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7/19 3

[갯민숭달팽이]

[갯민숭달팽이]    ▲ 갯민숭달팽이의 한 종류인 '푸른갯민숭달팽이'. 독이 있어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해요. / 플리커 (Sylke Rohrlach)    천연색 바닷속 달팽이··· 해조류 먹으면 광합성, 해파리 먹으면 독 쏘아    요즘 미국 텍사스주 (州)의 한 바닷가에서는 기이한 풍경이 펼쳐지고 있대요. 몸길이는 2㎝ 정도이고 푸른색과 하늘색 몸뚱어리에 꽃 모양의 지느러미 같은 것이 달린 바다 동물들이 밀려오고 있거든요. 강력한 독에 쏘일 수 있으니 절대 건드리지 말라는 경고도 이어지고 있죠. 생김새 때문에 푸른 용 (blue dragon)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 이 동물은 갯민숭달팽이의 한 종류랍니다.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을 뜻하는 '개' 와, 털이 있어야 할 부분에 아무것도 없다는 뜻의 '민숭..

[남인도 문화]

[남인도 문화]    ▲ 사진1 ㅡ 인도 남동쪽 타밀나두주 (州)에 위치한 '브리하디스바라 사원'. 남인도의 다수 민족인 드라비다족의 사원 양식인 '드라비다 건축' 의 대표적인 건물로, 피라미드꼴로 여러 층을 겹쳐 짓는 등 특징이 나타나요. / 위키피디아    바다로 유럽 · 동남아 중개··· '카스트' 구속도 약했죠   토지 · 동식물 · 정령 등 숭배동쪽 왕국은 수마트라섬 일부 점령서쪽 왕조는 남유럽에 상아 등 수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대 남인도 미술을 다루는 특별 전시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 이야기' 가 열리고 있어요. 앞서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서 열렸던 특별전을 한국에서 재편해 지난해 12월부터 개최하는 것입니다. 인도, 영국, 독일, 미국 등 4국에 흩어져 있던 소장품이 한데 모였을 ..

[⑤ 비날론 개발한 이승기 박사]

[⑤ 비날론 개발한 이승기 박사]    서울대 공대 학장 시절의 이승기 박사. 일본 교토제국대학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를 했던 이승기는 해방 후 귀국해 경성대학 이공학부에서 후학들을 키웠다. 이후 서울대가 설립되자 공대 학장을 지내다 1950년 6 · 25 전쟁이 발발한 후 월북했다. / 조선일보DB    인류 역사 두 번째 합성섬유··· 독일도 못 한 조선 과학자의 쾌거   1939년 교토대 조교수 시절 개발세계적으로 큰 화제 불러일으켜 日 패망 거론하다 투옥, 옥중서 해방서울대 공대 학장 맡아 후학키우다6 · 25때 흥남 화학 시설 제공 등집요한 월북 권유에 결국 북으로 1961년 年 1만t 비날론 공장 건설사회주의권 노벨상인 '레닌상' 받아    1972년 박정희 대통령 지시로 7 · 4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