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식물 이야기

[달뿌리풀]

드무2 2025. 4. 2. 05:13
728x90

[달뿌리풀]

 

 

 

 달뿌리풀 (맨 왼쪽)은 열매 이삭이 듬성듬성 엉성하게 달려 있어 휑한 느낌이 납니다. 갈대 (가운데)는 갈색 이삭이 무성하게 달려서 산발한 것처럼 보여요. 억새 (맨 오른쪽) 흰색 이삭이 한쪽으로 단정하게 모여 있어요. / 국립생물자원관·김민철 기자

 

 

 

뿌리가 땅 위를 달리는 풀 ··· 갈대와 비슷한데 물살 센 계곡에서 자라요

 

 

 

억새와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가을을 대표하는 풍경 중 하나죠. 그런데 요즘 산의 계곡을 지나다 보면 물가에서 억새 또는 갈대와 비슷하게 생긴 풀이 무리 지어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꽃이삭이 엉성한 편이라면 달뿌리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갈대와 억새는 어떻게 구분할까요. 억새는 주로 산이나 평지에서 자라고 이삭 색깔도 은색이 도는 흰색이에요. 잎 가운데 흰색의 주맥이 뚜렷한 것도 특징입니다. 또 억새의 이삭은 한쪽으로 단정하게 모여 있습니다. 억새와 갈대는 속 (屬)이 다릅니다. 서울 하늘공원, 가평 유명산, 포천 명성산, 정선 민둥산, 창녕 화왕산 등이 억새로 유명한 곳입니다.

갈대는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고 이삭이 갈색이라 갈대라 부릅니다. 억새는 높이가 1 ~ 2m인데 갈대는 3m까지 자랍니다. 을숙도, 순천만, 충남 서천 신성리 (금강 하구) 등이 갈대밭으로 유명하죠. 하나같이 물이 흐르지 않거나 약하게 흐르는 강 하구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처럼 억새는 주로 산이나 평지에서, 갈대는 주로 강 하구에서 자랍니다. 그 중간인 산의 계곡이나 작은 천에서 자라는 것은 달뿌리풀인 경우가 많습니다. 달뿌리풀은 갈대와 같은 속이라 그런지 둘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달뿌리풀의 가장 큰 특징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는다는 점입니다. 이름 자체가 '뿌리' 가 땅 위로 '달' 린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산의 계곡 또는 개울가에서 땅 위 또는 물속으로 길게 뻗는 뿌리줄기가 있으면 달뿌리풀입니다. 갈대는 뿌리줄기가 땅 위를 달리지 않고 땅속에서 뻗습니다.

문제는 '달리는 뿌리' 가 보이지 않을 때입니다. 그때는 무엇으로 갈대와 달뿌리풀을 구분할 수 있을까요. 우선 갈대는 비교적 꽃과 열매 이삭이 촘촘히 달렸고 산발한 느낌을 줍니다. 반면 달뿌리풀은 꽃과 열매 이삭이 대머리 직전처럼 엉성해 휑한 느낌을 줍니다. 자라는 장소도 갈대는 강 하구처럼 물 흐름이 없거나 약한 곳, 산소가 부족한 진흙땅을 선호하고, 달뿌리풀은 물 흐르는 곳, 산소가 풍부한 모래땅을 좋아합니다.

 

김민철 기자

 

[출처 : 조선일보 신문은 선생님 2024년 9월 23일 자]

 

 

 

 

 

728x90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목]  (0) 2025.04.03
[마삭줄]  (0) 2025.03.25
[시금치]  (0) 2025.01.19
[병아리꽃나무]  (0) 2025.01.18
[마타리]  (0)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