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함상공원 GIMPO MARINE PARK(2)
해군의 역사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Navy
1945
08월 21일 해사대 조직
11월 11일 해방병단 결성
1946
01월 14일 국방사령부 편입
06월 15일 조선해안경비대로 개칭
1948
09월 05일 대한민국해군으로 정식 발족
1949
10월 17일 최초의 전투함 (PC-701 백두산함) 구입
04월 15일 해병대 창설
1973
10월 10일 해병대 해군에 포함
1987
11월 01일 해병대 사령부 창설
1993
06월 17일 해군본부 계룡대 이전 및 개편
해군의 목표와 임무
Roles and Missions of Republic of Korea Navy
해군의 목표
대한민국 해군은 국가보위와 민족 번영을 뒷받침하는 핵심전력으로서,
◐ 자주적인 해군력을 구축하여 전쟁을 억제한다
◑ 해양우세권을 확보하여 전승을 보장한다
◐ 해양활동을 보호하여 국가이익을 증진한다
◑ 해군력을 현양하여 국위를 드높인다
해군의 임무
해군은 해상작전 및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고 이를 위하여 편성 · 장비되며 필요한 교육 · 훈련을 실시한다 (국군조직법 제3조 2항)
해병대의 역사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1949
04월 15일 해병대 창설
1950
0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참전
1954
02월 01일 제1해병여단 창설
1955
03월 26일 해병대사령부 서울용산 이전
1965
10월 09일 해병대 월남전 파병
1973
10월 10일 해병대 해군에 통합 (해병대사령부 해체)
1987
11월 01일 해병대사령부 재창설
1994
04월 06일 해병대사령부 발안으로 이전
2008
02월 20일 연합 해병 구성군 사령부 창설
해병대의 목표와 임무
Roles and Missions of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해병대의 목표
대한민국 해병대는 국가보위를 위한 군사전략 수행의 핵심전력으로서,
◐자주적 상륙작전을 구축하여 전쟁억제 기여
◑ 모든 전장에서 승리
◐ 국익증진 및 국가정책 지원
해병대의 임무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주 임무하고 이를 위해 편성 · 장비되며, 필요한 교육 · 훈련을 한다 (국군조직법 제3조 2항 14조 4항)
기초군사훈련
해병대 신병 훈련프로그램
Recruits training program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입소해 2주째가 되면 본격적인 훈련에 돌입한다.
첫 번째가 공수기초훈련 등을 시작으로 하며 체력강화도 목표지만 무엇보다도 단결력을 강화해야만 이겨낼 수 있는 과정이다. 5주째 훈련은 극기를 주된 목표로 삼으며 전술무장행군 등을 하며 극한의 극기훈련과정으로 이어진다. 해병의 기초훈련은 단결과 극기로 모아진다.
돌격상륙전을 수행하려면 강인한 의지와 단결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고무보트를 이용한 침투에서 대원의 단결이 성패를 가름하며 물러설 곳이 없는 상륙전에서 강인한 의지만이 적진을 돌파할 수 있다. 21세기 입체적인 강습상륙전에 대비한 암벽등반, 유격, 공수훈련도 포함돼 있다. 이런 훈련을 거쳐 비로소 대한민국의 해병이 된다.
구분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6주 |
목표 | 군기본자세완성 | 해병정신함양 | 사격술 완성 | 전투체력 완성 | 극기심 함양 | 기초전술 완성 |
표어 | 복종 | 단결 | 인내 | 인내 | 극기 | 명예 |
월 | 지휘관 시간 입소식 장병기본권 성인지력향상 군사기초훈련 |
공수기초훈련 | 예비사격술 | 유격기초훈련 | 비상소집/목봉체조 전술무장행군 공용화기사격 야간전술보행 야전숙영 |
군사기초 / 종합평가 |
화 | 개인화기이론 안보교육 사고예방 / 안전교육 군사보안 군인복무규율 |
상륙전 소개교육 KAAV 탑승 IBS 기초훈련 |
개인화기사격술 표적탐지 |
유격기초훈련 | 전술무장행군 각개전투 (TNT 폭파시범) 전투병생존법 정신교육 / 야전숙영 |
교육사열 초도피복지급 |
수 | 해군소개 경계 인격지도교육 |
병과면담 정신교육 인격지도교육 |
개인화기교육 야간평가사격 |
수류탄투척훈련 | 고지정복훈련 부대복귀 |
해병대발상지답사 (빨간명찰 수여식 포함) |
목 | 해병대정신 / 전투사 역사관 견학 정신훈화 정훈교육 정복사진촬영 |
사격술이론 군사기초(국군도수체조) 정복사진촬영 |
개인화기사격 인격지도교육 |
화생방실습 시가지전투 |
군사기초훈련 | 지휘관시간 / 행정 정신훈화 지휘관시간 / 행정 |
금 | 화생방 경계 |
전투병생존법(응급처치) 전투수영 |
정신교육 / 평가 전투수영 |
목봉 / 격투봉 부대공개배치 군사기초훈련 |
군사기초훈련 교육사열준비 |
수료식 병력인솔 |
토 | 전투체력 | 전투수영 | 전투수영 | 군사기초훈련 | 군사기초훈련 | 휴무 |
해병대 신병
교육훈련프로그램 현황
해병대는 '투철한 해병대 정신과 강인한 전투체력으로 단련된 정예 해병 양성'을 신병 훈련의 기본 목표로 하고 있다. 신병양성은 경북 포항에 위치한 해병교육훈련단에서 총 6주간 실시된다.
해병대의 기본훈련은 타군과 같이 정신교육, 기본군사훈련, 소양교육, 전투체육, 사격훈련 등 해병대 특성화 훈련이 포함되어 총 7개 분야의 과목을 260시간 동안 받는다.
기초군사훈련
완전군장 체험
Experience in all military equipment
50년대 - 60년대 완전군장
한국군의 완전군장은 M1 소총 또는 반자동 칼빈 소총과 탄약 수류탄 등 개인화기에 대검, 야전삽, 전투화, 모포, 반합, 수통, 쌀 등에 불과했다.
때로는 미군에게서 지원받은 판초우의를 지니기도 했다. 장비가 적엇어도 모포 등의 무게가 무거워 완전군장은 가볍지 않았다.
기초군사훈련
완전군장 체험
Experience in all military equipment
70년대 - 80년대 완전군장
개인화기로 M16 자동소총을 지급받았고 M16 탄창 9개, 실탄 170발, 수류탄 2발, 유탄발사기 탄환, 연막탄, 대검 등의 무기에 방탄복, 수통 4개, 전투식량 7일분, 판초우의, A텐트, 여전삽, 함구, 전투화, 모기약 등 상당히 많은 군장을 지녔다. 작전 중에는 무게가 30kg 이상되기도 했다.
기초군사훈련
완전군장 체험
Experience in all military equipment
현재 완전군장
개인 / 공용화기, 탄창, 실탄, 수류탄, 전투화, 대검, 수통, 방독면, 구급대, 정수제, 제독제, 반합, 판초우의, 야전삽, 전투식량, 개인텐트와 겨울에는 방한복 침낭까지 추가돼 40kg이나 된다.
함운용 훈련
Warship Training
군함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함정 내부에서 명령을 전달하고 다른 함정과 통신을 해야 한다.
함정 내부에서는 유선전화나 전송관을 통해 명령을 전달한다.
다른 함정과의 통신은 대부분 무전으로 하고 있으나 특별한 상황에서는 무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은밀하게 작전을 수행할 때 아군 함정끼리의 무선 교신은 함정의 위치를 노출시킬 위험이 있다. 이럴 때 다른 함정과 서치라이트나 신호기 또는 수기신호를 이용해 통신을 한다.
이런 통신 방법은 국제적으로 규칙이 정해져 있다. 서치라이트는 불빛이 깜빡이는 시간을 조절해 모스 부호를 만들어 보낸다. 신호 수기는 알파벳과 숫자가 지정된 68개의 깃발을 조합, 게양해 통신문을 만들어 상대편에게 보낸다. 수기 신호는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되며 사람이 오른손에 붉은 기, 왼손에 흰 기를 들고 양팔을 동작시켜 만든 통신문을 보낸다.
체험관 (승리를 향하여 GOGO)
- 관람객들이 직접 해군이 되어 패널뿐 아니라 아바타체험, 검색 키오스크등을 통해 기본적인 군사지식을 습득하고 IBS훈련과 하선망체, 레벨 등 해군의 특수부대코너의 훈련을 체험
- 하갑판의 하부에 위치한 기관실 상부를 유리로 설치하여 이색적인 볼거리와 정보를 제공
상륙작전 IBS
Landing Operations with IBS
해상침투는 함정을 떠나 고무보트(IBS Inflatable Boat Small)를 이용해 해안에 상륙해야 하는 훈련이다. 해병이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 과정이면서 고된 훈련이기도 하다. 고무보트를 탄 팀원들은 단결된 힘으로 노를 저어 거친 파도를 헤치고 해상에서 2km 이동한 후 해안 4km를 완전무장(25kg)을 한채 20분대에 주파해야 한다.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 팀원의 단결이 중요하다.
해군특수부대
Navy Special Forces
대한민국 해군의 특수부대는 특수전여단(UDT / SEAL)과 해난구조대(SSU) 등이 있다. 이들 부대는 유사시 육 · 해 · 공 전천후 작전수행과 전 · 평시 해난사고에 대한 구조를 전문으로 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특수전여단(UDT / SEAL)는 초창기에는 수중파괴임무(UDT) 만을 수행했으나 지금은 지 · 해 · 공 전천후 특수타격임무(SEAL), 폭발물 처리(EOD), 해상 대테러 임무 등 4개 임무를 수행하는 'UDT / SEAL'로 불리운다. 해난구조대(SSU)는 1950년 해상공작대로 창설되어 1955년 해난구조대로 명칭을 변경 후 현재 심해 구조작전을 전문으로 해상 선박 조난시 인명과 선박구조, 항만 내 장애물 제거, 수중 침몰선 구조 등의 특수임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군의 특수부대는 전세계 특수부대 중 독특한 형태로 다양한 임무만큼이나 선발과정에 있어서 극한의 육체적, 정신적 훈련과정이 뒤따른다.
故 한주호 준위
Late Warrant Officer Han Ju-ho
한주호(韓主浩, 1958년~2010년)는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해군 UDT에서 준사관(준위)을 역임하였다.
1975년 2월 해군에 하사로 입대하고 그 후 준사관 과정을 지원하여 준위로 임관하였다.
또한 지난 2002년 8월 KBS에서 UDT요원이 되기 위한 48기 훈련생도들의 훈련과정을 생생히 담아 보도한 수요기획 "지옥에서 살아오라!"에서 훈련교관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0년 3월 29일 천안함 침몰 사건이 발생하자 실종자를 구조하기 위해 바다로 뛰어들었다가 잠수병 증세로 치료 중 사망, 순국하여 보국훈장 광복장이 추서되었다.
한주호 준위는 동료들과의 통화에서 '오늘(2010년 3월 30일)안으로 모든 실종자들을 책임지고 구조해 내겠다'고 말하고 구조 작업에 나섰다.
한주호 준위는 주위 사람들에게는 따뜻한 인격을, 임무에 잇어서는 강인한 책임감으로 무장된 아주 훌륭한 군인이였다.
경력
1975년 2월
특전 27차 해군부사관 입대
1975년
미합중국 해병대 특수전 단기과정 수료
2009년
청해부대 1진 파병
2010년 3월
대한민국 해군특수전여단 교육훈련대 준위
대한민국 해군특수전여단 교관
표창 및 훈장
2010년 충무무공훈장
2010년 보국훈장 광복장
합참의장 표창
국방부장관 표창
퇴역 포항함에 설치된 故 한주호 준위 동상
헬기리펠과 공수훈련
Helicopter Rappel and Oarachute Airborne Training
헬기레펠(저고도급속하강)은 공중에 떠 있는 헬기에서 병사들이 로프를 타고 착지하는 방법이다. 암벽등반의 하강과 거의 같지만 공중에서 붕 뜬 채 하강해야 하기 때문에 몸이 빙빙 돌거나 잘못하면 뒤집힐 수도 있다. 하네스, 8자하강기, 카라비나, 레펠장갑 등을 갖춰 하강전에 로프를 끼운 다음 로프를 타고 신속하게 하강하고 착지시 정확하게 제동해야 한다. 최근 신속한 침투가 필요한 유격과 수색작전에서 헬기레펠이 자주 이용되고 있으며 현대전에서 점점 활용 범위가 커지고 잇다. 헬기레펠과 비슷한 패스트로프는 하강장비 없이 손과 발에 로프를 걸고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고난도의 기술로 추락할 위험이 크다.
공수훈련은 수송기로 작전 지역에 침투하는 강습상륙작전으로 낙하산을 이용하며, 헬기레펠과 같이 현대전에서 더욱 중요한 훈련이 되고 있다. 기초로 착지, 낙하산 조정, 막타워 훈련, 낙하산 점검 및 접기, 비상 낙하산 사용, 수송기내에서의 수신호와 이에 다른 행동요령 등을 훈련한다.
해군 특수부대 교육훈련 프로그램
Navy SEAL Training Program
● 해군 특수여전단 UDT / SEAL
Underwater Demolition Team / Sea, Air and Land
한국 해군 특수전여단의 모체는 1954년 해군 상륙전대 예하의 해안대 수중파괴대(UDT)이다. 美 해군의 UDT 과정을 이수한 교관요원 7명을 기반으로 자체 UDT 교육과정의 1차 수료자 25명을 포함한 32명으로 한국의 수중파괴대(UDT)가 발족되었고 현재는 4개 임무(UDT, SEAL, EOD, CT)를 동시에 수행하는 'UDT / SEAL'로 불리운다.
교육과정
◐ 해군 UDT / SEAL 1단계 훈련(기초) : 기초체력단련, IBS / 극기훈련
◑ 해군 UDT / SEAL 2단계 훈련(전문) : 특전전술, 폭파 / 정찰
◐ 해군 UDT / SEAL 3단계 훈련(전문) : 특전전술, 폭파 / 정찰
● 해군 구조대 SSU
Ship Salvage Unit
1950년 9월 1일 해상공작대로 창설되어, 1955년 해난구조대로 명칭 변경한 해난구조대는 지난 60여년간 알려지지 않은 전 / 평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특수부대이다. 해난구조대는 전 / 평시 해난구조를 목적으로 운용되는 부대로써 시술수준을 꾸준히 향상시켜 현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심해잠수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교육과정
◐ 해군 SSU 구조병과정 : SCUBA 임무수행, 항공구조 기초 / 12주
◑ 해군 SSU 초급반 : SSDS / AIR 임무수행, 초급구조전 / 24주
◐ 해군 SSU 중급반 : SSDS / MIX 임무수행, 중급구조전 / 10주
◑ 해군 SSU 고급반 : 잠수감독관, 고급구조전 / 7주
◐ 해군 SSU 특수과 [SAT DIV] : 포파잠수사 및 생환지원사 양성 / 14주
◑ 해군 SSU 특수과 [D. S. R. V] : 심해잠수구조정 조종사 및 정비사 양성 / 12주
해군 특수부대 연혁
History of Navy SEAL
◐ 해군 특수여전단 UDT / SEAL
Underwater Demolition Team / Sea, Air and Land
1954. 6. 23 상륙전대 예하 해군해안대 창설, 해안대 예하 UDT 창설
1955. 11. 9 수중파괴대(UDT) 창설
1955년 11월 9일 미 UDT과정 이수자 교관요원 7명과 B-(UDT 기초) 과정 제1차 수료자 25명 계 32명으로
구성, 해안대(현 상륙지원대) 예하 수중파괴대(UDT)가 발족
1968. 5. 1 폭발물처리대(RCD) 창설
1976. 1. 1 특수전(SEAL) 임무 추가
1983. 1. 1 특공작전대를 모체로 제25특전전대 개편 창설
1986. 2. 1 작전사 5전단 창설 (56특전전대로 개편)
1993. 12. 1 대테러 임무 추가 (특수임무대 창설)
1998. 4. 1 특수선박대 창설
2000. 1. 1 해군 특수전여단 창설
2007. 12. 21 특수전전단 창설
2009. 1. 1 특수전전단 → 특수전여단 재개편
◑ 해난구조대 SSU
Ship Salvage Unit
1950 해상공작대로 창설
1955 해난구조대로 명칭 변경
1964 남해도 간첩선 인양
1976-1984 신안 해저유물 탐사 및 인양
1979 남해 격비도 간첩선 인양
1983 부산 다대포 앞바다 북 간첩선 인양
1993 서울 성수대교 붕괴시 탐색구조 실시
1993 서해 위도 훼리호 침몰사건 구조
1996 강릉 안인진 좌초 북 잠수함 나포 및 인양
1997 동해 경주 활용사 대종 탐사
1999 남해 북 반잠수정 인양
2002 서해 참수리-357호정 인양
2002 비안도 해저유물 탐사 및 인양
2003 합천호 119헬기 인양 및 사체 탐색
대한민국 해군 함정
구축함 : 과거부터 현대까지 국민들로부터 영웅으로 추앙받는 역사적 인물이나 국난극복에 크게 기여한 호국인물
초도함 광개토대왕(DDH-971) 구축함 DDH-I
◆ 광개토대왕함
◆ 을지문덕함
◆ 양만춘함
톤수 3,200t / 길이 135m
최대속력 30kts (55km / h)
항속거리 약 8,300km
승조원 220여 명 / 127mm 함포
경어뢰 함대함 / 함대공 유도탄 30mm
근접방어무기체계
충무공이순신함 (DDH-975) 구축함 DDH-II
◆ 충무공이순신함 ◆ 문무대왕함
◆ 대조영함 ◆ 왕건함
◆ 강감찬함 ◆ 최영함
톤수 4,400t / 길이 150m
최대속력 29kts (54km / h)
항속거리 약 10,200km
승조원 230여 명 5inch 함포
장거리 대잠어뢰 함대함 / 함대공 유도탄
대함 유도탄 방어 유도탄 30mm
근접방어무기체계
세종대왕함 (DDG 991) 이지스 구축함(DDG)
◆ 세종대왕함
◆ 율곡이이함
◆ 서애류성룡함
톤수 7,600t / 길이 166m
최대속력 30kts (55km / h)
항송거리 약 10,200km
승조원 300여 명 / 5inch 함포
장거리대점어뢰 함대함 / 함대공 유도탄
대함유도탄 방어 유도탄 30mm
근접방어무기체계 이지스 전투체계 운용
호위함 : 도, 특별 · 광역시, 도청 소재지 지역명
초계함 : 시 단위급 중 · 소도시 지역명
인천함 (FFG-811) 호위함 (FFG)
◆ 인천함 ◆ 경기함
◆ 전북함 ◆ 강원함
◆ 충북함
톤수 2,500t / 길이 114m
최대속력 30kts (55km / h)
항속거리 약 8,300km
승조원 120여 명 5inch 함포 경어뢰
함대함 유도탄
대함 유도탄 방어 유도탄 20mm
근접방어무기체계
서울함 (FF-952) 호위함 (FF)
◆ 서울함 ◆ 충남함
◆ 마산함 ◆ 경북함
◆ 전남함 ◆ 제주함
◆ 부산함 ◆ 청주함
톤수 1,500t / 길이 102m
최대속력 36kts (66km / h)
항속거리 약 8,200km
승조원 150여 명
76mm / 40mm 함포 경어뢰
함대함유도탄
김천함 (PCC-761) 초계함 (PCC)
◆ 김천함 ◆ 충주함 ◆ 진주함
◆ 여수함 ◆ 진해함 ◆ 순천함
◆ 익산함 ◆ 원주함 ◆ 안동함
◆ 부천함 ◆ 성남함 ◆ 제천함
◆ 속초함 ◆ 영주함 ◆ 남원함
◆ 광명함 ◆ 신성함 ◆ 공주함
톤수 1,000t / 길이 88m
최대속력 31kts (57km / h)
항속거리 약 6,800km / 승조원 110여 명
76mm / 40mm 함포 경어뢰,
함대함유도탄
대형수송함 : 대한민국 영해수호 의지를 담아 한국해역 최외곽에 위치한 도서명
고속상륙정 : 고속으로 기동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솔개와 같이 민첩한 조류명
상륙함 : 상륙 후 고지 탈환의 의미를 내포하도록 지명도 높은 산봉우리명
독도함 (LPH 6111) 대형수송함 (LPH)
◆ 독도함
톤수 14,500t / 길이 199m
최대속력 25kts (42km / h)
항속거리 약 28,600km
승조원 330여 명
대함유도탄 방어 유도탄 30mm
근접방어무기체계 지휘통제함
임무수행 상륙병력, 전차, 헬기,
LSF 탑재
솔개 631정(LSF 631) 고속상륙정 (LSF-II)
◆ 솔개
톤수 90t / 길이 27m
최대속력 40kts (74km / h)
항속거리 약 185km
승조원 5명
127mm 기관총 전차 1대
병력 24명 탑재
성인봉함 (LST-685) 상륙함 (LST)
◆ 고준봉함 ◆ 비로봉함
◆ 향로봉함 ◆ 성인봉함
톤수 2,600t / 길이 112m
최대속력 17kts (31km/ h)
항속거리 약 12,700km
승조원 120여 명
40mm, 20mm 함포 상륙병력,
전차, 헬기 탑재
선도함 천왕봉 (LST-686) 상륙함 (LST-II)
◆ 천왕봉함
톤수 4,900t / 길이 126m
최대속력 23kts (42km / h)
항속거리 약 14,800km
승조원 120여 명
40mm 함포,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
상륙병력, 전차,
헬기 상륙정 및 고속단정 탑재
기뢰부설함 : 6 · 25 전쟁시 우리 해군이 기뢰전을 수행한 북한의 지역명
기뢰탐색함 : 해군 기지에 인접한 군 · 읍 지역명
소해함 : 해군기지에 인접한 군 · 읍 지역명
원산함 MLS-560) 기뢰부설함(MLS)
◆ 원산함
톤수 2,600t / 길이 103m
최대속력 22kts (40km / h)
항속거리 약 8,300km
승조원 150여 명
76mm, 40mm 함포,
경어뢰 기뢰부설,
헬기 탑재 가능
남포함 (MLS-570) 기뢰부설함 (MLS-II)
◆ 남포함
톤수 3,000t / 길이 114m
최대속력 23kts (42km / h)
항속거리 약 8,300km
승조원 120여 명
76mm 함포,
경어뢰 대유도탄방어유도탄
기뢰부설,
헬기격납 가능
초도함 강경함 (MHC-561) 기뢰탐색함 (MHC)
◆ 강경함 ◆ 강진함 ◆ 고창함
◆ 김포항 ◆ 고령함 ◆ 금화함
톤수 450t / 길이 50m
최대속력 15kts (28km / h)
항속거리 약 3,700km
승조원 50여 명
20mm 함포, 기계식 소해구 탑재
무인기뢰처리기 (MDV) 탑재
양양함 (MSH-571) 소해함(MSH)
◆ 양양함 ◆ 옹진함 ◆ 해남함
톤수 730t / 길이 59m
최대속력 15kts (28km / h)
항속거리 약 5,500km
승조원 50여 명
20mm 함포
기계식, 감응식 소해구 탑재
무인기뢰처리기 (MDV) 탑재
군수지원함 : 함 특성[유 · 청수 적재] 고려 담수량이 큰 호수명
잠수함구조함 : 해양력 확보와 관련하여 역사적 인지도가 높은 지역명
수상함구조함 : 해안지역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업도시명
천지함 (AOE 57) 군수지원함 (AOE)
◆ 천지함
◆ 대청함
◆ 화천함
톤수 4,200t / 길이 133m
최대속력 20kts (37km / h)
항속거리 약 8,300km
승조원 130여 명
40mm, 20mm 함포,
유류, 탄약 보급 지원 가능
청해진함 (ASR-21) 잠수함구조함 (ASR)
◆ 청해진함
톤수 3,200t / 길이 102m
최대속력 18kts (33km / h)
항속거리 약 17,600km
승조원 140여 명
심해구조잠수정 (DSRV)
209급 잠수함 인양 가능
평택함 (ATS-27) 수상함구조함 (ATS)
◆ 평택함 [2016년 퇴역]
◆ 청해진함
톤수 2,400t / 길이 86m
최대속력 16kts (29km / h)
항속거리 약 26,100km
승조원 120여 명
20mm 함포
순양함급 예인 및
최대 120톤 인양 가능
통영함 (ATS-31) 수상함구조함 (ATS-II)
◆ 통영함
◆ 광양함
톤수 3,500t / 길이 107m
최대속력 21kts (38km / h)
항속거리 약 10,200km
승조원 120여 명
20mm 함포
항모급 예인 및
최대 300톤 인양 가능
헬기탑재 가능
유도탄고속함 : 해군 창설 이후 전투와 해전에서 희생정신을 발휘하여 귀감이 된 인물
고속정 : 속력이 빠르고 신속한 특성을 고려하여 참수리와 같은 날렵한 조류명
초도함 윤영하(PKG 711) 유도탄고속함 (PKG)
◆ 윤영하함 ◆ 한상국함 ◆ 조천형함
◆ 황도현함 ◆ 서후원함 ◆ 박동혁함
◆ 현시학함 ◆ 정긍모함 ◆ 지덕칠함
◆ 임병래함 ◆ 홍시욱함 ◆ 홍대선함
◆ 한문식함 ◆ 김창학함 ◆ 박동진함
◆ 김수현함 ◆ 이병철함
톤수 400t / 길이 63m
최대속력 40kts (74km / h)
항속거리 약 3,800km / 승조원 40여 명
76mm, 40mm 함포 함대함 유도탄
검독수리정 (PKMR-211) 고속정(PKMR)
◆ 검독수리
톤수 130t / 길이 37m
최대속력 38kts (70km / h)
항속거리 약 1,100km
승조원 30여 명
40mm, 20mm 함포
대한민국 해군 무기체계
Warship's Attack System : ROK Navy's Weapon Systems
함포
함포는 대함, 대공 및 지상작전 지원을 위한 다목적 무기체계로서 우리 해군에서는 20mm 발칸의 소구결 함포부터 127mm 대구경 함포까지 함정별 임무에 맞게 다양한 함포를 탑재하여 운용중이다. 최신의 함포는 컴퓨터를 이용한 사격 통제 체계와 연동하여 정밀사격이 가능하며, 장전부터 발사까지 전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다.
함대함미사일
주력 구축함인 세종대왕함과 충무공 이순신함에는 우리가 개발한 함대함미사일 해성과 미국에서 구입한 하푼 미사일이 장착돼 있다. 해성(자체 개발) 및 하푼 미사일은 한국형 구축함, 초계함, 유도탄 고속정에 탑재하여 장거리 정밀 적 함정 공격용으로 운용중이며 자고도로 우뢰 공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최첨단 유도탄이다.
함대공미사일
세종대왕함과 충무공 이순신함에는 적 항공기 및 함대함 미사일로부터 함정을 방어하는 SM-2과 RAM 함대공 미사일이 있다.
기뢰
기뢰는 수중에 설치해 수상함이나 잠수함을 격파하는데 사용한다. 접촉에 의해 폭발하는 폭발식, 자기나 음향, 수압의 변화에 의해 폭발하는 감응식, 육지에서 폭발시키는 조종 기뢰 등이 있다.
어뢰
어뢰는 수상함, 잠수함 또는 항공기에서 발사되어 자체 추진장치로 수중을 항주하여 수상함이나 잠수함을 공격하는 무기체계이다. 우리 해군은 함정 및 항공기에서 발사하는 경어뢰 청상어 및 함정에서 발사되어 하늘을 날다가 수면 아래로 들어가 잠수함을 공격하는 홍상어와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중어뢰 백상어 등이 있다.
함내 식당
선실로 올라가는 계단
무적해병 - 이승만 前 대통령 친필
해병대 역대 사령관
[출처 : 해병닷컴]
초대 사령관 중장 신현준
2대 사령관 중장 김석범
3대 사령관 중장 김대식
4대 사령관 중장 김성은
5대 사령관 중장 김두찬
6대 사령관 중장 공정식
7대 사령관 대장 강기천
8대 사령관 대장 정광호
9대 사령관 대장 이병문
10대 사령관 중장 김연상
11대 사령관 중장 이동용
12대 사령관 중장 정태석
13대 사령관 중장 김정호
14대 사령관 중장 최기덕
15대 사령관 중장 박희재
16대 사령관 중장 성병문
17대 사령관 중장 박구일
18대 사령관 중장 최갑진
19대 사령관 중장 조기엽
20대 사령관 중장 임종린
21대 사령관 중장 이상무
22대 사령관 중장 전도봉
23대 사령관 중장 이갑진
24대 사령관 중장 김명환
25대 사령관 중장 이철우
26대 사령관 중장 김인식
27대 사령관 중장 김명균
28대 사령관 중장 이상로
29대 사령관 중장 이홍희
30대 사령관 중장 유낙준
31대 사령관 중장 이호연
학력
- 1982년: 해군사관학교(36기) 학사
- 1986년: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31기
- 2001년: 수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수상
- 합참의장 표창(1994)
- 국방부장관 표창(1996)
- 대통령 표창(2001)
- 보국훈장 국선장(2015)
경력
- 중령: 해병대 2사단 11대대장(2003)
- 대령: 해병대 1사단 7연대장(2006)
- 준장: 해병대 6여단장(2010)[1]
- 준장: 합참의장 비서실장(2011)
- 소장: 해병대 2사단장(2012)
- 소장: 해병대 부사령관(2013)
- 소장: 국방부 전비태세검열단장(2015)
33대 사령관 중장 이상훈
역임기간 : 2015. 04. 13~2017. 04. 13
생년월일 : 1959년 5월 24일
해사 35기
34대 사령관 중장 전진구
역임기간 : 2017. 04. 13~2019. 04. 12
생년월일 : 1962년
해사 39기
학력
- 1985년: 해군사관학교(39기) 학사
- 1988년: 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 졸업
- 1992년: 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졸업
- 1994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39기
- 2004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
- 2005년 청와대 안보실 행정관
- 2008년 대한민국 해병대 제2사단 5연대장
- 2009년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작전계획처장
- 2011년 대한민국 해군본부 해병보좌관
- 2012년 한미연합사령부 연습처장
- 2012년 대한민국 해군 제주방어사령관
- 2013년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참모장
- 2014년 대한민국 해병대 제2사단 사단장
- 2016년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부사령관
- 2017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 2017년 4월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
- 2021년 9월 ~ 2021년 11월: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미래국방혁신4.0특별위원회 한미동맹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2021년 12월 ~ 2022년 1월: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산하 위원회 국방혁신위원회 부위원장
35대 사령관 중장 이승도
역임기간 : 2019. 04. 12~2021. 04. 12
생년월일 : 1964년 2월 21일
해사 40기
■ 약력
해병대 사령관 ( 2019. 4. ~ 현재)
중장 진급
합참 전비태세 검열단장 ( 2018. 1. 9 ~ 2019. 4.11)
해병대 2사단장 ( 2016. 10. 27 ~ 2018. 1. 4 )
소장 진급
해병대 사령부 전력기획실장 및 참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연습처장
준장 진급
해병대 교육훈련단장 (2012. 12.26 ~ 2013. 11. 12)
해병대 연평부대장
대령 진급
■ 학력 &
1964년 강원도 홍천 출생
홍천고교 졸업
해군사관학교 40기 졸업 (1984)
미 상륙전 고군반 수료
한국외국어대학교 공공정책 석사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수료
■ 가족관계
부인 김난희 씨와 2녀.
36대 사령관 중장 김태성
역임기간 : 2021. 04. 13~
생년월일 : 1966년
해사 42기
학력
ㅇ 1988 해군사관학교 42기 임관
ㅇ 1991 미 폭발물처리학교 수료
ㅇ 2001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ㅇ 2002 해군대학 정규과정 수료
ㅇ 2005 미 해병대 지휘참모대학 수료
경력
ㅇ 2005 해병대 제6여단 61대대장
ㅇ 2008 합참 작전본부 상륙기획장교
ㅇ 2010 해병대사 비서실장
ㅇ 2012 해병대 제2사단 1연대장
ㅇ 2013 해병대 제2사단 참모장
ㅇ 2013 해병대사 작전계획처장
ㅇ 2015 서방사 참모장
ㅇ 2015 해병대 제6여단장
ㅇ 2016 해병대사 전력기획실장
ㅇ 2017 해병대사 참모장
ㅇ 2019 해병대사 부사령관
ㅇ 2020 해병대 제1사단장
상훈
ㅇ 2009 연합사 부사령관 표창
ㅇ 2013 합참의장 표창
ㅇ 2014 대통령 표창
한국전쟁(6 · 25)사 홍보관
- 1945년도 8 · 15광복부터 2010년도 연평도 포격사건까지의 한국전쟁사 기록
● 끝나지 않은 전쟁! 6 · 25
한국 정쟁 중 인명(人命) 피해
Korean War Casualties
아군(我軍) Friendly Forces (단위 : 명)
구분 | 전사 | 실종 | 포로 | 부상 | 계 |
국군 | 137,899 | 19,392 | 8,669 | 450,742 | 616,702 |
유엔군 | 57,933 | 1,047 | 5,773 | 481,155 | 545,908 |
경찰 | 8,281 | 1,984 | 403 | 6,760 | 17,378 |
계 | 204,118 | 22,373 | 14,845 | 938,657 | 1,179,988 |
학도의용군(學徒義勇軍) Student Volunteers (단위 : 명)
구분 | 국내 학도 | 재일 학도 | 옹진 학도 | 기타 | 계 |
전사 | 1,988 | 145 | 372 | 4,500 | 약 7,000 |
적군(敵軍) Enemy (단위 : 명)
구분 | 사망 | 실종 / 포로 | 부상 | 계 |
북한군 | 508,797 | 98,599 | ? | 607,398 |
중공군 | 148,600 | 25,600 | 798,400 | 972,600 |
계 | 657,397 | 124,199 | 798,400 | 1,579,998 |
민간인 (남한) Civilians (South Korea) (단위 : 명)
구분 | 사망 / 학살 | 부상 | 납치 | 행방불명 | 계 |
인원 | 373,599 | 229,625 | 84,532 | 303,212 | 990,988 |
■ 전선교착전기 : 1951. 6. 23~1953. 7. 27
1951년 봄, 중공군의 춘계 대공세가 실패로 돌아가자, 공산군 측은 더 이상 전선조정이 불가능함을 판단하고 소련을 통해 휴전을 제의해 왔다. 이에 따라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첫 휴전회담이 열리면서 이 때부터 한국 전쟁은 일면 전쟁은 일면 협상이라는 새로운 양산을 띠게 되었고 전선은 현 휴전선 부근에서 교착된 채 전투는 치열한 고지 쟁탈전으로 변했다.
경기 북부 지역의 농가에서 동생을 업고 있는 소년 (1953. 4) [출처 : 대구인터넷뉴스]
서대문 부근의 폐허가 된 주택가(住宅街)와 하교길의 초등학생(初等學生)들 (1953. 5)
종로 인사동과 파고다공원 주변 (1953. 5)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8. 18)
제2땅굴 발견 강원도 철원 (1975. 3. 19)
울진, 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10. 30)
김신조, 청와대 습격사건 (1968. 1. 12)
연평도 포격 사건 (2010. 11. 23)
천안함 침몰사건 (2010. 3. 26)
제1 연평해전 (1999. 6. 15)
제2 연평해전 (2002. 6. 29)
제4땅굴 발견 강원도 양구 (1990. 3. 3)
제3땅굴 발견 경기도 문산 (1978. 10. 17)
휴전 회담 중 여가를 이용하여 전곡에서 아이스하키 경기를 하고 있는 카나다 장병들 (1953. 1)
백마고지 쟁탈전에서 소모된 산더미처럼 쌓인 포탄피 (1952. 10)
양구지역에서 75밀리 무반동총을 고지 정상으로 운반하는 노무단 (1952. 10)
백마고지를 탈환한 후 만세를 부르는 국군 제9사단 장병들 (1952. 10)
공습으로 크게 부서진 임진강 철교를 응급 복구하여 이름 붙여진 자유의 다리 (1953. 4)
농촌마을 마당에서 고무줄 놀이를 하고 있는 어린이들 (1953. 4)
● 전쟁의 상처 그리고 반세기를 뛰어넘는 아픔의 남 · 북 휴전
● 다시 시작되는 피난과 후퇴, 끝없는 전쟁
1 · 4 후퇴시 파괴된 한강 인도교 밑에 가설된 부교를 건너 피난길에 나선 서울 시민들 (1951. 1. 4)
서부전선에서 생포된 중공군과 국군사병 (1951. 1)
대구에서 창설된 여자 학도의용대에 입대하는 여성들 (1951. 2)
마포 방면 한강을 도하하여 서울에 진입하는 국군 제1사단 (1951. 3)
문산을 탈환하기 위한 한 · 미 보병과 전차의 협공 (1951. 3)
재반격시 화천지역에서 잔적을 소탕하기 위하여 민가를 수색하고 있는 국군 (1951. 3)
고지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탄약을 나르는 노무단원 (1951. 3)
서울 재탈환 직후 폐허로 변한 충무로 주변 (1951. 3)
전선에서 군수품 운반을 하기 위하여 대구에서 훈련 받고 있는 지게부대 (1951. 4)
양구지역의 프랑스 대대에서 일하는 전쟁 고아들 (1951. 5)
금화 남쪽 624고지에서 돌격명령을 하고 있는 미 제24사단의 분대장 (1951. 6)
동부전선을 시찰하는 이승만 대통령 (1951. 6)
전선으로 떠나기 직전 가족과 상봉하는 경찰 (1951. 6)
피(彼) · 아(我) 포격전으로 초토화된 피의 능선 (1951. 9)
한국전쟁 당시 13만여 명의 공산군 포로들이 수용되어 있었던 거제도 포로수용소 (1952. 5)
● 중공군의 인해 전술과 눈물의 흥남부두
대전 형무소에서 북한군이 무자비하게 학살한 민간인 시체더미 (1950. 10)
38도선을 돌파하여 북진하고 있는 국군 (1950. 10)
평양탈환 환영대회에 모여 태극기를 흔들며 환호하는 시민들 (1950. 10. 30)
황해도 봉산의 한 상점에 걸려있는 김일성과 스탈린의 초상화를 향하여 사격하는 호주 병사 (1950. 10)
평남 양덕으로 북진하는 국군 제8사단 (1950. 10. 17)
원산 북방에서 B-26의 폭격으로 불타고 있는 북한 화물열차 (1950. 10)
장진호 전투에서 인해전술로 공격해 오는 중공군 (1950. 11. 27)
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 저지선을 뚫고 흥남으로 이동하는 미 해병대원들 (1950. 12)
흥남철수작전을 지원하고 있는 미해군의 127전함과 폭파되어 불타고 있는 흥남항 (1950. 12. 24)
흥남철수작전에서 마지막 철수함에 승선한 미 3사단 장병들 (1950. 12. 24)
폭설과 혹한이 계속되던 원주 지구에서 전선에 투입되는 보병부대 (1950. 12)
중공군 침공 및 재반격기 : 1950. 11. 25~1951. 6. 23
국군과 유엔군은 한 · 중 국경선까지 진격하여 통일을 눈앞에 두고 있었으나, 1950년 10월부터 예기치 못한 중공군의 불법개입으로 작전상 후퇴를 하게 됨으로써 1951년 1월 4일에는 서울이 또다시 공산군의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부산에서 승선하고 있는 국군 제17연대 장병들 (1950. 9)
서울 서대문 부근의 파괴된 자기집에서 넋을 잃고 서있는 여인 (1950. 9)
여자의용군에 지원 입대하여 전선으로 향하고 있는 젊은 여성과 여학생들 (1950. 9)
B-29의 폭격을 받고 있는 원산지역의 북한군 보급기지 (1950. 9)
북한군에 의해 학살되어 처참하게 늘어져 있는 피난민들의 시체 (1950. 9)
서울 수복 당시의 서울역 주변 (1950. 9)
대구 포로수용소에서 심문을 받고 있는 북한국 포로 (1950. 9)
서울탈환작전에서 치열한 시가전을 벌인 후 수색정찰 중인 국군 (1950. 9)
서울 수복후 시가행진을 하고 있는 한 · 미 양국 장병들 (1950. 9. 29)
북한군의 포격을 받고 불에 타고 있는 마산의 미군 보급소 (1950. 9)
황해도 사리원 지역에서 북한군을 추격하고 있는 영국군 (1950. 10)
북한군에게 참혹하게 학살당한 미군 (1950. 10)
처참한 어머니의 시체를 부둥켜 안고 울부짖는 어린 남매 (1950. 10)
이발소 Barber's Shop
승조원의 함내 이발소
의무실 Infirmary
부상병 및 환자 진료실
세면실
함상의 생활
1. 함장에 대한 예의
함장 우위의 법칙 - 함장은 최상석
함장이 사용하는 함장실, 좌석, 기구 등은 누구도 출입, 사용해서는 안된다. 함정 내의 전 장병은 함장을 만날 때, 식사, 오락, 경기중, 호명당했을 때에는 차렷 자세를 취하고 경례 및 예를 갖추어야 한다. 현문을 통과할 때에는 총원이 당직사관의 지휘하에 예의를 표해야 하고 다른 함정의 함장에게도 동일하며, 함장의 권위가 지대한 것은 함장의 역할 여하에 따라 배의 운명이 결정될 수 있다는 데 있다.
2. 현문과 예식갑판 예절
현문예절
현문은 함정의 유일한 출입구이며 함정의례가 지켜지는 명예롭고 예의를 갖추는 장소이다. 출입하는 장교는 예식갑판(함미)의 국기에 경례, 현문 당직사관에게 경례, 귀함 및 이함 보고를 한다.
예식갑판 예절
고대 전선이나 현대 군함을 막론하고 배에서 가장 성역시되어 있는 곳으로 별다른 장식을 찾아볼 수는 없지만 함상의식은 관습상 후갑판에서 거행된다.
3. 예포의 유래
예포의 관습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무장이 해제 되었음을 나타내는 의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군함들은 포탄의 장전이 어려워 항상 포탄을 장전하고 있었다. 방문자가 도착시 포탄을 제거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장전된 포탄을 전부 쏘아 버린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초기에는 함정에서 7발의 예포를 발사하였으며, 반면 육상에서는 함정의 매 1발마다 3발씩 발사했다. 당시 화약의 보관 문제로 육상에서 더 많은 예포를 발사했으며, 과학 · 기술 발달로 함정도 많은 수의 탄약 보관이 가능해지면서 예포의 발사수는 21발로 정착되었다.
※ 현행 예포발사 기준
군함이 외국 방문 시 | 외빈 영접 시 |
- 답례포가 예정된 경우 21발 발사 - 수척이 동시 입항 시 선인함에서만 발사 |
- 대통령, 외국 원수 : 21발 - 국방부장관, 각군 참모총장, 대장, 국무위우너 : 19발 - 국회상임위원장, 차관, 중장 : 17발 - 소장 : 15발 - 준장 : 13발 - 대리대사, 총영사 : 11발 |
4. 사관실 예절
사관실은 장교의 회의, 식사 및 휴식 장소로 사용되며, 사병은 임의로 출입할 수 없다. 용무가 있는 경우 사관당번을 통해 그 용무의 요지를 해당 장교에 전달한 후 장교의 지시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최근 하사관의 역할 및 위상증대로 각종 신고와 결재를 위하여 배석하는 경우가 있으며, 소형함정에서는 좁은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전시, 긴급한 상황시 의무실로 사용하기도 한다.
- 계속
'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우역사문화공원 (중랑망우공간) (0) | 2022.05.03 |
---|---|
김포함상공원 GIMPO MARINE PARK(5) (0) | 2022.04.06 |
김포함상공원 GIMPO MARINE PARK(4) (0) | 2022.04.06 |
김포함상공원 GIMPO MARINE PARK(3) (0) | 2022.04.04 |
김포함상공원 GIMPO MARINE PARK(1)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