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3
대외교류
기원 전후 한반도 남부지역은 마한 54국, 진한 12국, 변한 12국 등 수많은 작은 나라들이 있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 제주는 중국과 왜 등 주변 지역과 교류를 활발하게 하였습니다. 제주시 건입동 산지항에서 출토된 오수전 五銖錢, 화천 貨泉, 대천오십 大泉五十, 화포 貨布, 본뜬거울 倣製鏡, 칼 꾸미개 등과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유적에서 출토된 한국식동검 韓國式銅劍, 제주시 삼양동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검과 옥환 玉環 등은 대외교류의 증거입니다. 『삼국지 三國志』 「위지동이전 魏志東夷傳」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제주는 중국과 한국, 일본을 연결하는 해상 교역로에 위치하여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1. 청동 거울
2. 청동 검 꾸미개
3. 대천오십 (왼쪽 위) 4. 화천 (왼쪽 위)
7. 오순전 (오른쪽) 8. 오수전 (오른쪽)
산지항 출토품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건입동 산지항
숫립중앙박물관 / K5 ~ 8, 1970년 입수
1. 청동 거울 2. 청동 검 꾸미개 3. 대천오십 4. 화천
오수전
7. 초기철기시대
여수시 거문리 거문도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274, 1980년 입수
8.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건입동 산지항
국립중앙박물관 / K8, 1970년 입수
독널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7211 · 7212, 2008년 발굴
독무덤
사람의 주검이나 뼈를 묻는 토기 항아리를 독널이라고 하며, 독널을 사용한 무덤을 독무덤이라고 합니다.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에서 발견된 독무덤은 제주 지역에서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독무덤 중 하나로 커다란 삼양동식토기 2개를 붙여 관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독무덤은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독널을 넣은 후 가장자리에 독을 채우고 흙은 덮어서 만들었습니다.
제주 역사 연표 (선사 ~ 탐라)
BCE 700000
BCE 70만
구석기문화
한반도 인류 등장
구석기문화 시작
BCE 25000
구석기문화
■ 생수궤 유적
BCE 8000
신석기문화
■ 고산리 유적
■ 북촌리 유적
■ 성읍리 유적
■ 하모리 유적
■ 한남리 유적
■ 사계리 유적
BCE 2333
고조선 건국
BCE 1500년경
청동기문화
■ 상모리 유적
■ 삼화지구 유적
BCE 300
철기문화
마을 형성
■ 용담동 유적
■ 삼양동 유적
BCE 194
위만 조선,
부여 성립
BCE 108
고조선 멸망
마을 교류
■ 종달리 유적
■ 김녕리 유적
BCE 57
신라 건국
BCE 37
고구려 건국
BCE 18
백제 건국
외래문물의 유입
중국 한대 漢代 화매
청동검과 검 부속구
3
고구려, 국내성 천도
삼국이 발전하고,
동서 제국이 우뚝 서다
42
금관가야 건국
큰 마을의 성장
■ 용담동 유적
■ 예래동 유적
■ 화순리 유적
194
고구려,
진대법 실시
260
백제 고이왕,
16관등과 공복 제정
삼국이 성장하고,
중국과 로마가 혼란에 빠지다
313
고구려,
낙랑군을 멸망시킴
삼국은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로마제국은 크리스트교를 공인하다
356
신라, 내물마립간 즉위
384
백제, 불교 전래
'주호가 있는데 마한 서쪽 바다
가운데의 큰 섬이다. 배를 타고 왕래하며,
한중 韓中과 교역한다,'
『삼국지』 위서동이전에 주호로 등장
427
고구려, 평양 천도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에 맞서 동맹을 맺고,
서유럽과 중국에 이민족 왕조가 들어서다
433
나 · 제 동맹 성립
475
백제, 웅진 천도
476
탐라국으로 알려지다
탐라, 백제에 토산물 조공
『삼국사기』 백제본기 문주왕
498
탐라, 백제에 화의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 외도동 유적
■ 곽지패총 유적
삼국의 항쟁이 본격화되고,
중국의 분열이 막바지에 이르다
512
신라, 우산국 정벌
532
금관가야 멸망
538
백제, 사비 천도
562
대가야 멸망
503
고구려, 탐라산 가옥 (장식용 패류)
북위에 조공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문자왕
589
수의 전선, 탐라에 포착
『삼국사기』 백제본기 위덕왕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당나라와 이슬람 제국이 등장한다
612
고구려, 살수 대첩
660
백제 멸망
668
고구려 멸망
676
신라, 삼국 통일
698
발해 건국
661
탐라국, 왜에 처음으로 사신 파견
탐라국, 당에 사신 파견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662
탐라국주 좌평 도통음율, 신라에 투항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679
신라, 사신을 보내 탐라국 지배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 용담동 제사유적
■ 고내리 생산유적
■ 종달리 패총유적
남북국 시대가 막을 열고,
이슬람제국이 날개를 펴다
727
혜초의 서역기행
혜초, 『왕오천축국전』 집필
732
장문휴의 등주원정
발해, 당의 덩저우 공격
801
탐라국, 신라에 조공
『삼국사기』 신라본기 애장왕
828
장보고, 청해진 설치
당 제국은 기울고,
이슬람제국은 번영을 노래하다
900
견훤, 후백제 건국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후삼국 시대 개막
섬나라
탐라국
한반도에서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가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시기에 제주에는 섬을 뜻하는 '탐 耽' 과 나라를 뜻하는 '라 羅' 를 합친 이름의 '탐라국' 이 세워졌습니다. 탐라국은 작은 지배세력들이 합쳐져 큰 집단을 이룬 것으로, 2세기 전후에는 제주 전지역이 동일한 양식의 토기를 사용하였고 지배자의 무덤이 등장합니다. 이 시기에 이미 강력한 지배계층이 있었고 섬 전체가 같은 문화를 공유하며 발전하였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탐라 후기에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백제 · 신라 · 왜 · 당 등과 교류하며 국제적인 역량을 높이는 한편 활발한 해상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탐라의 형성
'탐라 耽羅' 라는 이름은 '476년 (백제 문주왕 2) 탐라에서 백제에 조공을 하였다' 는 기록으로 『삼국사기 三國史記』에 처음 등장합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 『삼국지 三國志』 「위지동이전 魏志東夷傳」 마한조 馬韓條에 보이는 '주호 州胡' 에 대한 기록은 당시 탐라가 주변국에서 인식할 만한 독자세력이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탐라국의 형성은 지배자의 출현과 제주 전역에 동일한 문화권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주시 용담동 무덤 유적에서 나온 철제 무기와 구슬 등 제주에서 나지 않는 위세품 威勢品은 강력한 탐라 지배층의 존재를 알려 주고 있습니다.
용담동 무덤유적
제주시 용담동 무덤유적은 해안에서 조금 떨어진 완만한 평지에 자리하며, 돌덧널무덤 石槨墓 4기와 독무덤 甕棺基 6기가 있다. 중심부에 돌덧널무덤이 자리하고 북쪽 가장자리에 독무덤을 배치하였는데, 독무덤에서는 커다란 독 2개를 붙여서 만든 이음독널과 1개의 독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같이 확인되었다. 독덧널무덤 주변에서는 쇠칼과 쇠창 · 쇠도끼 · 쇠화살촉 등 철기가 나왔는데, 철제 무기류는 지배계급의 권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당시 제주 지배계층의 성장 모습과 한반도와의 교류상을 짐작하게 한다.
쇠칼
쇠투겁창
쇠창
쇠화살촉
쇠도끼
쇠도끼
용담동 무덤유적 출토품
탐라 (삼국 ~ 남북국시대)
제주시 용담동
제주 1820 ~ 1910, 1985년 발굴
1. 쇠칼 2. 쇠투겁창 3. 쇠창 4. 쇠화살촉 5, 6. 쇠도끼
탐라시대 주요마을 유적 분포도
이음독널
탐라 (삼국 ~ 남북국시대)
제주시 용담동
제주 1893, 1985년 발굴
구슬
탐라 (삼국 ~ 남북국시대)
제주시 용담동
제주 1820 ~ 1910, 1985년 발굴
곽지리 조개무지유적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위치한 조개무지유적이다. 넓은 지역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청동기시대부터 탐라의 생활터전으로 이용되었다. 특히 탐라 전기의 곽지리식토기와 탐라 후기의 고내리식토기 단계가 층서적으로 구분되어 탐라문화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해준 중요한 유적이다. 아가리부분 크게 벌어진 탐라 전기의 토기는 유적의 이름을 따서 곽지리식토기로 불리게 되었다.
조개도구
탐라인들은 일찍부터 주변 해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전복과 조개를 이용하여 도구를 만들었다. 철기가 귀한 것은 물론이고, 뾰족하고 날카로운 도구를 만드는데 돌보다는 전복껍질이나 조개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쉽기 때문에 이러한 조개도구가 일찍부터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제주에서는 전복껍질로 만든 화살촉과 반달모양칼이 출토되었으며, 삿갓조개를 이용한 조개 장신구도 확인되었다.
전복껍질 칼
조개 장신구
곱은옥, 구슬
그물추
돌끌
뼈연장
손칼
쇠도끼
쇠화살촉
곽지리 조개무지 출토품
탐라 (삼국 ~ 남북국시대)
제주시 곽지리
제주 6280 ~ 6449, 1989년 발굴
1. 전복껍질 칼 2. 조개 장신구 3. 곱은옥, 구슬 4. 그물추 5. 돌끌 6. 뼈연장 7. 손칼 8. 쇠도끼 9. 쇠화살촉
그물추
탐라 (삼국 ~ 남북국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 예래동
제주 4694 등, 2006 · 2010년 발굴
조개껍질
곱은옥 (아래) 구슬 (위)
종달리 조개무지 출토품
탐라 (삼국 ~ 남북국시대)
제주시 종달리
제주 1678 ~ 1717, 1991년 발굴
1. 조개껍질 2. 곱은옥 3. 구슬
'여행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5 (0) | 2023.10.19 |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4 (0) | 2023.10.17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2 (0) | 2023.10.12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1 (0) | 2023.10.08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0 (0)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