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8/26 7

[수중 탐사 기술 발전, 잇단 인양]

[수중 탐사 기술 발전, 잇단 인양]    그래픽 = 김하경    바다 밑 4㎞까지 훑는다··· '난파선 발견' 전성시대   바다 · 호수에 25만척 침몰 추정4분의 1은 '실종 선박' 에 해당 수중카메라 · 초음파탐지기 동원전설로 남았던 난파선들까지속속 모습 드러낼 것으로 기대 예전보다 싼 비용으로 탐사 가능민간 기업들도 난파선 발견 도전    ‘전설의 성배 (聖杯)’ 로 불려온 침몰선 ‘산호세’ 의 인양 작업이 이달 중 캐리비안해에서 시작된다. 산호세는 스페인 국왕의 소유였던 대형 범선으로 남미에서 귀금속을 싣고 스페인으로 돌아가던 1708년, 영국 함대와의 전투에 휘말려 침몰했다. 약 300년 후인 2015년에 발견됐고, 드디어 올해 인양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콜롬비아 정부는 산호세의 발..

기타 2024.08.26

[⑧ 과학 행정가 최형섭]

[⑧ 과학 행정가 최형섭]    1971년 최형섭 (왼쪽) 과학기술처 장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소 (KIST)를 방문한 박정희 (오른쪽) 대통령에게 KIST에서 개발한 제품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966년 설립한 KIST의 초대 소장을 지낸 최형섭은 1971년 과기처 장관을 맡아 약 7년 7개월 동안 장관직을 수행했다. 2004년 작고한 그는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 국가기록원    KIST 초대 소장 · 과기처 장관만 7년 7개월··· 한국 과학을 이끌었다   4 · 19와 5 · 16으로 어려움 겪던원자력硏 소장 맡아 정상화해탁월한 과학 행정가로 주목받아 '실리콘밸리 아버지' 터먼과 친분그의 조언으로現카이스트 만들 때최형섭도 설립 초기에 큰 역할 기술투자 국책 금융사 만들어대한민국 벤처 열풍 이끌기..

[아프리카황소개구리]

[아프리카황소개구리]    ▲ 머리와 등 부분이 녹갈색인 아프리카황소개구리. / 위키피디아    몸길이 20㎝ 훌쩍 넘는 개구리··· 뱀이랑 새도 잡아먹죠    얼마 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대학 연구팀이 이웃 나라 나미비아에서 새로운 종류의 아프리카황소개구리를 발견했대요. 기존 아프리카황소개구리와 얼핏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 곳곳이 금빛이었고 성격이 아주 공격적이라는 점이 두드러졌어요. 몸길이는 20㎝가 훌쩍 넘어 지난 1세기 동안 발견된 개구리 중에 덩치가 가장 큰 편이래요. 황소개구리라고 하니까 우리나라의 논과 웅덩이에서 살고 있는 외래종 황소개구리가 먼저 떠오르죠? 황소개구리 (bullfrog)라는 이름이 붙은 종은 미국과 아프리카에 살고 있어요. 대서양을 사이에 둔 만큼 두 개구리의 생김새와 습..

[미국과 안보 조약 맺은 나라들]

[미국과 안보 조약 맺은 나라들]    ▲ 1960년 6월 18일 일본 도쿄 국회의사당 앞에서 사람들이 미 · 일 군사동맹에 반대하며 시위하는 모습. / 마이니치신문    한나라가 공격박으면 나토 회원 32國 함께 대응해요   나토 정상회의, 워싱턴서 7월에 열려우리나라는 美와 1953년 첫 군사동맹日은 美와의 안보 조약 강화한대요    미국과 일본이 '미 · 일 안보 조약' 을 대폭 강화할 거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어요. 10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위해 백악관을 방문하는데요, 이때 주일 미군 사령부 권한과 양국 군사훈련 강화 등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해요. 미국과 일본은 중국의 군사적 위협과 대만해협을 둘러싼 긴장감 고조를 고려해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합니다. 현재 미국은 일본 ..

[돌멩이들]

[돌멩이들]     일러스트 = 양진경     돌멩이들 바닷소리 새까만돌멩이 너덧 알을 주워다책상 위에 풀어놓고읽던 책 갈피에도 끼워두고 세간기울어진 자리도 괴곤 했다잠 아니 오는 밤에는 나머지 것들물끄러미 치어다도 보다가 맨 처음이 돌멩이들 있던 자리까지를궁금해하노라면, 구름 지나는 그림자에귀 먹먹해지는 어느 겨울날 오후혼자 매인늦둥이 송아지 눈매에 얹힌낮달처럼저나 나나살아간다는 것이,이렇듯 외따로 있다는 것이, ㅡ 장석남 (1965 ~)    바닷가에서 주워 온 돌이 몇 개 있다. 까만 돌의 표면에는 물결무늬가 흐르고 파도 소리가 들려왔을 것이다. 몽돌이며 모서리가 덜 깎인 돌, 그리고 조각돌도 있었을 것이다. 시인은 그 돌로 책장을 눌러놓거나 집 안 살림에 쓰는 물건의 평형을 맞추려고 아래를 받치기..

[별별 과학 실험실]

[별별 과학 실험실]    그래픽 = 유재일    광부가 일하던 지하 1000m, '암흑 물질' 연구 실험실 됐죠   땅속서 별 · 우주 이해하기 위한 연구NASA는 항공기 통해 대기 질 관측화성 이주 꿈꾸는 이들은 사막으로    ‘과학 실험실’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나요? 비커와 플라스크 같은 실험 도구들과 다양한 화학약품이 가득한 공간이 머릿속에 그려질 거예요. 그런데 혹시 실험실이 하늘이나 땅속에 있는 걸 생각해본 적 있나요? 하늘을 떠다니는 실험실, 깊은 땅속에 만들어진 실험실 말이에요. 거짓말 같겠지만, 이런 실험실들이 실제로 지구상에 존재한답니다.   하늘을 나는 실험실, DCㅡ8 여행 갈 때 타는 비행기가 과학 실험실로 변신한다면?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연구용 항공기 ‘DCㅡ8′ 이..

[2024 통일미술대축전] 06

[2024 통일미술대축전] 06    8 · 15광복절 특별기획2024 통일미술대축전 서훈   香遠益淸   향기가 멀리까지 퍼지는데, 그 향기가 더욱 맑다     8 · 15광복절 특별기획2024 통일미술대축전 김종수 만민의 지혜는 솔선함에서 이루어지고 분단 위기에는 단결에 힘을 깨닫게 하네 막중한 시기에는 충절에 뜻을 모아야 하고 국가에 사명감을 안고 일상을 맞이함일세.    8 · 15광복절 특별기획2024 통일미술대축전 신행근   8 · 15광복절 특별기획2024 통일미술대축전 김화태    8 · 15광복절 특별기획2024 통일미술대축전 정명숙 부귀스런 멋은 꽃 중의 으뜸이라    8 · 15광복절 특별기획2024 통일미술대축전 정명숙 자주빛 꽃방에 해 비쳐 연지 같은 꽃술 터지네    8 · 15..

전시회 2024.08.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