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미동과 심곡천을 걷다] 03
걷고 싶은 하천 함께하는 물길 심곡천에 사는 물 속 생물
피라미 (잉어과)
Zacco platypus
자라 (자라과)
Trionyx sinensis
참갈겨니 (잉어과)
Nipponocypris koreanus
잠자리수채 (잠자리과)
Anax parthenope julias
잉어 (잉어과)
Cyprinus carpio
새뱅이 (새뱅이과)
Cardina denticulata denticulata
비단잉어 (잉어과)
Cyorinus carpio
붕어 (잉어과)
Carassius carassius
버들치 (황어아과)
Moroco oxycephalus
미꾸라지 (기름중개과)
Misgurnus nizolepis
메기 (메기과)
Silurus asotus
돌고기 (잉어과)
Pungtungia herzi
다슬기 (다슬기과)
Semisulcospira libertina
날도래 (날도래과)
Trichoptera
가재 (가재과)
Cambaroides similis
걷고 싶은 하천 함께하는 물길 심곡천에 서식하는 식물
영춘화 (물푸레나무과)
Jasminum nudiflorum
꼬리조팝 (장미과)
Spiraea salicifolia
남천 (매자나무과)
Nandina donestica
낮달맞이 (바늘꽃과)
Oenothera speciosa
노랑꽃창포 (붓꽃과)
Iris pseudacorus
다래 (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달뿌리풀 (화본과)
Phragimites japonica
돌단풍 (범의귀과)
Mukdenia rossii
미국능소화 (능소화과)
Campsis radicans
붉은인동 (인동과)
Lonicara periclymenum
산국(국화과)
Dandranthema boreale
수련 (수련과)
Nymphaea tetragona
수크령 (벼과)
Pennisetum alopecuroides
개양귀비 (양귀비과)
Papaver rhoeas
으름덩굴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심곡 시민의 강 유지용수
□ 심곡 시민의 강 유지용수는 깨끗한가요?
대장동에 위치한 북부수자원 생태공원에서 생산되는 제이용수를 하루 21,000톤씩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현재 상동 일대에 흐르는 "상동 시민의 강"과 같은 물로 수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BOD (㎎ / L) |
SS (㎎ / L) |
TㅡN (㎎ / L) |
TㅡP (㎎ / L) |
총 대장균 군수 (개 / 100㎖) |
pH |
허용기준 | 5이하 | 6이하 | 20이하 | 0.5이하 | 1000이하 | 5.8 ~ 8.5 |
공급수질 | 0.8 | 0.5 | 9.5 | 0.29 | 불검출 | 6.5 |
□ 심곡 시민의 강 유지용수는 어떻게 공급되며 어디로 가는 건가요?
상동 시민의 강으로 공급되는 기존 제이용수 관로에서 분기하여 소풍터미널에서부터 4㎞를 압송하여 심곡 시민의 강 상류에 공급하며, 이 물은 굴포천으로 유입되어 한강으로 방류됩니다.
용어 :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SS(부유물질량), TㅡN(총 질소), TㅡP(총 인), pH(수소이온농도)
♥ 예수 그리도를 믿으소서!
김수희의 행복열차
노래교실 OPEN!
(회원 수시모집)
인생은 즐겁게
노래하go~ 즐겁 go~ 신나 go~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
● 매주 (목) 10 : 50 ~ 12 : 00 (70분)
● 3개월 (3만원0 교재비 별도 (만원)
● 소사신협 본점 (4층 강당)
T (032) 349ㅡ4800
'둘레길 등(누죽걸산 :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랫길 (을지로 지하보도)] 02 (0) | 2023.01.09 |
---|---|
[서울 아랫길 (을지로 지하보도)] 01 (0) | 2023.01.06 |
[원미동과 심곡천을 걷다] 02 (0) | 2023.01.04 |
[원미동과 심곡천을 걷다] 01 (4) | 2023.01.02 |
[마포 걷고 싶은 길] ㅡ 5 와우! 홍대길(2) (0) | 202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