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레트로 朝鮮日報] <上>

드무2 2023. 7. 2. 17:35
728x90

[레트로 朝鮮日報] <上>

 

 

 

그래픽 = 송윤혜 · 김현국

 

 

 

돌아온 모던보이 · 두꺼비 · 포니 ··· 本紙에서 찾은 '옛 추억'

 

 

 

돌고 도는 게 유행이라지만 요즘 복고는 더 강력합니다. 옛것을 새로운 방식으로 멋지게 즐기는 '뉴트로 (새것을 뜻하는 '뉴'와 복고를 뜻하는 '레트로'의 합성어)' 현상이 최근 몇 년간 인기입니다. 103년 역사가 숨 쉬는 조선일보는 복고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최고의 아카이브입니다. 창간을 맞아 최근 화제인 복고 키워드 10개를 뽑고, 과거 지면을 현재와 비교해 독자분들께 두 차례에 걸쳐 보여 드리는 기획 '레트로 조선일보'를 준비했습니다. 옛 신문과 함께하는 시간 여행을 통해 기성세대에겐 향수를, 젊은 세대에겐 재미를 선사합니다.

 

 

 

조선일보 DB · 인천중구문화재단 개항희망문화상권르네상스팀

 

나팔바지를 입고 활보하는 모던보이를 묘사한 1928년 2월 7일 자 '가상소견' 삽화. 오른쪽은 인천중구문화재단에서 지난해 개최한 '모던보이 & 모던걸 사진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작품이다.

 

 

 

MZ들이 놀이로 즐기는 개화기 패션

1920년대 신문은 "허영"이라 꼬집어

 

 

"황금 팔뚝시계, 보석반지, 현대 녀성 (여성)은 이 두가지가 구비치 못하면 무엇보담도 수치인 것이다." 1928년 2월 5일 자 '모 ㅡ 던껄의 장신운동 (裝身運動)'

"미국 서부활극에 나아오는 '카 ㅡ 뽀이 (카우보이)'의 가죽바지가 조선 청년에게 나팔바지를 입혀주었다." 1928년 2월 7일 자 '모던뽀이의 산보 (散步)'

1928년 2월 시작된 코너 '가상소견 (街上所見)'은 1 · 2회에서 각각 당시의 신풍속도였던 모던걸과 모던보이의 옷차림을 소개했다. 그것은 이채 (異彩)인 동시에 근심거리이기도 했던 모양. 필자는 "현대 부모남편 애인 신사제군 그대들에게 보석반지 금팔뚝시계 하나를 살 돈이 없으면 그대들은 딸 안해 (아내) 스윗하 ㅡ 트 (애인)를 둘 자격이 없고"라며 모던걸들의 허영을 돌려 꾸짖는 한편, 처려입고 뽐내는 모던보이들에겐 "다 쓰러져가는 초가집만 있는 조선의 거리에 그네들이 산보할때에 그는 외국의 풍정 (風情)인듯 느끼리라. 대체 그대들은 아무 볼일도 없이 길로 싸다니는 까닭을 모르겠다"고 일갈했다.

모던걸 · 모던보이 옷차림이 되살아났다. 이른바 '개화기 복장'으로 서울 익선동, 인천 개항장 거리처럼 근대 여명기의 정취가 남은 장소를 찾는 일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놀이처럼 자리 잡았다. 의상 대여 업체들도 생겨놨다. 때론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새로울 수 있다.

 

채민기 기자

 

 

 

1928년 2월 7일 자 ‘가상소견’ 삽화.

 

 

 

조선일보 DB · 하이트진로

 

 

의인화된 귀여운 두꺼비가 건배하는 모습을 손으로 그린 1960년 6월 22일 자 진로 소주 광고. 오른쪽은 2019년 '진로이즈백'이란 슬로건으로 돌아와 젊은 세대에게 열풍을 일으킨 진로의 두꺼비 캐릭터.

 

 

 

펜으로 그린 광고 속 '진로 두꺼비'

캐릭터로 부활해 젊은 층 사로잡아

 

의인화한 귀여운 두꺼비와 세 가닥 머리에 주먹코를 한 사내가 건배한다. 펜으로 쓱쓱 그려 손맛이 살아 있는 그림에 손 글씨까지 더해진 그림. 요즘 그림 같지만, 63년 전 본지 1960년 6월 22일 자에 실린 진로 소주 광고다. 만화 속 사내는 당시 장안의 화제였던 안의섭 (1924 ~ 1994) 화백의 네 칸 시사 만화 '두꺼비'의 주인공을 닮았다. 본지 아카이브에서 발견한 이 지면 광고는 하이트진로에도 남아 있지 않은 귀한 콘텐츠다.

한동안 사라졌던 이 귀여운 두꺼비가 금의환향했다. 지난 2019년 뉴트로 열풍을 타고 24년 만에 광고 캐릭터로 부활해 복고 마케팅의 대명사가 된 것. '진로이즈백 (진로 is back)'이라는 슬로건으로 요즘 감성을 더해 광고부터 패키지, 굿즈에도 적용돼 수년째 MZ세대에게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다. '이즈백'은 인기 콘텐츠의  귀환을 상징하는 신조어처럼 쓰인다. 다시 돌아온 포켓몬빵 광고 문구엔 '포켓몬빵이즈백'으로 패러디됐다.

시각 디자인에 예민한 요즘 2030들의 눈에 옛 광고의 그림체와 서체는 멋과 재미로 다가간다. 진로뿐만 아니다. 공효진이 모델로 등장해 빨간 보온병과 로고가 찍힌 광고, 옛날 만화영화 분위기로 만들어 최근 선보인 삼성화재 다이렉트 보험 광고 등도 같은 맥락이다.

 

김미리 기자

 

 

 

의인화된 귀여운 두꺼비가 건배하는 모습을 손으로 그린 진로 소주 광고가 실린 조선일보 1960년 6월 22일 자.

 

 

 

조선일보 DB · 현대자동차

 

 

1976년 1월 25일 자에 실린 '포니' 광고. 다음 날인 26일부터 역사적인 포니 계약이 시작됐다. 아래는 지난해 방한한 포니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와 포니 쿠페 디자인에서 영감받아 지난해 선보인 콘셉트카 'N Vision 74'

 

 

올봄 콘셉트 카로 돌아오는 '포니'

75년 정주영 "수출 걱정말라" 장담

 

 

"우리나라의 서민들에겐  아직까지도 자동차가 한낱 사치품에 지나지 않지만 잘사는 나라의 국민일수록 자동차를 생활의 일부를 구성하는 필수품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싶다." '자동차 2500만대 시대'에 격세지감 드는 이 문장은 1977년 3월 26일 자 본지 기사의 도입부. 1976년 판매를 시작한 포니가 그 이듬해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 출품됐을 때 최청림 당시 경제부 기자의 현장 르포였다. 최 기자는 포니가 "유럽인 기호에 맞는 차로 호평 받았다"면서 자긍심을 한껏 고취했다. "외국 사람들도 품질 및 가격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나 생산시설을 국제화하고 기술적인 문제점을 극복해서 수출 첫해부터 그와 같은 걱정과 우려를 말끔히 씻어놓겠다"던 정주영 회장의 호언장담 (1975년 7월 19일 자 본지 인터뷰)이 어느 정도 현실이 된 듯했다.

1970년대 수출보국 (輸出報國)의 상징인 포니가 복고 물결을 타고 돌아왔다. 현대차는 1974년 콘셉트 카로 나왔다가 양산되지 않은 '포니 쿠페'에서 영감받은 콘셉트 카 'N Vision 74'를 지난해 선보였다. 올봄엔 당시 디자인을 담당한 이탈리아 디자이너 조르제투 조지아로 (85)가 50년 만에 '포니 쿠페'를 복원할 계획이다.

'국산 올드 카'를 멋으로 즐기는 젊은 세대의 취향을 반영하는 현상인 동시에 1970년대 제품을 헤리티지 (유산)로 받아들일 만큼 한국 사회가 성숙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김미리 기자

 

 

 

1976년 1월 25일 자에 실린 '포니' 광고.

 

 

 

조선일보 DB

 

 

1993년 3월 21일 자에 실린 붕어빵 트럭 사진. 당시 불던 복고 바람의 대표 사례로 등장했다. 아래는 '붕세권'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요즘 젊은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붕어빵.

 

 

 

신조어 '붕세권'까지 생긴 붕어빵

1960 · 90년대··· 30년 주기로 유행

 

 

"가난했던 1950 ~ 60년대 시절을 회고케 하는 '붕어빵'이 최근 서울 도심 한복판에도 등장,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본지 1993년 3월 21일 자에 실린 '복고풍 인기' 소개 가사의 일부다. 당시 서울 명동과 강남 도심, 그리고 대학가에선 판탈롱 (나팔) 바지와 앙증맞은 크기의 동그란 안경테가 불티나게 팔렸다. 모두 1950 ~ 1960년대 인기 상품이었다. 특히 눈에 띈 건 광화문 빌딩가, 강남 아파트촌을 누빈 '붕어빵 트럭'의 인기다. 아버지들이 퇴근길마다 품고 오던 간식거리 대명사에 대한 추억 혹은 정보화 · 기계화에 대한 반작용이란 분석이 이어졌다. 어느 쪽이건 '예스러운 종'에 대한 그리움이 배경이란 뜻이다.

그로부터 30년이 흐른 2023년에도 같은 풍경이 재현되고 있다. 부모 세대는 물론 자녀 세대까지 붕어빵을 찾아 '붕세권 (붕어빵 가게 인근 권역을 역세권에 빗댄 말)' 검색 서비스까지 생겼다. 복고풍 패션과 함께 '할매니얼 (할머니 + 밀레니얼)'이란  신조어도 유행이다. MZ세대 사이에서 약과와 떡, 바나나맛 우유와 삼각커피 우유, 오란다 강정, 곶감 등 할머니 세대의 음식을 추앙하는 흐름을 일컬어 생긴 말이다.

어쩌면 우리의 미각은 혀끝 음식 잔상만이 아닌, 기억을 계승하는지도 모른다. 2023년 우리가 맛본 붕어빵들은 30년 뒤 어떤 옛정으로 전해질까.

 

윤수정 기자

 

 

 

붕어빵 트럭 사진과 관련 기사가 실린 1993년 3월 21일 자 조선일보 지면.

 

 

 

조선일보 DB · 상견니 공식 홈페이지

 

 

1988년 12월 23일 자에 실린 '워크맨' 광고. 오른쪽은 워크맨을 매개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대만 드라마 '상견니'의 한 장면. 한국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며 워크맨과 카세트테이프도 소환됐다.

 

 

펜으로 그린 광고 속 '진로 두꺼비'

캐릭터로 부활해 젊은 층 사로잡아

 

 

의인화한 귀여운 두꺼비와 세 가닥 머리에 주먹코를 한 사내가 건배한다. 펜으로 쓱쓱 그려 손맛이 살아 있는 그림에 손 글씨까지 더해진 그림. 요즘 그림 같지만, 63년 전 본지 1960년 6월 22일 자에 실린 진로 소주 광고다. 만화 속 사내는 당시 장안의 화제였던 안의섭 (1924 ~ 1994) 화백의 네 칸 시사 만화 '두꺼비'의 주인공을 닮았다. 본지 아카이브에서 발견한 이 지면 광고는 하이트진로에도 남아 있지 않은 귀한 콘텐츠다.

한동안 사라졌던 이 귀여운 두꺼비가 금의환향했다. 지난 2019년 뉴트로 열풍을 타고 24년 만에 광고 캐릭터로 부활해 복고 마케팅의 대명사가 된 것. '진로이즈백 (진로 is back)'이라는 슬로건으로 요즘 감성을 더해 광고부터 패키지, 굿즈에도 적용돼 수년째 MZ세대에게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다. '이즈백'은 인기 콘텐츠의 귀환을 상징하는 신조어처럼 쓰인다. 다시 돌아온 포켓몬빵 광고 문구엔 '포켓몬빵이즈백'으로 패러디됐다.

시각 디자인에 예민한 요즘 2030들의 눈에 옛 광고의 그림체와 서체는 멋과 재미로 다가간다. 진로뿐만 아니다. 공효진이 모델로 등장해 빨간 보온병과 로고가 찍힌 머그컵 등을 들고 옛날 느낌으로 찍은 맥심 광고, 옛날 만화영화 분위기로 만들어 최근 선보인 삼성화재 다이렉트 보험 광고 등도 같은 맥락이다.

 

 

 

그 당시 인기를 끌던 '워크맨' 광고가 실린 1988년 12월 23일 자 조선일보 지면.

 

 

김미리 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