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춘근 63

7회 한미동맹 깨어지면? (3) 전작권 전환하면?

7회 한미동맹 깨어지면? (3) 전작권 전환하면? 2017년 10월 13일 방송 이춘근 Lee Choon Kun 전시작전통제권? * 1950년 7월 1일 미군 도착 * 1950년 7월 7일 유엔군사령부 창설 1950년 10월 27일 국군과 유엔군 기수단이 평양 입성을 기념하여 서울시내 행진 이승만 더글라스 맥아더 李承晩 Syngman Rhee Douglas MacArthur (1875~1965) (1880~1964) ❝승리 이외에 대안은 없다❞ There is no Alternative to Victory 더글라스 맥아더 Douglas MacArthur (1880~1964) 이승만 대통령이 맥아더 장군에게 보낸 작전권 이양 공한 대한민국을 위한 국제연합의 공동 군사 노력에 있어 한국 내 또는 한국 근해에..

6회 한미동맹 께어지면(2) 한미동맹의 역사와 문제점

6회 한미동맹 께어지면(2) 한미동맹의 역사와 문제점 2017년 10월 9일 방송 한미동맹의 역할 한미동맹의 역할과 문제점 동맹은 친구들이 맺는 것? NO 동맹이란? What is an Alliance? 동맹은 "공통의 적" common enomy을 가진 나라들이 그 적에 함께 군사적으로 대응할 것을 약속한 관계 동맹은 심지어 적대적인 국가들 사이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2차 대전 당시 미국과 소련은 더 큰 적인 나치 독일, 군국주의 일본에 대항, 함께 싸운 동맹국 한미동맹은? 북한 (소련)이라는 "공통의 적"에 의해 성립 한미동맹은? 한국 전쟁 종식 과정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탁월한 외교 역량의 결과, 체결된 것 1950년 6월 28일 제2차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미국이 제출한 '한국 군사 원조' 제안의 통..

5회 한미동맹 깨어지면?(1)

5회 한미동맹 깨어지면?(1) 2017년 10월 3일 방송 이춘근 Choon Kun Lee 한미동맹은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 "한미동맹에 대하여..." 한미동맹이 왜 중요한가? 한국전쟁(韓國戰爭, Korean War) 휴전 : 1953년 7월 27일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약칭 : 한미상호방위조약) Mutual Defense Tread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大韓民國 ㅡ 美合衆國間 - 相互防衛條約 1953년 10월 1일 조약 조인 순간 한미동맹이 깨어지면...? 우선, 국제정치의 속성을 알아보자 국제정치의 속성은 역설?! 역설의 논리 Logic of Paradox Si Vis Pace..

4회 미국, 북한 폭격 연습 끝났다!?

4회 미국, 북한 폭격 연습 끝났다!? 2017년 9월 28일 방송 이춘근 Choon Kun Lee "Kim Jong Un of North Korea who is obviously a madman who doesn't mind starving or killing his people, will be tested like never before!" the president tweeted. 미친 것이 분명한 북한의 김정은은 자국 국민들이 굶주리게 하고 죽이는 것조차 마음 대로 한다. 그는 전례없는 테스트에 직면할 것이다. Donald John Trump 美 제45대 대통령 북한의 핵무기는 세계 평화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며 이 같은 범죄적인 깡패 정권은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 "North K..

2회 미국은 어떻게 전쟁을 결심할까?

2회 미국은 어떻게 전쟁을 결심할까? 2017년 9월 15일 방송 이춘근 Subject ❝미국은 북한을 공격할까?❞ 1 chapter 미국은 전쟁, 군사력 사용에 대해서 어떤 생각? (미국의 일반적인 전쟁 형태에 대하여) Q 시청자 질문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 시 한반도 분단이 고착화 되지 않을까요? 북한은 핵이 있고, 우리가 핵이 없을 경우에 '북한만 핵이 있는 전략적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안' Q 시청자 질문 기존 외교부장관 출신 중 "미국이 약속을 어겨서 북한이 북핵을 고수할 수 밖에 없었다" 하는 말이 있는데... Q 시청자 질문 미어셰이머 교수의 말씀을 인용하여 핵있는 나라와 없는 나라가 대결하면 무조건 없는 나라가 지는 것이라 하셨는데 6 · 25전쟁 때 미군과 한국군이 압록강 물까지 떠왔다가 중..

1회 북한 핵 문제의 본질과 대책

1회 북한 핵 문제의 본질과 대책 [이춘근의 국제정치 1회] 북한 핵 문제의 본질과 대책 2017년 9월 10일 방송 이춘근 CHON KUN LEE'S INTERNATIONAL POLITICS "북한 핵 문제의 본질과 대책" 북한 핵 : Very Very OLD Problem 북한은 이미 1950년 한국전쟁 직후부터 핵개발을 시작했다. 1954년 인민군 재편시 [핵무기 방위부문]을 설치 1959년 9월 : 조소 원자력 협정 1962년 : 영변 원자력 연구소 설립, 이어 김일성 대학, 김책대학에 원자력 연구부문 설치 1965년 6월 : IRT-2000 원자로 소련으로부터 도입 1965년 10월 : 김일성 "불원간 핵을 보유할 수 있다" 1967년 : "우리도 원자탄을 생산하게 되었다. 미국이 원자탄을 사용..

17강 :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 (5) 정책 결정 이론 (Decision Making Theory)

17강 :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 (5) 정책 결정 이론 (Decision Making Theory) George W. Bush meeting with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in the Situation Room, the White House, Washington D.C., U. S. / 2006. 7. 5 Condoleezza Rice (1954~) (앞 왼쪽 여성) 20th United States National Security Advisor 美 제20대 국가안보보좌관 (2001. 1. 22~2005. 1. 25) George W. Bush (1946~) (앞 오른쪽) 43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제43대 美 대통령 ..

16강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4) 국가의 자연적 속성과 전쟁

16강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4) 국가의 자연적 속성과 전쟁 콜린 그레이(Colin S. Gray) 교수는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패권 전쟁은 대부분 대륙세력의 도전으로 시작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패권전쟁에서 궁극적인 승자는 해양세력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해군력은 패권국의 지위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략적 군사력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영국의 패권적 지위에 대해 대륙국가 프랑스가 도전햇었고(18세기 말~19세기 초 프랑스 대혁명 이후의 나폴레옹전쟁 1793~1815) 영국은 그 도전을 물리쳤다. 20세기 초반, 대륙국가 독일은 두 번에 걸쳐 영국의 패권적 지위에 도전했고(1차 세계대전 1914~1919, 2차 세계대전 1939~1945) 이 두 차례의 세계..

15강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3) 전쟁과 강대국

15강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3) 전쟁과 강대국 Revolt by Nadav Eyal : The Worldwide Uprising Against Globalization (2021. 1. 26) 반동 : 세계화에 반대하는 전 지구적 반란 (2) 전쟁 잘하는 나라들의 이야기 : 강대국 과 강대국의 흥망 성쇄 1) 강대국의 의미(What is a Great Power?) 국제 사회에서 모든 국가들은 평등하다고 주장하지만 그것은 법적인 차원에서 그렇다는 것일 뿐, 실질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닭이 모이를 쪼아 먹는 데도 그 순서가 있을 정도(pecking order)인데 국제 사회에서 나라들 간의 평등이란 그저 희망 사항일 뿐이다. 뿌려준 모이를 먼저 달려와 더 많이 먹기 위해서는 당연히 힘이 ..

14강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2) 국가와 민족주의의 재부상

14강 전쟁의 원인 : 국가 및 사회적 차원(2) 국가와 민족주의의 재부상 War and the Rise of the State by Bruce D. Porter : The Military Foundations of Modern Politics (1994) Bruce D. Porter (1952~2016) 브루스 포터(Bruce Porter)는 민족 국가라는 조직은 사실 전쟁을 위하여 만들어진, 전쟁을 벌이기 가장 좋은, 그리고 전쟁과 더불어 성장한 조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르네상스 이래 2차 대전에 이르기까지 전쟁을 통해 국가들의 중앙 정부의 힘과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며 역설적으로 '외국과 싸우기 위한 국력은 동시에 자국 내부의 저항을 누르는 힘'이 되었다고 말한다. 물론 전쟁을 잘하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