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백제 5

[백제 목간 (木簡)]

[백제 목간 (木簡)] ▲ 백제 지역에서 발견된 여러 가지 목간. / 국립부여박물관 '九〃八十一' 구구단 외우고, 논어 적으며 한문 익히기도 하급 관료가 문서 기록할 때 사용 물건 보낼 때 전표처럼 매달기도 우리 어법에 맞게 한문 띄어 썼죠 충남 국립부여박물관에서 30일까지 '백제 목간, 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 특별전이 열려요. '목간(木簡)' 은 붓으로 글씨를 쓰려고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뭇조각이에요. 종이가 귀하던 시절 비싼 종이 대신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나뭇조각에 글씨를 쓴 거예요. 목간은 옛날 사람들이 직접 붓으로 쓴 생생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커요. 백제에서 어떤 재미난 목간들이 발견됐는지 알아볼까요? 백제인의 손 글씨에서 찾은 한국식 한자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발견된 목간은 약 ..

[백제의 무늬벽돌]

[백제의 무늬벽돌] 1937년 무늬벽돌이 처음 발굴될 때 모습. 다른 데서 사용하던 벽돌을 재활용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 국립부여박물관 산수 · 연꽃 · 도깨비 무늬··· 모서리 홈을 연결해 붙였죠 길이 29㎝ 정사각형, 두께는 4㎝ '하늘 상징' 용 · 봉황엔 원 두르고 도교의 신선 세계도 표현했어요 국립부여박물관이 인천국제공항 탑승동 서쪽에 있는 인천공항박물관에서 '백제 명품, 백제 문양전' 특별전을 내년 3월까지 열어요. 이 전시에선 1937년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 절터에서 나온 무늬벽돌을 전시해요. 산수 (山水) · 연꽃 · 구름 · 봉황 · 용 · 도깨비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부여 외리 무늬벽돌은 1960년부터 2019년까지 해외에서 열린 한국 문화재 특별전에 22차례나 출품될 만큼 우..

[전북의 고대 성곽]

[전북의 고대 성곽] 전북 장수 합미산성의 돌로 쌓은 성벽. 둘레가 443m에 달합니다. / 국립익산박물관 백제 지방 통치의 거점··· 가야 · 신라와 접전 흔적도 남아 왕궁 있던 익산에 가장 많이 축조 섬징강 유역선 가야 · 신라 토기 나와 세 나라가 각축하던 모습 보여줘요 국립익산박물관에서는 전북 지역 성곽에서 출토된 유물 380점을 한자리에 모은 '전북의 고대 성곽 (城郭)' 특별전을 오는 5월 28일까지 열고 있어요. 전북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40개가 넘는 성곽이 발굴됐는데 조선시대에 쌓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백제 때 처음 만들어졌어요. 전북의 서부 지역은 넓은 곡창지대가 자리한 백제의 중요한 곳이고, 동부 지역은 섬진강 유역을 경계로 백제와 가야, 신라가 서로 치열하게 다투던 곳이라 이처럼 많은..

[백제의 소조상]

[백제의 소조상] 왼쪽은 부여 정림사지에서 발견된 소조상 중 3인상. 옷차림이나 자세에서 신분이 높은 사람을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른쪽은 정림사지에서 발견된 여러 형태의 소조상 조각들. 목탑 내부를 장식하던 것으로 추정돼요. / 국립부여박물관 흙으로 빚어 만들어··· 높이 95㎝ 불상 받침도 발견됐죠 나무 골조 만들어 사람 모양 등 제작 흰색 · 검은색 칠하고 금으로도 장식 멸망 후 유민들이 일본에 기술 전파 국립부여박물관에서는 이번 달 29일까지 '백제 기술, 흙에 담다' 특별전을 열어요. 이번 전시회에서는 '흙'이라는 재료에 주목하여 백제인의 흙 다루는 기술과 흙으로 만든 소조상 (塑造像)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죠. 그 기술과 예술성으로 주변 국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백제의 국력도 함께 느껴볼..

[풍납동토성과 몽촌토성]

[풍납동토성과 몽촌토성] ❶ 풍남동토성 전경. ❷ 몽촌토성 전경. 노란 점선 안쪽이 토성 내부를 가리켜요. ❸ 풍납동토성 성곽 바깥쪽에서 발견된 육각형 주거지. ❹ 풍납동토성에서 출토된 중국산(産) 청자. ❺ 한성 시기에 유행한 수막새 (목조 건축 지붕의 기왓골 끝에 사용되었던 기와)로, 기하학적 무늬가 돋보입니다. ❻ 풍납동토성에서 출토된 시유도기 (施釉陶器 · 유약을 표면에 인공으로 입힌 도기). 중국에서 수입한 것으로 보여요. 백제 첫 도읍인 위례성··· 2개의 王城 만들어 썼죠 먼저 만들어진 정궁 풍납동토성은 둘레 3.5㎞ 높이 11m의 거대한 성곽 4세기에 별궁인 몽촌토성 만들었죠 서울시 송파구에 자리한 한성백제박물관에서는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으로 '왕도 한성,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