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5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03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03 주막에서 엿들은 이야기 1910년대 한국인 헌병보조원이나 순사가 주막에서 엿들은 사람들의 대화를 모아 일본어로 번역한 염탐보고서이다. 예전에는 양반이면 돈이 없어도 곤란하지 않았으나 이제 와서는 양반이나 상민이나 똑같다. 일하지 않으면 살 수 없고 자제의 교육도 할 수 없다. 양반 신분도 지금에야 한 푼의 가치도 없다. 조선도 점차 개명하여 만사가 편리하게 된 것은 좋지만 모든 것을 규칙으로 강요하는 것은 곤란하다. 개를 잡거나 소를 잡는 것도 신고를 하고 세금을 내야하고, 또 도량형기도 반드시 관제품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일본 관헌의 말로는 조선인을 지도계발한다고 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지식을 계발하는 원천인 학교를 폐쇄하고 교과 같은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0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02 제국주의의 침략 일본은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1894년 청일전쟁과 1904년 러일전쟁을 일으켰다. 한국은 전쟁터가 되었고, 전쟁에 승리한 일본은 제국주의 국가들의 승인 아래 한국을 지배하였다. 한국인은 이에 맞서 저항하였다. 悉ク 殺戮 スべシ 모조리 살육할 것 일본 대본영 병참총감이 보낸 전보에서, 1894년 10월 27일 일본인이 그린 청일전쟁 판화 1894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은 군대를 파견해 조선의 왕궁과 서울을 먼저 장악하였다. 이 과정을 일본의 시각에서 그린 판화이다. 당시 전쟁 소식을 궁금해 하는 일본인을 위해 이와같은 판화가 많이 제작 판매되었다. 1904년 제물포역에서 출발해 서울 남대문역에 내린 일본군 정치 풍자화로 그려진 동아시아의 정세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01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01 역사관은 한국 현대사의 여정을 파노라마로 조명합니다. 전시는 민民이 주인임을 자각하고 근대적인 국가 만들기를 모색한 시기에서 출발하여 국민국가의 새로운 경계를 질문하게 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세 개의 시간대로 나누어 구성하였습니다. 1부 '자유, 평등, 독립을 꿈꾸며'는 1894년부터 1945년까지, 2부 '평화, 민주, 번영을 향하여'는 1945년부터 1987년까지, 그리고 3부 '나 ㅡ 대한민국 ㅡ 세계'는 1987년부터 현재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계사의 격랑 속에서 한국인들은 어떤 나라와 어떤 삶을 꿈꾸며 살아왔을까요? 여러분은 역사의 길을 걸으며 이 거대한 변동의 시간을 일궈온 평범한 사람들의 크고 작은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관 안내 1..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국립 근현대사 대표 박물관으로서 19세기 말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역사를 기록하여 후세에 전승하고, 국민들의 자긍심과 염원을 모아 미래의 희망을 이야기하는 역사문화공간입니다. [이용안내] 개관시간 오전 10시 ~ 오루 6시 휴관일 1월 1일, 설날 (당일), 추석 (당일) 관람료 무료 [전시 해설] 역사관 해설 일시 (월 ~ 금) 10 : 30, 13 : 30, 15 : 00 (토, 일) 11 : 00, 13 : 30, 15 : 00 소요시간 약 50분 소요 시작장소 1층 안내데스크 앞 주제별 해설 일시 (월 ~ 금) 14 : 00 문의 · 예약 02-3703-9249 단체 해설 문의 · 예약 m37039200@korea.kr 02-3..

광고, 세상을 향한 고백

광고, 세상을 향한 고백 전시를 열며 은 ‘광고’를 통해 한국근현대사를 깊이 있게 설명하는 ‘실감형 영상전시‘입니다. 네 벽면과 두 기둥에 프로젝터 영상을 투사하여, 대중의 열망과 소비문화의 변화과정을 한 편의 광고처럼 재현하였습니다. 광고는 대중의 소비문화를 비추는 거울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광고 속 언어와 이미지는 신문, 라디오, TV 등 언론매체를 이용하여 우리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상품의 소비를 자극합니다. 이에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광고와 대중소비문화의 변화를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되짚어보고자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공개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체험해보면서, 각 세대의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1부 광고합니다 ‘대중’, ‘상품’, ‘시대’라는 키워드로 광고에 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