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무대 위 인문학 30

[청소년극]

[청소년극] ▲ 청소년들이 직접 제작에 참여한 연극 ‘영지’ 한 장면. / 국립극단 10대가 직접 참여해 성장 · 상처 · 치유극으로 만들었죠 국립극단 '연구소' 에 청소년들 활동 트라우마 이겨내는 우정 이야기 무거운 주제도 명랑하게 풀어내요 어린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어른도 아닌, 그 중간 어딘가의 특별한 시기를 우리는 청소년이라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에 대한 정의는 조금씩 다른데요. '청소년 기본법' 에서는 청소년을 9세 이상 24세 이하로 규정하지만, '청소년 보호법' 에서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미성년자' 처럼 만 19세 미만을 청소년이라 하지요. 하지만 보통 우리는 '10대' 를 청소년이라고 부릅니다. 인생의 주기에서 '청소년' 은 신체와 마음 모두 성숙해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가정과..

[우리 전통 춤의 현대화]

[우리 전통 춤의 현대화] ▲ 오는 20 ~ 22일 우리나라 춤 장르 최초로 미국 뉴욕 링컨 센터에서 공연되는 ‘일무’ 공연 장면. / 세종문화회관 55명 무용수의 오차 없는 군무··· 전자 음향 넣기도 세조 때 만들어 종묘서 췄던 '일무' 뉴욕 링컨 센터 무대에도 올라요 '산조' 는 불협화음의 아름다움 담아 우리나라 전통 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보통은 한복을 입고 느릿한 장단에 맞춰 움직이는 장면이 떠오를 텐데요. 최근 몇 년간 우리 전통 춤과 음악을 현대적으로 해석해 창작한 공연이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세종문화회관 무대에 오른 '일무' (5월 25 ~ 28일)와 국립극장에서 공연한 '산조' (6월 23 ~ 25일)를 꼽을 수 있어요. '일무' 는 오는 20일부터 ..

[영상으로 보는 공연]

[영상으로 보는 공연] ▲ 영국 내셔널 시어터 ‘엔티 라이브 (NT Live)’ 중계를 위해 공연을 촬영하는 모습. / NT Live '빈 필 음악회' 100여국 TV로 중계··· 메타버스 클래식 공연도 英 내셔널 시어터 공연 '햄릿' 등 전 세계 3000여 극장에서 상영 코로나 이후 집에서 관람하는 문화로 코로나가 사실상 엔데믹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3년 넘는 코로나 팬데믹 동안 공연 산업이 당한 피해는 매우 클 수밖에 없었어요. 공연은 극장이라는 장소에 다 같이 모여 배우와 관객이 마주하는 '현장성' 이 중요한 예술이기 때문이지요. 많은 공연이 예정된 일정을 취소해야 했고, 좌석 띄어 앉기로 공연장 밀집도를 낮추는 방법을 택하기도 했어요. 코로나 시기 현장 공연의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온라인으..

[여성 주인공의 자아 찾기]

[여성 주인공의 자아 찾기] 뮤지컬 '호프' 공연 장면. 오른쪽은 원고를 의인화한 캐릭터 'K'와 에스더 호프의 극중 캐릭터 '마리' / 알앤디웍스 19세기 英 '야설 작가'와 나혜석 의 인생··· 당당한 여성 그려 1800년대 "난 야한 여자" 외친 안나 '현부양부' 왜 없을까 질문한 나혜석 '카프카 원고' 재판 실화 다룬 뮤지컬 요즘 공연에선 여러 여성 주인공이 무대에 오르고 있습니다. 여성 관객을 중심으로 하는 종전 공연계에서는 자연스레 남성 배우 중심으로 공연을 많이 제작해왔어요. 최근 공연계에 일어나는 변화는 여성 서사가 더욱 확장된다는 점에서 환영할만한 일이지요. 무대에서 사랑받는 여성 주인공을 다룬 세 작품을 만나봐요. 카프카의 미발표 원고 소송을 다룬 '호프' 뮤지컬 '호프' (다음 달 1..

['흥부 아내'와 '정년이']

['흥부 아내'와 '정년이'] 창극 '흥보 마누라 이혼소송 사건'의 공연 장면. / 국립정동극장 한국식 오페라 '창극' 유행··· 흥부 아내 이혼소송도 무대에 해학과 익살 앞세운 '흥보가' 각색 웹툰 '정년이'도 창극으로 재탄생 1950년대 인기 끈 여성국극 그렸죠 최근 창극 (唱劇)의 인기가 뜨거운데요. 판소리가 창자 (唱者)와 고수 (鼓手) 두 사람이 소리를 중심으로 펼쳐놓는 음악 위주의 일인극이라면, 창극은 다채로운 배경을 무대로 여러 창자가 등장인물을 맡는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창극은 서양의 종합예술 '오페라'에 비견되는, 연주에 연기 · 무용을 더한 풍성한 볼거리 중심의 공연이죠. 그래서 전통 판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젊은 관객들까지 공연장으로 불러들일 수 있어요. 그럼 최근 공연됐거나 공연 예정..

[무대 위의 고전]

[무대 위의 고전] 29일까지 상연하는 연극 '파우스트'의 한 장면. / 샘컴퍼니 '파우스트' '안나 카레니나' ··· 명작들 줄줄이 무대에 괴테가 57년 동안 쓴 '파우스트' 영화 · 뮤지컬 · 오페라로 재탄생 톨스토이 · 안나 만나는 작품 각색도 오래전 대문호 (大文豪)가 남긴 명작은 지금까지도 다양한 공연 예술 장르로 변주되며 사랑받고 있습니다. 독일 작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평생을 바쳐 쓴 역작 '파우스트'는 연극 (29일까지 · LG아트센터)으로 제작됐어요. 러시아 작가 레프 톨스토이가 중년에 이르러 삶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쓴 '참회록'과 그의 대표작 '안나 카레니나'도 최근 음악극으로 재탄생해 관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지요. 29일까지 상연하는 연극 '파우스트'의 한 장면. / 샘컴퍼니 ..

[셰익스피어 인 러브]

[셰익스피어 인 러브] 연극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장면들. / 쇼노트 남장 여배우와 사랑에 빠진 젊은 시절 대문호 이야기 1999년 오스카상 영화를 연극으로 '로미오와 줄리엣' 탄생 배경 설명해 실재 인물 등장하지만 내용은 허구 '로미오와 줄리엣'은 사랑에 빠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실제 이야기다? 199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비롯해 총 7개 부문을 휩쓸었던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가 연극으로 제작돼 오는 26일까지 예술의 전당에서 공연됩니다. 셰익스피어와 크리스토퍼 말로 등 희곡 작가들이 대거 활약했던 '연극의 시대'가 스크린을 벗어나 무대 위에서 생생하게 펼쳐지고 있는 셈이죠. 2014년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초연된 이 연극은 영화 '빌리 엘리어트', 연극 '광부 화가들' 등으로..

[드라큘라]

[드라큘라] 브로드웨이 버전 뮤지컬 '드라큘라'에서 주인공을 맡은 가수 김준수가 관 안에서 노래하고 있어요. / 오디컴퍼니 1897년 흡혈귀 이야기, 뮤지컬 · 연극으로 재탄생했어요 아일랜드 작가 스토커의 소설이죠 韓공연 뮤지컬은 체코 · 미국 두 버전 원작 원용해 새 연극도 만들었대요 "흡혈귀 (吸血鬼)의 입술이 목에 닿는 느낌을 아십니까? ㅡ 10월 30일, 미나 머리의 일기 중에서 아일랜드 작가 브램 스토커 (Bram Stoker · 1847 ~ 1912)는 구전으로 떠돌던 흡혈귀 전설을 모은 소설을 써서 1897년 발표합니다. 병약한 어린 시절에 침대 머리맡에서 어머니가 들려준 기괴한 전설과 귀신 이야기가 자양분이 됐지요. 이 책이 바로 '드라큘라' 입니다. 산업혁명의 시작으로 새로운 과학 기술에..

[뮤지컬 · 영화 '영웅']

[뮤지컬 · 영화 '영웅'] 뮤지컬 '영웅'에서 안중근 (가운데 맨 앞)과 동지들이 손가락을 절단하고 혈서를 써 독립의 결의를 다지고 있는 장면. 사람들 뒤로 핏빛으로 '대한독립'이라고 새겨진 태극기가 펄럭이고 있습니다. / 에이콤 맹세에서 저격까지 마지막 1년··· 美 링컨센터에서도 공연 안중근 의사 실화 바탕으로 제작 의거 100주면에 뮤지컬 첫 공연 최근 영화로도 만들어 동시 개막 1909년 2월, 매서운 겨울바람이 부는 러시아 연해주 남단 크라스키노. 흰 눈이 덮인 자작나무 숲에 안중근 의사 (1879 ~ 1910)와 독립운동 동지 11명이 모였습니다. 안 의사는 왼손 넷째 무명지를 잘라내 태극기 위로 '대한독립 (大韓獨立)' 이라는 혈서를 써내려 갑니다. 흰 눈 위로 검붉은 핏빛이 번지고, 동지..

[로제타 셔우드 홀]

[로제타 셔우드 홀] ❶ 미국인 의사 로제타 셔우드 홀. 구한말 조선 의료계에 투신해 의학전문학교와 맹학교를 설립합니다. ❷ 한국인 최초의 양의사였던 박에스더. 로제타의 통역을 도운 인물이기도 하죠. ❸ 리빙 시어터의 창립자 줄리엔 벡 (맨 위)과 주디스 말리나 (가운데)가 연극 리허설에 참여하고 있는 모습. ❹ ❺ 연극 '로제타 셔우드 홀'의 한 장면. 로제타가 조선에서 의료 활동을 하던 도중, 치료하던 아픈 아기가 목숨을 잃게 되자 괴로워하는 모습. ❻ 연극 '로제타 셔우드 홀'의 한 장면. 로제타의 남편 윌리엄이 열악한 환경에서 의료 활동을 벌이다 전염병에 걸려 목숨을 잃게 되자 주변 지인들이 다 같이 슬퍼하는 모습. 60여년 한국서 생명 구한 美 의사, 한인 첫 洋의사도 키웠죠 박에스더 유학시켜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