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구 Billiards/3쿠션 바이블 1 12

[3쿠션 바이블 ① 12 ㅡ 기초 총정리 12 ㅡ 입사각과 반사각]

[3쿠션 바이블 ① 12 ㅡ 기초 총정리 12 ㅡ 입사각과 반사각]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입사각과 반사각 좌, 우의 회전력이 없는 무회전 (No English)으로 뱅크 샷을 하면 입사각과 반사각이 똑같다는 이론은 마찰력 0, 밀도 0, 중력 0 일 때만 적용되는 물리적인 이론이다. 실제로 여러 각도를 실습해 보자. 무회전 (No English)으로 시도했을 때에 입사각과 반사각이 거의 비슷하게 도착하는 각도는 불과 1 포인트 정도의 간격으로 진행시킨 구역 뿐이다. 내 공이 쿠션에 입사되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아질 수록 밀리는 힘이 많이 작용하게 되므로 입사각과 반사각은 달라지게 된다.

[3쿠션 바이블 ① 11 ㅡ 기초 총정리 11 ㅡ 커브 현상]

[3쿠션 바이블 ① 11 ㅡ 기초 총정리 11 ㅡ 커브 현상]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커브 현상 내 공의 왼쪽 당점을 선택하여 샷을 할 때 큐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샷을 한다면 스쿼트 현상이 일어난 후에 회전방향으로 휘면서 진행을 하게 된다. 이렇게 내 공이 회전 방향으로 휘면서 진행하는 현상을 커브 (Curve) 현상이라고 말한다. 왼쪽 당점으로 인해 A로 진행하려던 내 공이 C방향으로 진행하지만 이후에 큐의 기울기나 당점, 속도에 의해서 라운드 (Round)를 그리면서 내 공의 진행이 매우 다양하게 변한다.

[3쿠션 바이블 ① 10 ㅡ 기초 총정리 10 ㅡ 스쿼트 현상]

[3쿠션 바이블 ① 10 ㅡ 기초 총정리 10 ㅡ 스쿼트 현상]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스쿼트 현상 내 공의 왼쪽 당점을 선택하여 샷을 했을 때 큐와 내 공이 맞는 순간을 그려보았다. 내 공은 큐가 겨눠진 방향에 의해 A로 진행하려 하지만 당점에 의해 B방향으로도 진행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A방향으로 진행하려고도 하고 B방향으로도 진행하려고 하면서 C방향으로 진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스쿼트 (Squirt) 현상이라고 말한다.

[3쿠션 바이블 ① 09 ㅡ 기초 총정리 9 ㅡ 나 자신을 알자]

[3쿠션 바이블 ① 09 ㅡ 기초 총정리 9 ㅡ 나 자신을 알자]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나 자신을 알자 주시안 Fixating eye 고정시안 (固定視眼)이라고 하며, 주로 사용하는 눈을 말한다. 사람은 성장하면서 두 개의 눈 중에 한쪽의 눈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평소의 자세나 직업의 특성 때문일 수도 있고, 신체적인 이유 때문일 수도 있다. 주시안이 보는 시각을 주안시 (Dominant Eyesight)라 하는데 주시안 때문에 큐를 잘못 겨냥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원하는 두께를 못 맞추는 결과가 발생한다. 주시안이 어느 눈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두 눈을 뜨고 멀리 있는 물체나 장소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자. 잘 가리켰다고 생각한다..

[3쿠션 바이블 ① 08 ㅡ 기초 총정리 8 ㅡ 당점의 분배]

[3쿠션 바이블 ① 08 ㅡ 기초 총정리 8 ㅡ 당점의 분배]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당점의 분배 정확한 당점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당점을 분배할 줄 알아야 한다. 당점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해서는 시계 방향을 이용하거나 팁의 반지름이나 지름으로 나누어 분배를 할 수 있는데 분배를 할 줄 알아도 조그마한 당구공에 정확하게 분배해서 구사할 수 있도록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시계방향으로 나누어 당점을 구사할 때는 최대한 공의 테두리까지 구사할 수 있어야 하고, 팁의 반지름이나 지름만큼을 이동하면서 구사할 때는 정확한 폭의 이동을 할 줄 알아야 한다. 당점을 분배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이동 경로를 도면으로 살펴보자.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면 누..

[3쿠션 바이블 ① 07 ㅡ 기초 총정리 7 ㅡ 당점]

[3쿠션 바이블 ① 07 ㅡ 기초 총정리 7 ㅡ 당점]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당점 큐로 내 공의 맞히는 부위를 당점이라고 한다. 당점은 공의 지름을 10 으로 가정할 때 중심 쪽 6 / 10 안에 형성된다. 상, 하, 좌, 우의 10분의 2 부분은 공의 경사가 심하여 마찰력을 높일 수 없기 때문에 미스 큐를 유발하게 된다. 좌, 우 당점을 겨냥할 때의 모습이다. 내가 원하는 당점의 위치를 큐의 팁으로 가리지 말아야 한다. 당구공은 평면의 원 (圓)이 아니라 구 (球)이므로 원하는 당점을 맞히기 위해서는 팁의 중앙이 아니라 테두리를 겨냥해야 한다. 실제로 맞추고자 하는 D 당점을 대충 판단하여 큐의 중심으로 겨냥을 하게 되..

[3쿠션 바이블 ① 06 ㅡ 기초 총정리 6 ㅡ 분리각]

[3쿠션 바이블 ① 06 ㅡ 기초 총정리 6 ㅡ 분리각] 김가영 선수 [출처 : Billiards & Sports] 분리각 내 공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두께에 따른 목적구와 내 공이 분리되는 각도를 말한다. 두께 1 / 2 을 겨냥하여 목적구를 맞힌다면 내 공은 M에서 출발하여 목적구와 부딪치는 순간 M❜ 위치에 도착할 것이다. 목적구는 내 공과 목적구의 구심점을 연결한 방향으로진행하고 내 공은 목적구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진행한다.실제로 종이에 그려서 각도기로 재 보자. 단, 내 공이 목적구에 부딪히는 순간의 회전은 무회전이어야만 목적구와 내 공의 분리각 합이 90도가 된다.

[3쿠션 바이블 ① 04 ㅡ 기초 총정리 4 ㅡ 그립 Grip]

[3쿠션 바이블 ① 04 ㅡ 기초 총정리 4 ㅡ 그립 Grip] 김가영 선수 [출처 : 연합뉴스] 그립 Grip 큐를 잡는 부분, 또는 잡는 부분에 끼우는 소모품을 그립 (Grip)이라고 한다. 큐걸이에서 큐를 15 ㎝ ~ 20 ㎝ 정도 내민 상태에서 반대 손은 큐와 팔뚝이 90도 정도 되는 위치를 잡는다. 이때, 큐는 계란을 감싸듯이 자연스럽게 쥐도록 한다. 하지만 이 그립법으로 고정되어서 샷 (Shot)을 한다면 큐가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잘되지 않을 것이다. 스트로크 (Stroke) 연습방법을 설명하면서 팔꿈치와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스트로크 연습 방법 깨끗한 스트로크 (Stroke)를 익히기 위해서는 공이 없이 빈 스트로크를 연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3쿠션 바이블 ① 03 ㅡ 기초 총정리 3 ㅡ 큐걸이]

[3쿠션 바이블 ① 03 ㅡ 기초 총정리 3 ㅡ 큐걸이]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큐걸이 표준 브릿지 (Standard Bridge)와 여러 상황에 따른 브릿지를 소개하겠다. 표준 브릿지는 먼저 손가락을 벌려 곧게 편 뒤에 중지를 손바닥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중지의 두 번째 마디에 엄지의 첫 번째 마디의 관절을 대면 엄지와 검지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그 상태로 테이블 바닥에 손을 내려놓는다. 엄지와 검지 사이의 공간에 큐를 넣고 검지를 구부려 자연스럽게 큐를 잡아준다. 하지 말아야 할 브릿지 Bridge 공간이 있는 큐걸이검지로 큐를 감싸지 않고 큐가 좌우로 움직일 공간을 만드는 것은 매우 좋지 않은 방법이다. 이런 큐걸이는 빠른 샷을 시도 할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