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옹기박물관 2

[부천시립박물관] ㅡ 옹기전시실 3

[부천시립박물관] ㅡ 옹기전시실 3 상설전시실 2 人靈萬物 以食爲天 非雨不長 非穀不活 雨順風調 勢和年豊 國泰民安 家給人足 歲歲不忘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나 하늘로써 먹고살고 비 아니고는 자라지 못하고, 곡식 아니면 못 사나니 비바람 순조롭게 올해 농사 풍년들고, 나라 태평하고 백성 편하게 가정마다 식구늘게 해마다 잊지 마소 신주단지 조상의 이름을 써넣은 신주를 넣어 모시는 단지이다. 대개 장손 집안의 안방 시렁 위에 모셔두고 조상들이 집안을 보살펴주길 빌었다. 청수단지 장독대를 관장하는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 사용하는 단지이다. '청수통이'라고도 불리며 매우 작은 크기에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것이 특징이다. 버선항아리 장항아리에 한지로 된 버선본을 거꾸로 붙여 놓거나 줄에 매달아두는 것이다. 귀신이 거꾸로..

[부천시립박물관] ㅡ 각양각색 展

[부천시립박물관] ㅡ 각양각색 展 전시를 열며 부천시립박물관은 박물관의 소장품인 유럽자기와 옹기유물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돌아보고 호주 미디어아트 작가 Laura Carthew의 무궁화(Immortal flower) 작품을 선보이며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각각 다르면서도 서로 어우러질 수 있는 "각양각색(各樣各色)" 전시를 개최합니다. 1부 '전통_옹기 그릇은 사회문화의 반영이며, 시대의 산물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옹기는 한국의 식문화와 정체성을 대표합니다. 한국의 옹기는 흙, 물, 불, 공기가 만나서 옹기로 탄생되는데 인위적인 몸짓을 벗어나 자연스럽게 일그러진 모습에서 원초적이고 순수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2부 '현대_미디어아트 호주의 미디어아트 작가 Laura Carthew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