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기박물관 4

[전기박물관] 04

[전기박물관] 04          대규모 발전소의 건립 전기가 궁궐을 벗어나 민간에 보급되려면 그에 걸맞은 대규모 발전설비가 필요했다. 당시 경복궁과 건청궁에 설치된 전등소는 궁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제한된 수준의 전기설비에 불과했다. 특히 한성전기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전차를 운영하려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였다. 한성전기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전차를 운영하려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였다. 한성전기는 앞으로 벌일 전등 · 전화 사업과 민간 영역에서의 전기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고 1898년부터 대규모 발전소를 세울 준비에 들어갔다. 이 땅에 첫 발전소가 들어선 지 불과 10여 년 만의 일로, 날이 갈수록 속도를 내는 근대화의 바람을 상장하는 일대 사건이었다.       동대문발전소 주변 전경..

[전기박물관] 03

[전기박물관] 03                한성전기회사 사옥 1901년 9 ~ 10월 사이 종로대로 (현 장안빌딩)에 대지 533평 지상건물 203평 규모로 공사비 7만 5,000원을 투입해 세운 한성전기회사의 사옥이다. 옥상에 전기로 움직이는 시계탑이 설치된 르네상스풍의 최신식 2층 건축물로, 당시에는 근대화의 상징이자 한성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였다. 1902년 1월 화재로 건물 일부가 소실되었으나 7월까지 복구공사를 해 본래 모습을 되찾았다. 은행 설립의 야심을 품은 콜브란과 또 다른 도급업자 해리 보스트윗 (Harry Bostwick) 측은 은행 업무를 고려해 내부를 꾸몄고, 이곳을 '황실대한은행빌딩 (The Imperial DaiㅡHan Bank Building)' 이라 불렀다. 이후 한성전기회..

[전기박물관] 02

[전기박물관] 02       건청궁의 빛, 근대국가를 꿈꾸다 전력산업은 세계적으로 1880년대에 형성돼 20세기 전반에 걸쳐 급속도로 성장했다. 근대 상공업 발달에 필수적인 조명과 동력을 제공하는 기초산업 basic industry으로서 화학과 금속 등 전력다소비산업 발전을 이끌어 제2차 산업혁명 시기에 중심역할을 수행했다. 또 기준의 석유등 · 가스등, 증기기관, 재래식 취사 · 난방 기구 등을 대체하면서 근대 도시민의 일상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이자 공익사업 public utility으로 자리 잡았다.조선은 강화도 조약 이후 부산 · 원산 · 인천을 개항하고, 물밀 듯 밀려오는 서구의 물결 속에서 근대화의 도태인 전기산업에 주목했다. 개항장을 통해 외국의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는 한편, 청 · 일본 ..

[전기박물관] 01

[전기박물관] 01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72길 60    전기, 인류와 함께 하다 인류 최초의 에너지는 불이었다. 원시 인류는 화산이나 번개로 우연히 붙은 불을 활용했다. 오랜 시간 끝에 인류는 불로 밤을 밝히고, 온기를 얻고, 음식을 익히는 등 불을 다스리는 법을 배웠고, 문화적 · 생물학적으로 진화해 왔다.인류가 또 다른 에너지로 전기를 인식하고 활용한 것은 문명이 시작된 이후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인 탈레스 Thales는 기원전 600년경 호박 琥珀이라는 보석을 문질러 마찰전기가 발생하는 현상을 기록으로 남겼다. 고대 로마에서는 전기 물고기의 전기 충격을 두통과 관절염 치료에 활용하기도 했다.르네상스 시기를 거치며 사람들은 다시금 자연과학으로 눈을 돌렸다. 16세기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