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제주도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2

드무2 2023. 10. 12. 18:08
728x90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2

 

 

 

 

 

 

 

 

 

섬마을의 성장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바닥가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마을의 규모는 점점 커졌습니다. 제주시 삼양동과 용답동, 외도동 등에서는 100여 기 이상의 집터가 있는 마을이 확인되었습니다. 서귀포시 예례동과 안덕면 화순리,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서도 큰 마을을 이루고 바다를 생활 터전으로 삼아 생활하던 섬마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을 안에는 집터, 저장 창고, 공방, 무덤 등이 있었으며, 청동 검이나 옥 장신구와 같이 외부에서 수입된 귀한 물건을 소유할 만한 권력과 재력을 가진 지배자도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가락바퀴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 서귀포시 화순리

제주 3692 등 · 제주 4727 등, 1999 · 2010년 발굴

 

 

 

가락바퀴 사용 모습

 

 

 

 

 

 

반달돌칼

1.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13849, 2008년 발굴

 

2,3.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예래동

제주 10186 · 11020, 2010년 발굴

 

4, 5.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332 · 4333, 1999년 발굴

 

 

 

 

 

 

오목돌 · 공이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제주 4821 ~ 4823, 2006년 발굴

 

 

 

갈돌 · 갈판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 예래동

제주 5270 · 5277 · 10824, 2006 · 2010년 발굴

 

 

 

 

 

 

항아리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162, 2006년 발굴

 

 

 

 

 

 

 

 

 

 

 

 

바리

1,2.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6891 · 6890, 2008년 발굴

 

3, 4.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307 · 4308, 1999년 발굴

 

 

 

 

 

 

 

 

 

항아리

1.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제주 4867, 2006년 발굴

 

2, 3.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315 · 4023, 1999년 발굴

 

 

 

 

 

 

 

 

 

 

 

 

섬마을의 생활과 의례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한반도에서 전해진 주거의 모습이 점차 제주만의 특징을 보이며 변화합니다. 집의 규모가 작아지고 마을 사람들의 생활방식도 점차 바뀝니다. 돌도끼, 대팻날, 숫돌 등 다양한 목재 가공도구를 이용하여 집을 짓고, 전복껍질과 조개껍질을 이용한 도구를 생업에 활용하기도 하였습니다.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를 하는데, 마을의 한 곳에서 다량의 토기와 간석기 등을 폐기한 장소를 보면 당시 사람들의 의례 방법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뒤지개

1, 2. 청동기 ~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동명리

제주 2365 · 2370, 2001년 발굴

 

3.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제주 5267, 2006년 발굴

 

 

 

 

 

 

 

 

 

조갯날도끼

1, 2, 3.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13838 등, 2008년 발굴

 

4. 청동기시대

서귀포시 성읍리

제주 4366, 2005년 발굴

 

5, 6, 7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335 등, 1999년 발굴

 

 

 

 

 

 

 

 

 

 

 

 

돌끌

1, 2.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6933 · 7137, 2008년 발굴

 

3.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3538, 1999년 발굴

 

 

 

석부

 

 

 

 

 

 

 

 

 

 

 

 

대팻날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6805 등, 2008년 발굴

 

 

 

홈자귀

1, 3.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112 · 3986, 1999년 발굴

 

2.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6587 · 7194, 2008년 발굴

 

4.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제주 5133, 2006년 발굴

 

5.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예래동

제주 10408, 2010년 발굴

 

 

 

돌화살촉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064 등, 1999년 발굴

 

 

 

전복껍질 화살촉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김녕리 궤네기동굴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3704 등, 1992년 발굴

 

 

 

 

 

 

 

 

 

 

 

 

 

 

 

긴 목 항아리

청동기시대

서귀포시 상모리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2424, 1988년 발굴

 

 

 

 

 

 

 

 

 

검은 간토기

1.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108, 1999년 발굴

 

2.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종달리

제주 3462 · 3460, 2002년 발견

 

 

 

 

 

 

 

 

 

화순리 유적 출토 토기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제주 4641 ~ 5293, 2006년 발굴

 

1. 굽다리 접시  2. 또껑  3. 토제품

 

 

 

굽다리 접시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324, 1999년 발굴

 

 

 

 

 

 

 

 

 

 

 

 

간돌검

1, 3, 4, 5, 6.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7213 등, 2008년 발굴

 

2. 청동기시대

제주 1, 2001년 현충언 기증

 

7, 8.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하귀리 · 삼양동

제주 15976 · 4099, 2007 · 1999년 발굴

 

 

 

삼양동 유적 출토품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3881 ~ 4354, 1999년 발굴

 

1. 한국식 동검편  2. 칼자루 끝 장식  3.  청동 화살촉

 

 

 

요령식동검편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4288, 2007년 발굴

 

 

 

 

 

 

삼양동 삼화지구 유적 출토품

청동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삼화지구

제주 4280 ~ 4297 · 6444 ~ 7227 · 13572 ~ 14300, 2006 ~ 2008년 발굴

 

1, 2. 구슬  3, 4. 곱은옥  5. 대롱옥

 

 

 

 

 

 

 

한국식동검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종달리

국립중앙박물관 / 신수 9894, 1988년 발견

 

 

 

 

 

 

구슬

1, 4.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 예래동

제주 4891 · 11278 · 12192, 2006 · 2010년 발굴

 

2, 3.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외도동 · 삼양동

제주 1916 등, 2002 · 1999년 발굴

 

 

 

 

 

 

옥환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삼양동

제주 4062, 1999년 발굴

 

 

 

 

 

 

고리모양 귀걸이편

1.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용담동

제주 2546, 1999년 발굴

 

2. 추정 복원품

 

 

 

 

 

 

대롱옥

1.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종달리 · 외도동

제주 3289 등, 2002년 발굴

 

2, 3.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 예래동

제주 4773 등, 2006 · 2010년 발굴

 

 

 

 

 

 

곱은옥

1, 4. 초기철기시대

서귀포시 화순리 · 예래동

제주 4887 등, 2006 · 2010년 발굴

 

2, 3. 초기철기시대

제주시 외도동 · 삼양동

제주 2062 · 4120, 2002 · 1999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