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성] 01
진주성 晋州城
사적 제118호
소재지 : 진주시 남성동 · 본성동
진주성은 외적을 막기 위하여 삼국 시대부터 조성한 성으로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깃든 유서 깊은 곳이다. 고려 말 우왕 5년 1379에 진주 목사 김중광 金仲光이 왜구의 잦은 침범에 대비하여 본래 토성이던 것을 석성으로 고쳐 쌓았으며, 임진왜란 직후에는 성의 중앙에 남북으로 내성을 쌓았다. 선조 25년 1593 10월 왜군 2만여 명이 침략해 오자 김시민 金時敏 장군이 이끄는 3천 8백여 명의 군사와 성민이 힘을 합쳐 물리쳤으니 이것이 임진왜란 3대 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이다. 이듬해 6월에는 왜군 10만여 명이 다시 침략했고, 민간인과 관료, 군인 등 7만여 명이 이에 맞서 싸우다 모두 순절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다.
1972년에는 촉석문을 복원하였고, 1975년에는 일제 강점시에 허물어졌던 서쪽 외성의 일부와 내성의 성곽을 복원하였다. 1979년부터는 성 안팎의 민가를 모두 철거하는 등 진주성 정화사업을 시작하여 2002년에 공북문 복원공사를 마지막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성곽의 둘레는 1,760m이고 높이는 5 ~ 8m이며 성 안에는 촉석루, 의기사, 영남포정사, 북장대, 창렬사, 호국사, 서장대, 임진대첩계사순의단, 국립진주박물관 등이 있다.
忠武公 金時敏 將軍像
忠武公 金時敏 將軍
청사에 빛나는 진주대첩을 쓰고 간 충무공 김시민 장군은 1554년 충남 천안 병천에서 지평 (持平) 충갑 (忠甲)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 1578년 무과에 급제, 훈련원 군기시 (軍器寺) 판관 (判官)을 거쳐 1591년 진주 판관이 되었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목사 (牧使)가 병으로 죽자 그 직을 대신하여 민심을 다독이고 성과 못을 수축하는 한편 무기를 정비하고 군사체제를 갖추어 사천 · 고성 · 진해 · 지례 · 금산 (金山) 등지에서 승전고 (勝戰鼓)를 올리며 목사로 승진되었다. 그리하여 같은 해 10월 5일 침공한 적의 2만 대군을 불과 3,800여 병력으로 6일간의 공방전 끝에 크게 무찔러 이기니 곧 진주대첩이다. 그러나 이마에 적탄을 맞앗다. 이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었으나 병상에서 나랏일을 근심하며 눈물짓다가 39세를 일기로 이곳 진주성에서 순절 (殉節)하였다. 슬프다 ! 장군의 천수 (天壽)가 꺾이지 않았던들 이듬해 (癸巳) 6월 진주가 적의 손에 떨어졌을까. 1604년 선무공신 (宣武功臣)에 추록된 뒤 영의정에 추증되고 상락부원군 (上洛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시호는 충무 (忠武). 이에 만 사람의 뜻을 모아 장군상을 세움은 나라와 겨레를 있게 한 그 매운 충절을 만세에 전해 우러르고자 함이다.
2001년 1월 1일
진주성 우물
이 우물은 진주성 내 우물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우물로서 2013년 9월에 복원되었다. 우물의 너비는 1.5m쯤이고 깊이는 8.4m인데 더러운 물이 들어가지 못하게 둥근 모양의 둘레돌을 주변에 놓았다.
조선 후기 진주성도 (晉州城圖, 국립진주박물관 간직)에는 지금 위치에 관청과 함께 새곳에 우물 [井]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진주성을 쌓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우물로,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 때에는 식수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진주 쌍충사적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쌍충사적비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제말 (諸沫)과 그의 조카 제홍록 (諸弘祿)의 공적을 함께 새긴 비석이다. 한 집안의 두 충신이라는 뜻에서 쌍충 (雙忠)이라고 하였다.
제말은 의병을 일으켜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전공을 세웠다. 성주 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왜군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조카 제홍록은 일찍이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연로한 어머니를 모시기위해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숙부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웅해, 정암진, 진양의 싸움에서 공을 세우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왜적과의 전투 중에 사망하였다.
정조 16년 (1792)에 촉석루 옆에 비를 세우고 비각을 지었는데 일제 강점기 때 헐리어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61년에 다시 원래의 자리에 비석을 세우고 비각을 지었다. 서유린이 글을 짓고 이병모가 글씨를 썼으며 조윤형이 비문의 제목인 두전 (頭篆)을 썼다.
雙忠閣
진주성 옛모습 사진전
1960년대 촉석루 전경
1930년대 촉석루 축제의 날
1960년대 호주관광단 진주성 관광 모습
1910 ~ 20년대 촉석루
1915년 진주성과 남강 배다리
1910 ~ 1920년대 촉석루
경남도청 진주시절 모습
1910년 촉석루와 의기사
1910년대 진주성 일부와 시가지
1927년 촉석루
1920년대 촉석루
<팔도미인도> 중 산홍
1890년대 진주교방의 주역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