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삼별초 2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8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8 삼별초와 항파두리성 제주도에 거점을 둔 삼별초는 김통정 金通精 장군을 중심으로 항파두리에 성을 쌓고 항전하였으나 1273년 (원종 14) 결국 여몽 연합군에 항복하였습니다. 원 元은 삼별초를 평정한 후 일본 원정에 대비히여 제주에 탐라총관부 耽羅摠管府를 설치하고 다루가치를 파견하여 감독하게 하였습니다. 최근의 발굴조사로 항파두리성의 내 · 외성 구조와 축성 築城 방식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 안에서 20여 기의 건물터가 확인되었고, 갑옷을 비롯하여 청자, 청동 그릇, 기와류 등을 발견하였습니다. 1. 고누놀이판 2. 청자 베개 3. 청자 여지무늬 대접 4 ~ 10. 연꽃무늬 수막새 11. 넝쿨무늬 암막새 12 ~ 15. 청자 꽃모양 접시 16. 청자 접..

여행/제주도 2023.10.26

[<2> 몽골제국과 한반도]

[ 몽골제국과 한반도] 13세기 세계 최강이었던 몽공 기병 몽골 울란바토르의 몽골국립박물관에 있는 몽골제국 전시 벽화. 13세기 몽골제국은 몽골 기병을 앞세워 정복 전쟁을 벌여 유라시아 지역을 장악했다. 몽골제국은 알렉산더제국에 비해 4배 이상 넓었다. 몽골은 1231년 고려를 침공했지만 고려는 몽골군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하며 28년 동안 항전했다. 1259년 고려 고종은 항복했지만 삼별초는 제주도에서 끝까지 몽골에 맞섰다. / 플리커 삼별초의 항전, 일연의 삼국유사··· 고려는 '팍스 몽골리카' 거부했다 팍스 몽골리카 알렉산더 제국보다 4배나 넓은 유라시아 정복한 몽골제국 동서양의 외교 사절 · 상인 · 선교사 자유롭게 오가며 문명의 대융합 고려와 키예프의 저항 고려 일연, 몽골풍 유행에 맞서 삼국유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