모든 일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수사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무리의 완전히 성숙한 수사자 1마리가 우두머리 역할을 합니다.
자신의 영역을 돌아보며 소변으로 영역 표시를 하고, 포효를 하며 영역을 알리고 침입자에게 경고합니다.
포효는 8km까지 전달되며, 영역 표시는 3 ~ 4주 정도 유지된다고 합니다.
동물의 왕, 사자
사자는 그 힘과 먹이 사냥의 습성으로 인해 동물의 왕으로 불리곤 합니다.
고양이과 동물 중에 유일하게 무리를 지어 살며, 1 ~ 3마리의 수컷과 여러 마리의 암컷, 그 자손이 무리를 이룹니다.
사자는 아프리카에만 있나요?
우리에게 익숙한 아프리카 사자 외에, 인도에도 사자가 있습니다.
아시아 사자 또는 인도 사자라고 불리는 이 사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야생에 약 350마리 정도만 살고 있다고 합니다.
치타 Cheetah
식육목 고양이과 (Carnivora Felidae)
서식지 | 먹이 | 분포 |
열대 다우림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경 | 40kg 이하의 유체류 |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
가장 빠른 동물, 치타
치타는 육지에서 가장 빠른 동물로, 달리기 시작해서 2초 만에 시속 72km, 3초 만에 시속 96km의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오래 달리지는 못합니다.
치타의 사냥
치타는 사자, 하이에나, 표범이 쉬고 있는 아침과 낮에 사냥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블레스북, 스프링북, 톰슨가젤, 임팔라, 어린 영양, 토끼 등을 사냥합니다. 사냥한 먹이를 가끔 사자, 하이에나, 표범에게 빼앗기기도 합니다. 후각보다는 시각에 의존하여 사냥합니다.
차타의 사회생활
수컷 치타는 자신의 영역을 가지지만 사교적으로 수컷연합(coalition)을
만들어 생활합니다. 수컷연합은 이유 후에 같이 머물게 된
한 배에서 태어난 형제로 이루어집니다.
한 배 새끼 중 수컷이 혼자일 경우 2 ~3마리의 혼자인 수컷이
작은 그룹을 형성하거나 다른 그룹에 합류합니다.
암컷 치타는 영역을 가지지 않으며 단독 생활을 하거나 새끼들과 생활합니다.
치타의 번식
치타는 생후 2살 정도가 되면 짝짓기를 할 수 있습니다. 발정기의 암컷은 숲 속, 나무 밑동, 바위 등에 소변을 뿌리고 다니며 이것을 발견한 수컷은 울음소리를 내며 뒤를 쫓습니다.
수컷에게는 서열이 있어 대개의 경우 우위에 있는 수컷만이 짝짓기를 합니다.일정한 번식기가 없이 어느 달이든 번식하며 한 번에 1 ~ 8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5 ~ 6주가 지나면 새끼들은 어미 뒤를 따라다닐 수 있게 되고, 어미가 사냥한 먹이를 직접 먹을 수 있게 됩니다.
멸종 위기의 치타
치타의 활동 범위는 넓어서, 현재 야생 치타
서식지의 77%가 공원이나 보호 구역의 밖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인간이 그 지역을
이용하면서 치타의 활동 공간은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새끼 치타의 밀수입도 치타를 멸종 위기에
처하게 하고 있습니다.
야생 치타는 현재 7,100마리 정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치타와 표범
치타는 대체로 표범보다 훨씬 작습니다.
치타의 무늬는 반점이고 표범의 무늬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입니다.
치타의 얼굴에는 특징적으로 눈에서부터 입 가까이까지 검은 줄무늬가 있는데, 이것은 낮에 사냥할 때 빛 반사를 줄여 줍니다.
표범 무늬
치타 무늬
일런드
Common Eland
▣ 암수를 구별해 보아요!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크고 목 부분에 갈기 같은 긴 털이 나 있어요. 암수 모두 뿔이 있지만 수컷의 뿔이 약 2배 정도 더 길어요.
▣ 물을 안 먹고도 잘 견뎌요!
물이 없는 건기에도 먹이에 포함된 물만 섭취하며 잘 견딜 수 있어요. 목 주위의 피부가 늘어져 있는데, 이것은 더운 낮에 체표면을 늘려 몸을 시원하게 해 주는 작용을 해요.
▣ 여러 유형의 서식지에 잘 적응해요!
일런드는 여러 가지 환경에 잘 적응해서 넓은 지역에 걸쳐 퍼져 살아요. 반사막이나, 아카시아 나무가 있는 초원, 산 등에 모두 살 수 있어요.
▣ 학명 : Taurotragus oryx
▣ 분류 : 우제목 소과
▣ 분포 : 아프리카
▣ 사는 곳 : 여러 곳
(반사막, 사바나, 미옴보숲, 산악)
▣ 먹이 : 초식(나뭇잎, 풀, 과일 등)
▣ 멸종위기등급
ㅡ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 멸종 비위협
미옴보 나무 숲의
세이블앤틸롭
Sable Antelope
▣ 미옴보(miombo, Brachystegia 속) 나무 숲에서 살아요!
세이블앤틸롭은 주로 아프리카의 특이한 나무인 미옴보 나무 숲에 살아요. 미옴보 나무는 낙엽이 지는 나무인데 아프리카는 춥지 않지만 비가 내리지 않는 건조 시기가 있어서 그 시기를 견디기 위하여 모든 잎을 떨어 뜨려요.
그리고 우리가 시작되면 다시 많은 잎을 싹틔워요.
▣ 수컷과 암컷을 찾아보아요!
세 살까지는 암수가 외형을 거의 구분할 수 없지만, 그 이후가 되면 수컷이 몸집이나 뿔 크기가 더 커지고 털색이 짙어져요. 수컷이 뿔이 더 많이 굽고 길며, 키가 크고, 짙은 털색을 가졌어요.
▣ 학명 : Hippotragus niger
▣ 분류 : 우제목 소과
▣ 분포 : 아프리카
▣ 사는 곳 : 사바나 숲
▣ 먹이 : 초식(땅 위의 풀, 잎)
▣ 번식 : 한 배 1마리
▣ 멸종위기등급
ㅡ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 멸종 비위협
ㅡ 아종인 Giant Sable Antelope (H. n. variani) : CITES I
비단공(권력을 상징)을 밟고 있는 숫사자
사자상 | 獅子像
Lion Status
사자상
사자상은 서울특별시와 중국 베이징시간 친선도시 결연 15주년(2008. 10. 23)을 기념하여 베이징시에서 직접 제작 기증한 것으로 위엄, 고귀함, 상서로움을 상징하며, 중국 자금성 태화전 앞에 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졌다. 오른쪽은 숫사자, 왼쪽은 암사자이며, 숫사자 오른발의 비단공은 권력을 상징하고 암사자 왼발의 새끼 사자는 자손의 번성을 의미한다.
왼발로 새끼 사자(자손의 번성을 의미)를 밟고 있는 암사자
새끼 사자
바바리양
우제목 소과(Artiodactyla Bovidae)
Barbary Sheep
바바리양 들여다보기
● 어깨높이 : 80 ~ 100cm
● 몸길이 : 130 ~ 165cm
● 몸무게 : 40 ~ 140kg
● 한배 새끼수 : 1마리
● 임신기간 : 160일
● 천적 : 표범, 카라칼
● 몸색 : 나이들면서 점점 진해짐
척박한 환경도 문제 없어!
흰 오릭스와 마찬가지로 건조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바바리양도 먹이를 통해서 수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물이 없는 환경에서도 잘 살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물을 전혀 마시지 않는 것은 아니고, 물이 있으면 마시기도 하고 물 속에서 뒹굴면서 놀기도 합니다.
북아메리카에도 산다고?
원래는 아프리카 북부의 건조한 바위산에서 서식했지만 1950년대 사람들의 사냥을 위해 미국 텍사스주와 스페인 남부에 유입되었습니다.
지금은 현재 서식지에 적응해 서식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반면, 원 서식지인 북아프리카에서는 수가 점점 줄어들어 IUCN 멸종 등급 취약종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제2아프리카관
아프리카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은 누구일까요?
아프리카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사자, 표범 등 많은 육식동물이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육식동물에 맞서 싸워 이길 수 있는 초식동물이 하마라고 합니다. 보기와는 달리 공격성이 있기 때문에 사람이 하마에게 물려 죽는 사고가 가장 자주 일어납니다.
돌산양
돌산양은 높은 산의 능선이나 목초지, 가파른 경사면 등에서 서식하는 초식동물로 다양한 식물들을 먹고, 겨울에는 풀이나 사초과의 식물 등을 먹습니다.
늙을수록 뿔이 더 커지는 돌산양 수컷의 뿔은 크고 비틀려 있고, 암컷의 뿔은 그보다 더 짧고 가늘게 비틀려 있습니다.
바바리양들의 하루일과
I . 일광욕하기
돌산에서 동상처럼 가만히 있는 바바리양들!
사실 옹기종기 모여 앉아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거랍니다.
돌산양
우제목 소과(Artiodactyla Bovidae)
Thinhorn sheep
돌산양 들여다보기
● 어깨높이 : 90cm
● 몸길이 : 120 ~ 155cm
● 몸무게 : 90 ~ 120kg
● 수명 : 10 ~ 15년
● 임신기간 : 175일
● 한배 새끼수 : 1마리
뿔이 달라요
돌산양의 뿔은 일생동안 자랍니다.
수컷의 뿔은 크고 비틀려 있으며, 나선형으로 자라는데, 뿔이 한 바퀴가 돌게 되면 최소 8살이 넘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암컷의 뿔은 더 짧고 가늘며 약간 비틀려 있습니다.
돌산양 수컷들의 서열은 뿔의 크기에 따라 정해집니다.
내 짝은 내가 지킨다!
수컷은 혀를 길게 빼고 낮게 몸을 뻗친 자세로 암컷에게 구애하고 앞발로 암컷을 쳐서 교미를 유도합니다.
교미를 한 후에는 2 ~ 3일 동안 수컷이 교미한 암컷을 호위합니다.
다 함께 키워요.
돌산양은 잘 발달된 보육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미는 암컷과 새끼, 미성숙한 수컷 새끼들과 보육무리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보육무리는 두 마리 정도의 암컷이 새끼를 돌보고 나머지 암컷들은 먹이를 먹는 체계로 돌아갑니다.
수컷들은 따로 무리를 이루고 번식기에만 암컷무리를 만납니다.
특별관리 중
선천적으로 다리를 저는 돌산양 양군이(♂)
사육사님들이 매일 건강 관리중
아주 건강한 상태예요!
흰오릭스
우제목 소과(Artiodactyla Bovidae)
Scimitar Oryx
흰오릭스 들여다보기
● 어깨높이 : 100cm
● 몸길이 : 140 ~ 240cm
● 몸무게 : 수컷 140 ~ 210kg, 암컷 91 ~ 140kg
● 수명 : 수컷 20년, 암컷 15년
● 임신기간 : 8 ~ 9개월
● 한배 새끼수 : 1마리
● 몸색 : 새끼는 노란색이지만 자라면 흰색에 가슴 주변은 적갈색을 띰
● 구애활동 : 암수가 원을 그리며 빙글빙글 돔
흰오릭스, 사라지다
흰오릭스는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사냥, 전쟁 등으로 감소했습니다. 2000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공식적으로 흰오릭스가 야생에서 멸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흰오릭스, 야생으로 돌아가자!
다행히도 현재 국제적인 번식프로그램(captive - breeding program)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모로코, 세네갈, 튀니지 보호구역에서 번식하여 1985년 처음 튀니지의 국립공원에 방사되었습니다. 이후 꾸준히 야생으로 방사된 개체수가 점차 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이런 노력으로 조만간 IUCN 멸종위기 등급이 '야생에서 멸종'에서 '멸종위기'로 내려갈 수 있을 것입니다.
돌산양과 흰오릭스
같은 먹이를 먹고, 서로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2종이 함께 살고 있어요.
하마의 긍정강화훈련
하마는 덩치가 크고 위험한 동물이기 때문에 사람도, 하마도 안전하게 건강하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꾸준히 훈련을 해요.
긍정강화훈련이란?
동물들이 좋아하는 먹이, 칭찬, 놀이 등을 활용하여 사육사가 원하는 행동을 했을 때 보상해주는 훈련.
체벌 No! 오로지 긍정적인 보상으로만 진행하는 훈련!!
하마들의 훈련 List
'벌려' 훈련으로 구강관리
'자리' 훈련으로 사육사 안전거리 확보
'타겟' 훈련으로 이동해 체중측정
'기다려' 훈련으로 상처치료
제2아프리카관
하마의 몸에서 나는 붉은 분비물은 땀일까요?
하마의 몸에서 땀처럼 나오는 붉은 분비물은 혈액도 아니고 땀도 아닙니다. 이 붉은 분비물은 물속 또는 건조한 대기에서 오랜 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하마의 피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유니콘의 정체는?
유니콘 전설은 뿔이 부러진 흰오릭스의 모습에서 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흰오릭스의 뿔은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가늘고 긴 뿔이 다른 오릭스와는 달리 뒤쪽으로 휘어져 있습니다. 암수 모두 뿔이 1 ~ 1.2m까지 자라는데, 뿔이 매우 가늘어 쉽게 부러집니다.
하마
우제목 하마과(Artiodactyla Hippopotamidae)
Hippopotamus
누가누가 입이 큰가?
사람들은 45도까지만 입을 벌릴 수 있지만 하마의 턱은 경첩처럼 맞물려 있어 180도 가까이 벌릴 수 있습니다.
피그미 하마도 그 보다는 작지만 크게 벌릴 수 있습니다. 그 밖에 고래, 뱀, 악어, 펠리컨 등도 입을 크게 벌릴 수 있는 동물입니다.
땅 짚고 헤엄치기
물 속에서 생활하는 하마는 사실 수영도 못하고 물에 잘 뜨지 못하는 동물입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하마를 볼 수 없습니다. 하마는 발로 물 속의 바닥을 짚고 겅중겅중 뜀뛰기 하듯 이동합니다.
빙산의 일각?
물 밖에서 보면 하마의 머리 일부분만 보이지만, 빙산의 일각처럼 거대한 몸집의 일부분만 물 밖에 나와 있습니다.
하마의 무리짓기
세력권을 가진 수컷은 약 250m의 강을 차지하고 5 ~30마리의 암컷과 새끼들을 거느리며 영역을 지킵니다.
새끼를 보호하려는 암컷과 영역을 지키려는 수컷이 다른 동물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 속에서는 여럿이 모여 있지만 물 밖에서는 홀로 먹이를 찾으며, 육지에서는 영역성을 보이지 않습니다.
하마
우제목 하마과(Artiodactyla Hippopotamus)
Hippopotamus
Hippopotamus amphibius
하마 들여다보기
● 어깨높이 : 150 ~ 165cm
● 몸길이: 300 ~ 505cm
● 몸무게 : 수컷 1,500kg / 암컷1,360kg
● 수명 : 40 ~ 50년
● 임신기간 : 8개월
● 한배 새끼수 : 1마리
● 갓난 새끼 무게 : 25 ~ 50kg
하마의 이름
'하마'의 뜻은 강의 말(河馬)입니다.
영명 hippopotamus[hippos(말) + potamos(강)]도 강 속의 말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왔다고 합니다.
아시아 사람이나 유럽 사람이나 하마를 강 속에 있는 말이라 생각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마는 '말(기제목)'이 아닌 '소'와 가까운 우제목 동물입니다.
가장 무거운 우제목 동물
코끼리-코뿔소(그 중 흰코뿔소, 인도코뿔소) 다음으로 큰 육상 포유류이며, 현존하는 우제목 중 가장 무거운 동물입니다.
사라지고 있어요.
현재 125,000 ~ 150,000마리가 남아 있으며 서식지 파괴, 고기와 엄니를 노린 불법 밀렵으로 개체수가 줄고 있습니다. 하마의 이빨은 관광객에게 코끼리의 상아라고 속여서 팝니다.
하마 Hippopotamus
● 소목 하마과
● 수명 : 40 ~ 50년 이상
● 사는 곳 : 우간다, 콩고 등 아프리카 전지역
하천, 호수, 늪지대에 산다.
낮에는 물 속에서 쉬고 밤에는 땅으로 올라와 풀을 뜯어 먹는다.
● 몸길이 : 2.8 ~ 5.4m
● 체고 : 1.3 ~ 1.65m
● 피부에는 붉고 끈적이는 소금기 있는 분비물이 나와 햇빛으로부터 피부보호와 함께 체온조절도 합니다.
● 먹는 것 : 풀, 과일, 나뭇잎 등
하루에 25 ~ 40kg
● 체중 : 510 ~ 4500kg
● 임신기간은 약 8개월이며 새끼는 1마리를 출산하고 물 속에서 젖을 준다.
● 모계 중심의 사회이며 무리 생활을 한다.
● 배변습관 : 오줌과 변을 섞어서 물 속에서 흩뿌린다.
● 하마는 얼마나 무거울까요?
하마의 평균 체중은 수컷 1500 ~ 1800kg, 암컷 1300 ~ 1500kg이에요.
● 하마의 몸무게는 왜 재는 건가요?
하마가 적정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주기 위해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하고, 그에 맞게 먹이량을 조절하고 있어요.
● 덩치 큰 하마의 체중을 어떻게 측정하나요?
좋아하는 먹이를 이용한 긍정강화훈련[Positive reinforcement training]으로 새로운 물체에 대한 경계심을 줄여주고, 하마의 움직임을 유도해서 사육사도, 하마도 안전하게 체중을 잴 수 있어요,
1. 체중계에 대한 좋은 기억을 심어주기 위해 체중계 위에 좋아하는 먹이를 줘요.
2. "타겟" 인지훈련을 통해 하마의 움직임을 체중계 쪽으로 유도해요.
서울동물원 하마들의 체중은 얼마일까요?
개체명 | 하순(♀) 1980년생 | 은순(♀) 2008년생 | 옥자(♀) 2017년생 | 여름(♀) 2018년생 |
체중(kg) | 1640 | 1427 | 819 | 703 |
하마
우제목 하마과 (Artiodactyla Hippopotamidae)
Hippopotamus
Hippopotamus amphibius
▣ 하마와 피그미하마, 무엇이 다를까 ▣
새끼 하마가 아니에요
하마과에는 하마와 피그미하마, 두 종만 있습니다. 하마처럼 피그미하마도 피부의 습기를 유지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물 가까이에서 삽니다. 하지만 피그미하마는 하마보다 땅위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하마는 물갈퀴가 있고 피그미하마는 새끼를 땅위에서 낳고, 하마는 물 속에서 낳습니다. 하마는 무리를 지어 살지만, 피그미하마는 단독으로 생활합니다.
피그미하마 Vs. 하마
<무게 비교>
피그미하마의 몸무게는 180 ~ 275㎏ 정도지만, 하마는 평균 1,360 ~ 1,500㎏ 정도 됩니다.
하마가 피그미하마보다 약 6배 가량 무겁습니다.
<크기 비교>
피그미하마는 하마의 절반 정도 됩니다.
하마와 가장 가까운 동물은?
하마와 가장 가까운 동물은 돼지도 아니고 듀공도 아닌, 고래입니다. 고래와 하마는 6천만 년 전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지금의 하마와 고래가 되었습니다.
사육사 노트
Keeper's Note
피그미하마와 하마 비교해보아요.
* 새끼 하마? NO!!
다 성장한 성체 피그미하마예요.
*피그미하마는 삼림지대에 숨어사는 종이기 때문에 시끄러운 소리가 나면 스트레스를 받고 조용한 곳을 찾아 도망가요.
* 피그미하마의 스트레스해소를 위해 방사장 2곳을 연결하여 있고 싶은 곳을 선택할 수 있게 했어요.
큰 방사장 작은방사장
· 잠을 잘 때 · 건초를 먹을 때
· 수영할 때 ↔ · 진흙 목욕을 할 때
· 과채를 먹을 때 · 훈련을 할 때
관람 Point!
· 피그미하마와 하마의 생김새를 비교해 보세요.
피그미하마(꼬마하마)
나몽이를 소개합니다!
· 이름 : 나몽(♀) a. k. a 줄리
"줄리"라는 이름은 영국(콜체스터) 돌물원에서의 이름이에요.
사육사님들이 훈련할 때 줄리라고 불러요.
· 생년월일 : 2012. 09. 06
"예인보스" 나몽
열대우림 숲 속에서 숨어지내는 동물이라서 작은 소리에도 깜짝! 잘 놀라요.
사람이 많고 시끄러우면 물 속으로 숨어요.
좋아하는 것
새로운 장난감을 제공하면 활발하게 가지고 놀아요.
나몽이의 하루 일과 ♥
· 휴식
야행성이라 낮 시간엔 잠을 많이 자요.
● 긍정적 강화훈련
- 나몽이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진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을 대비해요.
- 시육사가 들어와 나몽이를 부르면 훈련 시간일 수 있어요.
● 행동풍부화
- 방사장 곳곳에 먹이를 숨기거나 장난감 안에 먹이를 넣어 제공하면 스스로 찾아 먹어요.
피그미하마
오해와 진실
① 새끼하마인가요?
ㅡ 아니에요~!
하마와는 엄연히 다른 종
② 세계 4대 희귀동물인가요?
ㅡ 맞습니다~!
전세계에 약 3,000마리 정도만 남아있어요!
③ 혼자 외롭지 않을까요?
ㅡ 단독생활을 즐겨요~!
수컷은 번식기에만 만나요~!
소리를 지르면 속상해요.
- 나몽 -
피그미하마(꼬마하마)
우제목 하마과 (Cetartiodactyla Hippopotamidae)
Pigmy Hippopotamus
Choeropsis liberieusis
피그미하마 들여다보기
● 어깨높이 : 75 ~ 100㎝
● 몸길이 : 150 ~ 175㎝
● 몸무게 : 180 ~ 275㎏
● 수명 : 사육 시 30 ~ 55년
(야생에서는 확인된 바 없음)
● 임신기간 : 190 ~ 210일
● 한배 새끼수 : 1마리
● 발가락 : 앞뒤로 4개씩
피그미하마의 생활
낮에는 주로 물 속에 숨어 있다 해질녘 물 밖으로 나와 먹이를 찾는 야행성 동물입니다.
하마처럼 배설하면서 꼬리를 격하게 흔들어 자신의 영역에 배설물을 흩뿌립니다.
위기에 처한 피그미하마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하면 야생 개체수는 3,000마리 이하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림이 농지로 바뀌면서 서식지가 줄어들고, 고기를 얻기 위한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습니다.
외롭지 않아요
피그미하마는 단독으로 생활하는 동물입니다. 암컷과 수컷은 번식기에만 잠시 만났다가 다시 헤어집니다. 피그미하마가 홀로 있다고 외롭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신비스러운 동물
19세기에 아프리카 밖으로 피그미하마의 존재가 알려졌으며, 20세기초 동물원에서 사육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육상태에서 사육하기 시작했습니다. 시육상태에서 번식이 잘 되며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편이나 야생의 자료는 많지 않고 연구하기 어려운 동물입니다.
'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봉공원] 02 (0) | 2022.12.12 |
---|---|
[수봉공원] 01 (0) | 2022.12.07 |
[서울대공원 동물원] 06 (0) | 2022.07.15 |
[서울대공원 동물원] 05 (0) | 2022.07.13 |
[서울대공원 동물원] 04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