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1 48

[⑫ 6 · 25 반공 포로 석방]

[⑫ 6 · 25 반공 포로 석방] 풀려난 반공 포로들, 이승만 초상화 들고 행진 석방된 반공 포로들이 태극기와 이승만의 초상화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이승만은 6 · 25전쟁 휴전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1953년 6월 18일 반공 포로 2만7000여 명을 석방했다. 반공 포로들이 고국에서 추방되거나 북한으로 끌려갈 위험에서 구한 것이었다. / ‘사진과 함께 읽는 대통령 이승만’ (기파랑) 美 반대에도 반공포로 석방··· 납북될뻔한 남한 청년 2만명 구했다 휴전 회담 쟁점이었던 '포로 송환' 北에 갈제징집 당한 남한 장정들 수용소서 친공포로들 박해 시달려 매일 인민재판 받고 처형까지··· 유엔군은 회담 의식해 대응 안해 美 주도 휴전 반대하며 '석방 작전' 수용소 철조망 끊고 포로들 구출 美 등 전세..

[⑪ 이승만은 왜 반대했나]

[⑪ 이승만은 왜 반대했나] 아이젠하워 만나 태극기 선물 6 · 25 전쟁 중이던 1952년 12월 2일 한국을 방문한 미국 대통령 당선인 아이젠하워가 미군 부대 시찰 도중 이승만에게 태극기를 선물받고 있다. 아이젠하워는 1952년 11월 실시된 미국 대선에서 휴전을 공약했다. 1951년 7월 휴전협상이 시작된 이후 이승만이 지속적으로 휴전에 반대하자 미국은 이승만의 대통령 재선을 막는 방식으로 축출하려고 했다. / '사진과 함께 읽는 대통령 이승만' (기파랑) "적이 다시 힘 키울 기회를 줄 순 없소" 이승만은 휴전을 반대했다 미국의 휴전 협상에 적극 비판 "언젠가 중국이 다시 침입한다면 누가 함께 싸워준다는 보방 없다" 국군 내부선 모반 움직임 참모총장 이종찬 등 日軍 출신들 미국에 은밀히 군사 반란..

[한중문화관] 04

[한중문화관] 04 한중문화전시관 진시황릉 2호 마차 2호 마차 : 마차의 명칭은 안거이며 온량차라고도 한다. 진시황이 전국을 순행할 때 타는 마차이다. 2호 마차는 길이 3.17m, 높이 1.06m, 총중량 1,214㎏으로 3,46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청동재질의 부품은 1,742개, 황금 재질은 737개, 은 재질은 983개이다. 설계와 제작 모두 현대의 기술과 놀랄 정도로 유사하며 사람들의 상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거여는 전, 후 두 부분으로 나뉘며 전실은 다소 작으며 어관 (御官)이 앉는 장소이다. 후실은 넓고 3개의 창과 1개의 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인이 앉아 있는 장소이다. 창은 모두 자유롭게 열 수 있으며, 통풍과 보온을 위해 창판은 모두 마름모 모양의 구멍으로 투조되어..

[한중문화관] 03

[한중문화관] 03 차도완 (茶道碗) 규격 : 높이 14㎝, 넓이 27㎝ 중국의 저명한 과학, 교육, 예술, 이론 및 수집가인 형량곤씨가 창작한 우수한 도예작품으로 중국 고궁박물원에 두 번이나 전시되었으며, 중국 도예문화기간 100년 (1894 ㅡ 1994) 동안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山東省 산동성 濟寧市 제녕시 微山縣 미산현 연꽃의 도시로 유명한 미산현은 중국 산동성 남부에 위치한 제녕시에 위치해 있다. 제녕시는 중국 북방에서 가장 큰 담수호인 미산호 (微山湖)가 도시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반도시이다. 미산현은 복희문화 (伏羲文化), 진한문화 (辰韓文化), 미산호문화 (微山湖文化)로 이어지는 유구한 역사를 가졌고 이에 따라 문화적 온축 (蘊蓄)도 풍성하다. 미산현이 자랑하는 미산호는 독특..

[한중문화관] 02

[한중문화관] 02 浙江省 절강성 杭州市 항주시 下城區 하성구 항주시는 뚜렷한 사계절과 온화한 기온, 그리고 가득한 녹음으로 둘러쌓여 생활하기 좋은 도시로 알려져 있다. 하성구 (下城區)는 항주시의 중심에 위치하는 비즈니스 중심구로 유통, 금융, 문화, 관광 첨단과학 등 주요 산업을 이끌고 있다. 항주는 진대 (秦代) 이후 2200년의 역사를 이어온 고도 (古都)이다. 수나라 (隨)가 건설한 대운하의 종점이자, 남송 (南宋)의 수도 (임안, 臨安)로서, 중국 고중세의 경제와 문화를 이끌었고 그 영향력은 근대까지 이어졌나, 항주는 누에를 기르기 적합한 환경으로 예로부터 비단 (실크)의 주요 생산지이기도 하였다. 그 명성은 현재까지 이어져 하성구에는 중국 실크로드 타운이 조성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항주시..

[한중문화관] 01

[한중문화관] 01 칠교놀이 체험공간 중국에서 시작된 전통놀이인 칠교놀이를 자유롭게 즐겨 보세요.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칠교놀이ㄴ느 정사각형을 일곱 조각으로 나누어 인물, 동물, 식물, 건축물, 지형, 글자 등 온갖 사물을 만들며 노는 전통놀이입니다. 우리에게도 오래전 전래되어 주로 추석 등 명절에 윷놀이와 함께 즐기던 놀이로 그 역사가 매우 깊습니다. 옛 중국에선 머리를 발달시키는 놀이라 하여 '지혜판' 이라고도 불렀으며, 최근에는 지능 개발과 창의력 발달에 도움이 된다하여 탱그램 (Tangram)이란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칠교판은 크고 작은 삼각형 다섯 개, 정사각형 하나와 평행사변형 하나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여러 형상을 만듭니다. 칠교판으로 만들 수 있는..

[전통 한지꽃 지화 [紙花] 전시회] 02

[전통 한지꽃 지화 [紙花] 전시회] 02 매화 (梅花) 꽃은 매화 (梅花)라고 부르는데, 난초 (蘭), 국화 (菊), 대나무 (竹)와 함께 사군자 (四君子)라고 하여 선비정신과 절개를 상징한다.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제일 먼저 꽃을 피우며 겨울에 피는 꽃이다. 조선시대 사육신 (死六臣)의 한 사람인 성삼문은 아호를 매죽헌 (梅竹軒)이라 했으며 매화와 대나무 같이 청결한 지조와 강직한 군자가 되고자 하였다. 또한 매화의 아름다운 자태와 비견할 매력은 그 향기에 있다. 매화를 노래한 시 가운데는 그 향기를 기린 것이 수없이 많고 조선시대 선비들은 매화를 특히 좋아하여 그림이나 꽃을 가까이 하였는데, 과거시험에 수석으로 장원급제한 인재는 머리에 매화 꽃대를 꽂은 모자를 쓰고 백성들 앞을 행차하기도 했다..

전시회 2024.01.14

[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 ▲ 5 ~ 6월쯤 가막살나무에 피는 흰 꽃. / 국립생물자원관 최대 500송이 흰 꽃 밑에 한 쌍의 잎··· 붉은 열매도 한 다발로 자라죠 분꽃나무를 포함한 대부분 가막살나무속 (屬) 수목은 화려한 꽃과 열매 그리고 향기가 특징적입니다. 대부분 잎이 가죽처럼 두껍고, 특히 가을부터 빨갛게 익는 열매가 아름다워요. 가을철 화려한 색상의 열매가 달려 서양에서는 일찍이 정원이나 원예 식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죠. 주로 북반구 온대 산림지역뿐 아니라 중남미, 동남아시아 산에서도 잘 자라는 나무로, 현재 165종이 알려져 있답니다. 가막살나무속은 과거 분류가 꽤 유동적이었어요. 오래전부터 인동과 (科) 또는 산분꽃나무과로 분류했지만, 최근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로는 연복초과로 나뉜답니다. 가막살나무는..

[기형도 플레이와 라흐 헤스트]

[기형도 플레이와 라흐 헤스트] ▲ 연극 ‘기형도 플레이’에서 기형도 시인의 시 ‘조치원’을 다룬 장면. / 맨씨어터 예술을 남긴 '천재' 기형도와 이상의 詩 · 사랑이 연극으로 기형도의 시 '빈 집' '조치원' 등 9편을 엮어 단막극으로 재탄생 이상, 아내 변동림과 짧은 사랑했죠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두 시인의 삶과 시가 공연으로 제작돼 무대에 올랐습니다. 독창적이면서도 개성적인 시 세계를 펼친 기형도 (1960 ~ 1989)의 시를 바탕으로 구성한 연극 '기형도 플레이' (19 ~ 29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아트원씨어터)와 '천재 시인' 이라 불린 이상 (1910 ~ 1937)과 그의 아내 변동림의 사랑과 이별을 담은 뮤지컬 '라흐 헤스트' (6월 13일 ~ 9월 3일, 서울 종로구 드림아..

[팥배나무]

[팥배나무] ▲ 붉고 작은 팥배나무 열매는 새들의 양식입니다. / 김민철 기자 열매는 팥, 꽃은 배꽃처럼 생겨··· 새가 한입에 따 먹어요 요즘 서울 주변 산에 가면 가장 눈에 띄는 나무가 있습니다. 가을 산엔 유난히 붉은 열매가 많지만, 하늘을 향해 뻗은 가지 끝마다 붉은 열매가 10여 개씩 조롱조롱 달려 온통 붉은색인 나무가 있습니다. 팥배나무입니다. 팥배나무는 전국 어디서나 만날 수 있지만, 남산 · 안산 · 북한산 등 서울 주변 산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경계를 이루는 봉산은 팥배나무 군락으로 유명합니다. 팥배나무라는 이름은 열매는 팥을, 꽃은 배꽃을 닮았다고 붙인 이름입니다. 5월쯤 피는 꽃은 꽃잎이 5장이고 새하얀 것이 꼭 배꽃을 닮았습니다. 팥배나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