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립현대미술관 4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한국 근현대 자수' 展]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한국 근현대 자수' 展]    최유현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이 30대 초반 제작한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1968)을 관계자가 감상하고 있다. 한국화 거장 서세옥 (1929 ~ 2020)에게 밑그림을 요청해 그 위에 직접 수를 놓았다. 다채로운 색으로 촘촘하게 메운 실이 새의 깃털을 연상시킨다. / 연합뉴스    실로 그린 예술은 모란과 봉황 뿐 ? 추상화도 수놓는다   19세기 말 이후 자수 170점 전시··· '현모양처 전유물' 편견 깨日유학생 귀국해 신식 자수 보급, 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기여이화여대 '자수과' 생기며 부흥기 맞아··· 남성 장인들도 다수    실과 바늘, 전통 예술, 규방 공예, 교양 있는 여인들의 취미···. 자수 (刺繡)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다. 자..

전시회 2024.10.13

[1세대 조경가 정영선,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첫 조경 전시]

[1세대 조경가 정영선,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첫 조경 전시]    경기도 용인 호암미술관 ‘희원’ 대나무숲 전경. 담 안의 풍광에 머물지 않고 바깥 경치를 끌어들이는 전통 정원의 차경 (借景) 원리를 바탕으로 옛 지형을 복원한 걸작이다. / 국립현대미술관    조경은 땅에 쓰는 詩··· 미술관에 일군 거장의 정원   예술의 전당부터 선유도 공원까지국내 건축 · 조경 사업 다수 참여호암미술관 '희원' 에 이건희도 반해 유리 바닥 아래에 도면 · 사진 전시중정은 한국 자생 식물로만 채워 "늘 건축의 뒷전으로 여겨진 조경···후배들 갈 길 닦는 마음으로 임해    시 (詩)를 쓰고 싶었던 문학 소녀는 종이가 아니라 땅을 택했다. 백일장을 휩쓸던 그가 영문과 장학생으로 뽑히고도 난데없이 농대를 선택했을 때 어..

전시회 2024.09.21

[어두운 시대, 굳건한 정신력으로 자연의 생명력 그린 화가 오지호]

[어두운 시대, 굳건한 정신력으로 자연의 생명력 그린 화가 오지호] 오지호, 개성 송악산에서 3일간 사생해 그린 ‘사과밭’, 1937, 개인소장. 너무나도 눈부시게 환한 나머지 사과나무의 그림자도 보랏빛으로 보인다. 오지호는 이렇게 맑고 밝은 조선의 자연이 습윤하고 음침한 일본의 자연과 구별되는, 조선 고유의 특징이라고 봤다. 오지호는 ‘조선’의 인상주의를 실현하고자 했던 철저한 민족주의자였다. "그늘에도 빛이 있다"··· 고난 속 삶의 환희를 예술로 표현한 이 화가 스스로 인샹 경로 개척 초기 개화파였던 부친이 경술국치 이후 자결하자 고향 떠나 홀로 日 유학 투병 중 피어난 예술혼 위출혈로 고생하면서도 꽃 피는 자연에 감격해 눈부신 색채로 담아내 죽을 고비 여러 번 넘겨 6 · 25 때 즉결 처형 위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