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9/13 7

[89세 조각가 김윤신 인터뷰 ㅡ 평단 · 시장 열광하며 완판 행진]

[89세 조각가 김윤신 인터뷰 ㅡ 평단 · 시장 열광하며 완판 행진]    서울 삼청동 국제갤러리 전시장에서 김윤신이 작품을 배경으로 서 있다. 베네치아 비엔날레 본전시 작가로 선정된 그는 “세계적인 작가들이 모이는 곳에서 전시하게 돼 영광스럽고 감사하다” 고 했다. / 뉴시스    구순 에 맞은 전성기··· "나는 지금이 가장 뜨겁다"   40년간 아르헨티나서 활동하다가작년 한국서 연 전시로 다시 주목 국제갤러리 · 美 화랑 리만 머핀과올해 초 동시에 전속 계약 맺어최근 아트바젤 홍콩서 9점 완판베네치아 비엔날레 작가로 선정 "이제 지구 전부가 내 전시 공간···톱질하며 작업해야 몸 안 아프다"    지금 한국 미술계에서 ‘가장 뜨거운 작가’ 를 꼽으라면 단연코 이 사람이다. 89세에 전기톱 들고 나무..

전시회 2024.09.13

[대한민국 올림픽 출전 역사]

[대한민국 올림픽 출전 역사]    ▲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손기정 선수가 우승 기념으로 받은 나무로 일장기를 가린 채 고개를 숙이고 있어요. / 손기정기념재단    첫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는 남자 레슬링 양정모 선수였죠   해방 3년 뒤 1948년 올림픽 첫 출전6 · 25전쟁 중에도 동메달 두 개 획득서울올림픽서 종합 4위로 역대 최고    2024년 파리 올림픽의 개막 (7월 26일)이 99일 앞으로 다가왔어요. 이번 대회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 통산 100번째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고, 과연 어느 종목이 될지도 관심사라고 합니다. 하계 올림픽 금메달 100개를 달성한 나라는 미국, 러시아 (옛 소련 포함), 독일 (옛 동독 포함)을 비롯해 12국뿐이고,..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9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9   김가영 선수 [출처 : 생활체육투데이]   3 쿠션의 기초이론과 자세 ㅡ 06   ◆ 그립법의 정확한 이해  그립법은 당구의 3대 기본자세 요소 중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모든 당구의 타법과도 직접 연관된다.따라서 그립법이 잘 되어 있어야 모든 공들을 쉽게 칠 수 있다.그립을 잡을 때 가장 중요한 핵심은 큐와 엄지 검지 사이가 공간 없이 부드럽게 밀착되어 있어야 한다. 나머지 손가락은 백스윙 시 자연스럽게 펴주고 임팩트 시 다시 원 위치 시켜주면 된다.4 구에서 3 쿠션으로 전향한 동호인의 경우 큐가 엄지 검지 사이와 공간이 있는 경우가 많다.이 경우 임팩트 시 큐를 놓치지 않기 위해 큐를 잡게 된다.3 쿠션 스트로크에서 큐를 잡아 주어야 하는 경우는 10% ~..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8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8   김가영 선수 [출처 : MK스포츠]   3 쿠션의 기초이론과 자세 ㅡ 05   ◆ 브리지의 중요성 당구의 기본 자세란 ? 스텐스, 그립, 브리지를 합친 것을 말한다.이 세 가지 요건이 잘 갖추어 졌을 때 기본 자세가 좋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중지, 약지, 소지를 모두 모아주는 브리지 모양을 사용하는 프로 선수와 동호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손가락을 모아주는 브리지의 특성은 1 적구를 부드럽게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왼쪽 어깨에 힘이 들어가 있을 경우 모아주는 브리지를 하기가 어색하다. 그 이유는 왼쪽 어깨에 힘이 들어가 있으면 세 손가락을 펼쳐야 자세를 지탱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과거 4 구 경력이 높은 동호인의 경우 대부분 앞으로 향하는 자세에 익숙해 ..

[로테이션 게임 1 ㅡ 가장 고도한 테크닉을 겨루는 게임]

[로테이션 게임 1 ㅡ 가장 고도한 테크닉을 겨루는 게임]   자넷 리 선수 [출처 : 아주경제]   ◐ 게임의 방법포켓 당구 게임 가운데 가장 고도의 테크닉을 겨루는 것이 이 로테이션 게임이다.사용하는 공은 수구와 ① 번에서 ⑮ 번까지의 컬러 볼이다. 게임의 방법은 반드시 당구대 위의 최소 번호 공부터 맞혀 나가야 한다. 이 점이 14ㅡ1 래크 게임과는 다르다.  콜 샷은 하는 경우 (세계 선수권 등)와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당구대 위에 있는 최소 번호의 적구를 맨 처음 맞히면, 그 결과로 어떤 적구가 포켓에 들어가더라도 득점으로 인정된다.득점은 적구의 번호와 동일한데, ① 번공이면 1점, ⑮ 번공이면 15점이 된다.공이 포켓에 들어가 득점이 되면 그 플레이어는 플레이를 계속할 수 있다. ① 번부터..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40 ㅡ 쿠션에서 떨어져 있는 복합횡단 (더블)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40 ㅡ 쿠션에서 떨어져 있는 복합횡단 (더블)   김가영 선수 [출처 : 스포츠투데이]   쿠션에서 떨어져 있는 복합횡단 (더블)  ● 1 적구가 쿠션에서 비교적 많이 떨어져 있는 경우 복잡한 계산 과정 없이 간단히 신속하게 해결 가능한 기법이다. ● 계산법1 적구 수 + 2 적구 수 = 내공 수 (기울기) → 팁 수 ● A의 경우1 적구 (4ㅡ2) + 2 적구 (2) ㅡ 내공 (3) = 1 (1시 3 팁) * 내공 수는 1 적구와 내공의 기울기* 적구가 쿠션 (장축)에서 떨어진 만큼 빼준다.        ● 1 적구 맞히는 두께는 1 적구가 맞은 후 상하로 움직이는 두께로 1 / 2 (ㅡ) 수준이고 1 적구와 내공의 기울기가 커지면 조금 더 두껍게, 작아지면 조금 얇게 친다.

당구 Billiards 2024.09.13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9 ㅡ 역회전 1 팁 빗겨치기 복합횡단 (응용)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9 ㅡ 역회전 1 팁 빗겨치기 복합횡단 (응용)   김가영 선수 [출처 : SBS]   역회전 1 팁 빗겨치기 복합횡단 (응용)         ● 역회전 1 팁 빗겨치기 복합횡단은 실전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내공 위치 (출발 지점) 수만큼 내공이 1 적구를 맞은 후 역회전한다 (역회전 1 팁 줄 때). ● A의 경우 (내공 5 출발) : 상단 30p에 위치한 1 적구를 역회전 1 팁으로 빗겨치면, 합이 5가 되는 지점인 상단 20p 지점으로 간다. ● B의 경우 (내공 4 출발) : 합이 4가 되는 10p 지점으로 간다. ● C의 경우 (내공 3 출발) : 합이 3이 되는 코너 부근으로 간다. * 1 적구가 쿠션에 거의 붙어 있거나 공 1 ~ 2개 정도도 가능..

당구 Billiards 2024.09.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