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6 86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0 ㅡ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한 스쿼트 · 커브 정립 방법]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0 ㅡ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한 스쿼트 · 커브 정립 방법]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한 스쿼트 · 커브 정립 방법 요점 ● 설명 ● 두께 연습은 얇은 두께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얇은 두께를 연습하다 보면 스쿼트와 커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 스쿼트와 커브의 정도는 당점, 속도, 수구와 1 적구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 상단 당점 : 두께를 잘 맞추기 위해서는 스쿼트와 커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상단 당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단 당점은 속도와 거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ㅇ[ 치고 싶은 두께대로 그대로 보고 치면 된다 (위 도..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9 ㅡ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9 ㅡ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1. 스쿼트 (Squirt) 현상 수구에 회전을 주고 칠 때 수구가 똑바로 진행하지 않고 회전을 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휘어져서 진행하는 현상을 스쿼트라고 한다.스쿼트는 회전을 많이 줄수록,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수록, 세게 칠수록, 하단 당점을 줄수록 많이 발생한다.스쿼트 현상은 특히 회전을 많이 주는 경우에 심하게 발생하므로 회전을 많이 주어야 하는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대부분의 샷에서는 3 팁 (옆단)보다는 2 팁 (1 시 30 분, 10 시 30 분 3 팁, 일명 '대각선 팁'..

[4구 Billiards 레슨 64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8 ㅡ 3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4구 Billiards 레슨 64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8 ㅡ 3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3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해설] 수구 위치에서 3 Point를 내려 칠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이다.0 Tip ~ 4 Tip으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알아 두면 활용도가 높은 System이다. 3 Point 아래로 무회전으로 입사시키면 1 : 1 인 대칭 지점인 3 Point 아래로 반사된다.그 지점을 기준으로 1 Tip을 더 줄 때마다 0.5 Point 씩 더 길게 반사된다. 이 System을 알고 있으면 더블 쿠션에서 2 쿠션 지점을 정항 때 쉽게 계..

[4구 Billiards 레슨 63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7 ㅡ 2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4구 Billiards 레슨 63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7 ㅡ 2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2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해설] 수구 위치에서 2 Point를 내려 칠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이다.0 Tip ~ 4 Tip으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알아 두면 활용도가 높은 System이다. 2 Point 아래로 무회전으로 입사시키면 1 : 1 인 2 Point 아래 대칭 지점으로 반사된다.그 지점을 기준으로 1 Tip을 더 줄 때마다 0.5 Point 씩 더 길게 반사된다. 이 System을 알고 있으면 더블 쿠션에서 지점을 정할 때 쉽게 계산할 수 ..

[3쿠션 바이블 ① 24 ㅡ 뒤 돌리기 01 ㅡ 뒤 돌리기란?]

[3쿠션 바이블 ① 24 ㅡ 뒤 돌리기 01 ㅡ 뒤 돌리기란?]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1 : 뒤돌리기란? 뒤 돌리기의 경로 일반적으로 장ㅡ단ㅡ장 쿠션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뒤 돌리기라고 말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목적구가 1 쿠션을 맞고 나온 뒷공간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뒤 돌리기라고 한다. 대부분의 캐롬 경기에서 초구 (BreakㅡShot)를 공략할 때 이용하는 경로이며 특히, 3 쿠션 경기에서는 득점뿐만이 아니라 포지션 플레이가 가능하므로 연속 득점을 노릴 수 있는 공략법이다. 매우 중요하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뒤 돌리기 공략법 제 1 목적구를 두껍게 맞출 것인가 얇게 맞출 것인가? 내 공에 회전을 얼마나 부여할 것인가? 에 대한 결정은 1. 제 2 목적구의 위치 ..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7 ㅡ 분리각과 그립의 형태 (Loose grip과 Firm grip)]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7 ㅡ 분리각과 그립의 형태 (Loose grip과 Firm grip)]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분리각과 그립의 형태 (Loose grip과 Firm grip) 두 께8 등분법 (1 두께 ~ 8 두께)당 점1 팁 ~ 5 팁속 도1.5 rail speed스트로크부드러운 follow shot, '툭'계 산 식볼값 = 두께 + 당덤, 분리각 45˚ 볼값 = 4, 분리각 90˚ 볼값 = 10 요점 ● 설명 ● 위 도형은 수구가 1 적구와 연결한 수직 입사선으로부터 공 1 / 2 개 빗각으로 있는 배치일 때 분리각을 보여준다. ● 계산식은 두께 +..

[4구 Billiards 레슨 62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6 ㅡ 1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4구 Billiards 레슨 62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6 ㅡ 1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1 Point 아래 쳤을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해설] 수구 위치에서 무회전으로 1 Point를 내려 칠 때 Tip 수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이다.0 Tip ~ 4 Tip으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외워 두면 활용도가 높은 System이다. 우측 그림은 2 차 반사각을 나타낸 수치이므로 외워 두면 짧은 각에서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다. ◆ 우측 하단 장쿠션 0 ~ 4 까지의 대략 Point 수치는 0.4, 0.7, 1.0, 1.4 이다.◆ 당점은 12 시 ~ 3 시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4 등..

[4구 Billiards 레슨 61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5 ㅡ 회전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 2]

[4구 Billiards 레슨 61 ㅡ 기초 이론을 알면 당구가 쉬워진다 5 ㅡ 회전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 2]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 회전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 2 [해설] 위 도형은 15의 법칙을 나타낸 도형이다. 수구가 어느 지점에 있든 3 Tip을 주고 상단 단쿠션 15 를 치면 수구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 온다.이 동선을 이용해 빈쿠션치기 또는 비껴치기 등에 활용하면 된다. [타법] 각자의 회전량이 다르므로 연습을 통해 일정한 회전을 찾아내야 한다. 3 Tip을 넉넉하게 주는 느낌으로 치면 된다. [해설] 위 도형은 회전량에 따른 수구의 진행 동선을 나타낸 도형이다. 수구 수 30 에서 3 Tip 주고 1 쿠션 15 를 치면 출발점 제자리로,..

[3쿠션 바이블 ① 23 ㅡ 기초 총정리 23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4 ㅡ Short Angle System]

[3쿠션 바이블 ① 23 ㅡ 기초 총정리 23 ㅡ 알아두어야 할 System 4 ㅡ Short Angle System]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Short Angle System 내 공의 최대 회전력으로 코너의 장쿠션을 향하여 출발시켰을 때 진행하는 경로를 반드시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장ㅡ단ㅡ장 쿠션으로 진행하는 경로의 한계 각도를 알고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점은 3 시나 9 시 방향으로 정하고, 약간의 충격을 주는 탄력 있는 타법으로 구사하였을 때의 진행 경로를 도면으로 소개한다. 내 공이 대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로 샷을 한다. 필자는 계산법을 전파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많은 반복된 연습으로 자신의 회전력을 알고, 회전에 ..

[부산의 역사]

[부산의 역사] ▲ 조선 화가 변박이 1783년 초량 왜관을 그린 '왜관도'. 왜관은 일본인 마을로, 조선 시대에 일본과 교역하고 외교가 이뤄진 공간이에요. / 국립중앙박물관 군사 요충지였던 부산 절영도 두고 일본 · 러시아 대립했죠 조선 시대 日과 교류 위해 '왜관' 설치교통 요지로 열강 각축전 벌어졌죠 6 · 25 전쟁 거치며 인구 · 자본 유입돼경공업 수출 시작하며 경제 발전 주도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FT)에서 '멸종 위기 : 한국 제2의 도시, 인구 재앙을 우려하다' 라는 제목으로 부산의 역사를 상세히 소개해 화제가 됐어요. 한국전쟁 이후 산업 중심지로 부상하며 국가 경제를 지탱해 온 부산이 최근 출산율이 크게 떨어지며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게 기사를 쓴 계기였답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