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1/19 2

[⑫ 6 · 25 반공 포로 석방]

[⑫ 6 · 25 반공 포로 석방] 풀려난 반공 포로들, 이승만 초상화 들고 행진 석방된 반공 포로들이 태극기와 이승만의 초상화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이승만은 6 · 25전쟁 휴전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1953년 6월 18일 반공 포로 2만7000여 명을 석방했다. 반공 포로들이 고국에서 추방되거나 북한으로 끌려갈 위험에서 구한 것이었다. / ‘사진과 함께 읽는 대통령 이승만’ (기파랑) 美 반대에도 반공포로 석방··· 납북될뻔한 남한 청년 2만명 구했다 휴전 회담 쟁점이었던 '포로 송환' 北에 갈제징집 당한 남한 장정들 수용소서 친공포로들 박해 시달려 매일 인민재판 받고 처형까지··· 유엔군은 회담 의식해 대응 안해 美 주도 휴전 반대하며 '석방 작전' 수용소 철조망 끊고 포로들 구출 美 등 전세..

[⑪ 이승만은 왜 반대했나]

[⑪ 이승만은 왜 반대했나] 아이젠하워 만나 태극기 선물 6 · 25 전쟁 중이던 1952년 12월 2일 한국을 방문한 미국 대통령 당선인 아이젠하워가 미군 부대 시찰 도중 이승만에게 태극기를 선물받고 있다. 아이젠하워는 1952년 11월 실시된 미국 대선에서 휴전을 공약했다. 1951년 7월 휴전협상이 시작된 이후 이승만이 지속적으로 휴전에 반대하자 미국은 이승만의 대통령 재선을 막는 방식으로 축출하려고 했다. / '사진과 함께 읽는 대통령 이승만' (기파랑) "적이 다시 힘 키울 기회를 줄 순 없소" 이승만은 휴전을 반대했다 미국의 휴전 협상에 적극 비판 "언젠가 중국이 다시 침입한다면 누가 함께 싸워준다는 보방 없다" 국군 내부선 모반 움직임 참모총장 이종찬 등 日軍 출신들 미국에 은밀히 군사 반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