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구 Billiards/3쿠션 바이블 1 24

[3쿠션 바이블 ① 24 ㅡ 뒤 돌리기 01 ㅡ 뒤 돌리기란?]

[3쿠션 바이블 ① 24 ㅡ 뒤 돌리기 01 ㅡ 뒤 돌리기란?]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1 : 뒤돌리기란? 뒤 돌리기의 경로 일반적으로 장ㅡ단ㅡ장 쿠션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뒤 돌리기라고 말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목적구가 1 쿠션을 맞고 나온 뒷공간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뒤 돌리기라고 한다. 대부분의 캐롬 경기에서 초구 (BreakㅡShot)를 공략할 때 이용하는 경로이며 특히, 3 쿠션 경기에서는 득점뿐만이 아니라 포지션 플레이가 가능하므로 연속 득점을 노릴 수 있는 공략법이다. 매우 중요하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뒤 돌리기 공략법 제 1 목적구를 두껍게 맞출 것인가 얇게 맞출 것인가? 내 공에 회전을 얼마나 부여할 것인가? 에 대한 결정은 1. 제 2 목적구의 위치 ..

[3쿠션 바이블 ① 23 ㅡ 기초 총정리 23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4 ㅡ Short Angle System]

[3쿠션 바이블 ① 23 ㅡ 기초 총정리 23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4 ㅡ Short Angle System]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Short Angle System 내 공의 최대 회전력으로 코너의 장쿠션을 향하여 출발시켰을 때 진행하는 경로를 반드시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장ㅡ단ㅡ장 쿠션으로 진행하는 경로의 한계 각도를 알고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점은 3 시나 9 시 방향으로 정하고, 약간의 충격을 주는 탄력 있는 타법으로 구사하였을 때의 진행 경로를 도면으로 소개한다. 내 공이 대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로 샷을 한다. 필자는 계산법을 전파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많은 반복된 연습으로 자신의 회전력을 알고, 회전에 ..

[3쿠션 바이블 ① 22 ㅡ 기초 총정리 22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3 ㅡ No English System

[3쿠션 바이블 ① 22 ㅡ 기초 총정리 22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3 ㅡ No English System]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No English System 내 공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경로를 소개한다. 모든 경로를 전부 외우고 있으면 좋겠지만 너무 분량이 많으므로 반드시 외우고 있어야 하는 진행 경로만을 도면으로 소개한다. 또한 좌, 우의 회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도착 지점을 계산할 수 있는 1 / 3 system과 Five & Half system을 소개하겠다. 선수들이 정해진 시간 안에 빠르게 판단하고 구사하여 성공할 수 있는 이유는 매번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외우고 있기 때문이다. 계산하려고 하지 말고 무조건 암기해야 한다. No English Sys..

[3쿠션 바이블 ① 21 ㅡ 기초 총정리 21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2 ㅡ RㅡC System]

[3쿠션 바이블 ① 21 ㅡ 기초 총정리 21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2 ㅡ RㅡC System]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알아두어야 할 System 2 ㅡ RㅡC System 위에서 소개한 도면들을 완벽하게 암기하도록 하고, 실전에서 어떻게 적용을 하는지 예제를 통하여 확인해 보자. 계산은 항상 도착 포인트를 찾는 것부터 거꾸로 해야 한다. 내 공이 도착해야 하는 위치가 40 이라는 것을 찾았다. 이때, 내 공 포인트와 출발 포인트는 아직 알 수가 없다. 가정을 해 보기로 한다. 만약, 내 공 포인트가 60 이라고 하면, 출발 포인트는 20 이다. 내 공 포인트 6..

[3쿠션 바이블 ① 20 ㅡ 기초 총정리 20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1]

[3쿠션 바이블 ① 20 ㅡ 기초 총정리 20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1]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RㅡC System 전설적인 레이몽드 쿠르망 (Raymond Ceulemans)이 만든 계산법으로 RㅡC System 중에서 단 쿠션에서 장 쿠션으로, 또는 장 쿠션에서 장 쿠션으로 진행하는 계산법을 익혀야 한다. 이 계산법은 좌, 우 회전력을 이용하여 장ㅡ단ㅡ장 쿠션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시도할 때 적용할 수 있다. ﹗⃝ Five & Half System을 레이몽드 쿠르망이 만들었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정확하게 알아두어야 할 것은 레이몽드 쿠르망이 만든 계산법은 자신의 이름의 약자 딴 RㅡC System이라는 것이다. RㅡC System에는 여러 가지 계산법..

[3쿠션 바이블 ① 19 ㅡ 기초 총정리 19 ㅡ 해법 노트 작성 시 유의사항]

[3쿠션 바이블 ① 19 ㅡ 기초 총정리 19 ㅡ 해법 노트 작성 시 유의사항]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해법 노트 작성 시 유의사항 당구는 두께와 당점만 알면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내 공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한 타법과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적절한 속도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들은 반드시 자신들의 해법을 기록할 때 두께, 당점, 타법, 속도를 기록해야만 한다. 예제를 보면서 속도와 타법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하겠다. 독자들은 위와 같이 진행시키기 위한 해법을 어떻게 찾았는가? 그림으로 보는 것과 실제로 당구대에서 배치를 똑같이 놓고 내 공의 위치에서 보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다음 페이지를 보기 전에 시도해 보고 해법을 찾아보자. 그리고 해법의 ..

[3쿠션 바이블 ① 18 ㅡ 기초 총정리 18 ㅡ 약식 기호]

[3쿠션 바이블 ① 18 ㅡ 기초 총정리 18 ㅡ 약식 기호]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약식 기호 ﹗⃝ 타법에 관한 표기는 상황에 따라 여러 기호를 복합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 큐를 짧게 뻗는 스트로크는 공 1 개의 길이만큼을 뻗고 큐를 잡느냐, 공 2 개의 길이만큼을 뻗고 큐를 잡느냐, 공 3 개의 길이만큼을 뻗고 큐를 잡느냐에 따라서 기호에 1, 2, 3 의 숫자를 넣어 표시한다. 속도의 변화에 따른 분류 ㅡ B1 쿠션을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를 말한다. 표기는 ㅡ B로 한다. B2 쿠션을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를 말한다. 표기는 B로 한다. ㅡ A3 쿠션을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를 말한다. 표기는 ㅡ A로 한다. ..

[3쿠션 바이블 ① 17 ㅡ 기초 총정리 17 ㅡ 회전 변경선 2]

[3쿠션 바이블 ① 17 ㅡ 기초 총정리 17 ㅡ 회전 변경선 2]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회전 변경선 2 ﹗⃝ 당구대 마다 약간 다르다 단 ㅡ 장으로 진행하는 경로에서도 회전 변경선을 찾을 수 있다. 장 쿠션의 세 번째 포인트 위치에서 코너를 향하여 진행시켜 보자. 오른쪽 3 시 방향의 회전과 무회전으로 시도해 보면 세 번째 쿠션의 도착 위치가 거의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단 쿠션에 대한 이 입사각도를 '회전 변경선 2' 라고 정하였다. 회전 변경선 2 의 입사각도는 단 쿠션으로부터 대략 37 도 ~ 38 도 정도 되며, 내 공이 단 쿠션으로 진행하는 각도가 이 각도보다 크게 입사각을 형성하면 회전력이 약할수록 길게 진행하고 회전력이 강할수록 ..

[3쿠션 바이블 ① 16 ㅡ 기초 총정리 16 ㅡ 회전 변경선 1]

[3쿠션 바이블 ① 16 ㅡ 기초 총정리 16 ㅡ 회전 변경선 1]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회전 변경선 1 ﹗⃝ 당구대 마다 약간 다르다 3 쿠션을 시도할 때 회전력을 많이 선택해야 각도가 길어지는지 회전력을 줄여야 각도가 길어지는지 혼란을 느낄 때가 있을 것이다. 코너에서 출발한 내 공은 장 쿠션의 20 포인트에 도착한다면 무회전 (No English)이나 9시 회전력이나 네 번째 쿠션의 도착위치는 거의 같다. 필자는 이 각도로 진행하는 선을 '회전 변경선' 이라고 정하였다. 실제로 9 시 방향의 회전으로 시도하여보고 무회전으로도 시도해 보자. 당구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20 ~ 25 포인트 정도에 '회전 변경선' 이 형성될 것이다. 이 입사각은 장 쿠션에..

[3쿠션 바이블 ① 15 ㅡ 기초 총정리 15 ㅡ 옆 돌리기 No English 계산법]

[3쿠션 바이블 ① 15 ㅡ 기초 총정리 15 ㅡ 옆 돌리기 No English 계산법]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옆 돌리기 No English 계산법 좌, 우의 회전을 사용하지 않고 옆 돌리기를 시도할 때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계산법이다. 1 예상하는 3 번째 쿠션의 도착지점과 제 1 목적구를 연결하는 직선을 그린다.2 1 의 직선에서 1 / 2 이 되는 지점을 찾고, 그 위치에서 코너를 향하여 직선을 긋는다.3 2 의 직선을 내 공이 제 1 목적구를 맞는 순간의 위치까지 수평으로 이동한다.4 임의 두께를 설정하여 내 공으로 제 1 목적구를 맞혀서 3 의 직선과 쿠션이 만나는 겨냥점에 도착시킨다. ﹗⃝ 충격을 최소화하는 부드러운 타법으로 시도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