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진핑 2

[中, 블라디港 다시 사용]

[中, 블라디港 다시 사용] 라틴어로 적은 네르친스크 조약. / 위키피디아 블라디보스토크, 아편전쟁 중재 대가로 中이 러에 넘겼죠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러 영토 돼 1689년 네르친스크서 첫 국경 조약 러 · 몽골 국경은 캬흐타 조약 때 정해 지난 15일 중국 언론은 "다음 달 1일부터 중국 동북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 (港)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어요. 지난 3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모스크바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2030년 중 · 러 경제협력 중점 방향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는데요, 그 후속 조치로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항 사용을 허가한 것으로 보여요. 중국은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에서 생산하는 무역 화물을 블라디보스토크항에서 바로 실..

[⑴ 스탈린과 40년전쟁]

[⑴ 스탈린과 40년전쟁]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44세 ⓒ 뉴데일리DB ● 연재를 시작하며 대한민국의 건국은 수많은 독립 운동가들의 피와 땀이 이룩해낸 성공이다. 그 선구적 리더가 이승만이었음은 역사적 기록이 증명한다. 김구는 어떠했던가? 지금 대한민국은 건국의 주역 이승만을 제쳐놓고 '건국을 반대한 임시정부 주석' 김구를 가장 숭앙하는 역사왜곡의 아이러니에 빠진지 오래다. 왜 그럴까? 1948년 3월, 역사상 최초의 자유민주 총선거 (5 · 10)를 앞두고서 벌어진 건국전쟁의 현장을 보자. '유엔감시 총선을 통한 건국'이란 외교독립론에 마침내 성공한 이승만 박사는 김구가 답답하기 그지 없었다. 얼마 전까지 유엔의 남한단독정부수립에 적극 동조하던 김구가 하루밤새 돌변하여 "김일성과 통일 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