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1 68

[병아리꽃나무]

[병아리꽃나무]    ▲ 병아리꽃나무에 꽃이 핀 모습 (왼쪽). 병아리꽃나무라는 이름은 하얗게 핀 꽃이 어린 병아리를 연상시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오른쪽 사진은 병아리꽃나무 열매예요. / 국립수목원    귀여운 흰 꽃이 병아리 닮아··· 포항 해안가 군락지는 천연기념물이에요    요즘 피는 꽃 중에서도 유난히 귀엽게 생긴 꽃이 있어요. 바로 병아리꽃나무에 핀 꽃인데요. 병아리꽃나무라는 이름은 나무에 하얗게 핀 꽃이 어린 병아리를 연상시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병아리꽃나무의 꽃은 하얀색이지만, 열매는 익으면 새까만 검은색을 띠어 대조된답니다. 병아리꽃나무는 장미과 (科) 병아리꽃나무속 (屬)의 유일한 종이에요. 일본 혼슈, 중국 동부 ~ 중북부 등에 분포해 있어요. 우리나라에는 경기도와 ..

[그림 속 나비들]

[그림 속 나비들]    ▲ 작품1 - 김홍도, ‘나비’, 1782년. / 국립중앙박물관 ‘옛 그림 속 꽃과 나비’    부부의 사랑 · 장수 상징··· 직접 나비 잡으러 다닌 화가도   날개 무늬까지 똑같이 그린 남계우김홍도는 '장자의 나비 꿈' 그렸죠서양에선 '부활' 과 '영혼' 뜻해요    가정의 달 5월에는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에 이어, 부부의 날도 있습니다. 남편과 아내가 둘이지만 하나처럼 화목하게 살아가라는 의미에서 2와 1이 붙어있는 21일로 정해졌다는데요. 우리 옛 그림에서 부부의 사랑과 행복은 꽃과 나비가 함께 어우러진 모습으로 표현되곤 했습니다. 또한 옛사람들은 나비가 장수와 관련된 곤충이라고 생각해 나비 그림을 좋아하기도 했대요. 나비의 한자 접(蝶)은 80세 노인을 뜻하는 질(耋)과 ..

[3쿠션 Lesson 완전정복] 50 ㅡ Ball System 계산법 3

[3쿠션 Lesson 완전정복] 50 ㅡ Ball System 계산법 3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 Ball System 계산법 3    [득점의 핵심] 위 도형은 앞 페이지와는 반대로 1 적구와 수구가 예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다.위 도형의 1 적구의 Line 수는 2 가 되며, 3 쿠션은 반 포인트 당 1씩 계산되므로 4 가 된다.1 적구와 수구의 기울기는 적색 점선처럼 1.5 Point가 되므로 기울기 ㅡ 3 이 된다.즉, 총량 3 이란 숫자로 치면 된다. 2 / 8 두께, 즉 1 / 4 두께 2 와 나머지 1 은 1 Tip을 주고 친다. 이 경우 3 / 8 에 무회전으로 칠 경우 분리각이 커져 득점 확률이 어려워진다.도형과 같은 예각의 배치에서는 총량..

[3쿠션 Lesson 완전정복] 50 ㅡ Ball System 계산법 2

[3쿠션 Lesson 완전정복] 50 ㅡ Ball System 계산법 2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 Ball System 계산법 2      [득점의 핵심] 이번 도형은 1 적구와 수구가 둔각인 경우의 제각돌리기에서 Ball System 계산법을 나타낸 도형이다.도형처럼 1 적구 수는 2 와 4 의 연결선상에 있으므로 2 가 되며, 3 쿠션은 반 포인트 당 1 씩 계산되므로 6 이 된다. 기울기 + 1 이므로 합계 9 가 된다. 총량 9 란 숫자로 치면 된다.앞에서 배운 것처럼 Ball System에서는 두께를 1 / 8 단위를 1 씩 계산하므로, 위 도형의 배치는 약간 엇각이므로 수구의 구름에 변화가 적은 5 / 8 두께의 5 와 나머지 4 는 4 Tip을 사..

[콤비네이션 샷 1 ㅡ 적구를 다른 공에 맞혀 포켓한다]

[콤비네이션 샷 1 ㅡ 적구를 다른 공에 맞혀 포켓한다]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 접촉한 공을 이용 넘버 게임 (Number Game)에서는 다음에 포켓하는 적구의 번호를 지정하고 있다. 그 번호의 공에 한해서만 수구를 맞힐 수가 있다. 그러나 공의 배치에 따라서는 그 적구를 포켓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런 때 사용하는 것이 콤비네이션 샷 (Combination Shot)이다.이것은 적구를 다른 공에 맞혀 다른 공을 포켓에 넣는 샷으로, 적구를 맞히는 다른 공이 1개인 경우와 2개 이상인 경우가 있다.      ⚫ 적구와 1 개의 공이 접촉 적구가 다른 공 1 개에 맞아 그 적구 1 개를 포켓에 넣는 경우는 비교적 간단하다. 이같은 경우에는 적구가 포켓에 ..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84 ㅡ 극하단 치기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84 ㅡ 극하단 치기   김가영 선수 [출처 : 한국경제]   극하단 치기      ⚫ 위 그림에서 보듯이 장축 10, 20, 30p에서 각각 정삼각형 구도로 상단 단축으로 내공을 보내면 (점선 : 극하단, 실선 : 무회전 라인) ① Line의 경우 (A) : 무회전인 경우는 우측 장축 25p로 가지만, 극하단으로 치면 우측 장축 60p로 간다. ② Line의 경우 (B) : 무회전으로 치면 우측 장축 20p를 거쳐 당구대 정중앙을 지나 내공 쪽 장축 60p 밑으로 가지만, 극하단으로 치면 우측 장축 40p로 간다. ③ Line의 경우 (C) : 무회전으로 치면 우측 장축 10p를 거쳐 내공 쪽 장축 50p 밑으로 가고, 극하단으로 치면 우측 장축 20p로 간다. ⁕ 극하단치..

당구 Billiards 2025.01.18

[2025ㅡ002 1 일 1 미술 1 교양 ② 사실주의 ~ 20세기 미술] 01

[2025ㅡ002 1 일 1 미술 1 교양 ② 사실주의 ~ 20세기 미술] 01      서정욱 지음2022, 넥서스  은계도서관SN001331  609.2서74ㅇ   2      서정욱  2008년 서정욱갤러리를 시작하여 다양한 기획 전시를 진행하였고, 다수의 잡지와 신문에 미술 칼럼을 기고하였습니다. 갤러리를 운영하면서 많은 사람이 미술을 어렵고 멀게 생각한다고 느껴 2009년 ‘서정욱 미술토크’ 를 조선일보에 연재했고, 서울시 인터넷방송, 애플리케이션, 팟캐스트를 거쳐 지금은 YouTube와 Naver TV에서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술이 많은 사람의 삶에 함께하길 바라며, 미술을 쉽게 알리는 일을 행복하게 하고 있습니다.  서정욱 미술토크 학력 및 경력 -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

[3쿠션 Lesson 완전정복] 49 ㅡ Ball System 계산법 1

[3쿠션 Lesson 완전정복] 49 ㅡ Ball System 계산법 1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Ball System 계산법      아래 도표 보는 법 '[3쿠션 Lesson 완전정복] 48 ㅡ 도표 보는 방법' 참조  [득점의 핵심] 위 도형은 제각돌리기에서 Ball System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형이다.도형의 적색 점선처럼 1 적구의 Line 수는 2 Line 이 되며, 3 쿠션은 반 포인트 당 1 씩 계산되므로 4가 된다.따라서 합계 6 이므로 총량제 6 이란 숫자로 치면 된다.앞에서 배운 것처럼 Ball System에서는 두께를 1 / 8 단위를 1 씩 계산하므로, 위 도형의 배치상 겨냥법이 가장 편하면서 수구의 구름에 변화가 적은  4 / 8 두께의 ..

[3쿠션 Lesson 완전정복] 48 ㅡ 도표 보는 방법

[3쿠션 Lesson 완전정복] 48 ㅡ 도표 보는 방법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도표 보는 방법  이 책에서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아래 도표의 용어를 먼저 이해해야 스트로크와 System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두께 / 당점 : 도표 그대로 이해하면 된다. 회전 량 : System에서 사용하는 회전 량은 12 시에서 3 시 (9 시)를 4 등분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는 1 시 방향이면 1 Tip, 2 시 방향이면 2 Tip, 3 시 방향이면 3 Tip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좀 더               세부적으로 나누면 90˚를 4 등분하여 사용한다.              12 시 45분 / 1 Tip, 1 시 30분 / 2 Tip, 2 ..

[키스 샷 ㅡ 다른 공에 맞혀 포켓한다]

[키스 샷 ㅡ 다른 공에 맞혀 포켓한다]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다른 공을 이용한다 적구를 다른 공에 한번 맞힌 (키스 시킨) 다음에 포켓시키는 샷을 키스 샷 (Kiss Shot)이라고 한다.키스 샷에는 적구가 다른 공과 접촉해 있는 경우와 떨어져 있는 경우의 두 가지가 있다. 적구와 다른 공이 접촉해 있는 경우는 비교적 간단히 포켓할 수가 있다. 적구와 다른 공이 접촉 (프로즌)해 있는 경우 적구는 접촉해 있는 공과 적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직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그 연장선상에 포켓이 있으면 적구는 확실하게 포켓에 들어간다.또한 적구와 접촉하는 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코스보다 안쪽으로 포켓이 있는 경우에도 키스 샷은 가능하다.이 경우는 수구의 중심 하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