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구 Billiards/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0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2 ㅡ 임계기울기 2 ㅡ 단쿠션을 1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2 ㅡ 임계기울기 2 ㅡ 단쿠션을 1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임계기울기 2 ㅡ 단쿠션을 1 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요점 ● 설명 ● 단쿠션을 1 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임계기울기 선은 좌측 상단 단쿠션 코너 (0)와 장쿠션 30 을 연결하는 선으로써 기울기는 37˚ 이다. ● 수구 출발 30 에서 중상단 무회전 주고 단쿠션 코너를 겨냥하면 무회전 2 / 3 시스템이 적용되어 3 쿠션 45 로 들어간다. (도형 ①) (수구출발값 30 × 3 / 2 = 3 쿠션수 45) ● 수구 출발 30 에서 2 팁 (1 시 30 분 3 팁) ..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1 ㅡ 임계기울기 1 ㅡ 장쿠션을 1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1 ㅡ 임계기울기 1 ㅡ 장쿠션을 1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임계기울기 1 ㅡ 장쿠션을 1 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요점 ● 설명 ● 당구를 치다 보면 어떤 배치일 때 회전을 많이 주어야 수구의 진로가 길어지는지, 반대로 회전을 줄여야 길어지는지 혼동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임계기울기의 개념을 알고 있으면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 장쿠션을 1 쿠션으로 겨냥하는 경우, 임계기울기선은 좌측 상단 코너와 장쿠션 57을 연결하는 선으로써 기울기는 35˚ 이다. ● 임계기울기에서는 회전의 영향이 없다. 즉, 무회전이나 옆단 3 팁이나 수구의 ..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0 ㅡ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한 스쿼트 · 커브 정립 방법]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20 ㅡ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한 스쿼트 · 커브 정립 방법]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한 스쿼트 · 커브 정립 방법 요점 ● 설명 ● 두께 연습은 얇은 두께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얇은 두께를 연습하다 보면 스쿼트와 커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 스쿼트와 커브의 정도는 당점, 속도, 수구와 1 적구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 상단 당점 : 두께를 잘 맞추기 위해서는 스쿼트와 커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상단 당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단 당점은 속도와 거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ㅇ[ 치고 싶은 두께대로 그대로 보고 치면 된다 (위 도..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9 ㅡ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9 ㅡ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스쿼트 (Squirt) 현상과 커브 (Curve) 현상 1. 스쿼트 (Squirt) 현상 수구에 회전을 주고 칠 때 수구가 똑바로 진행하지 않고 회전을 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휘어져서 진행하는 현상을 스쿼트라고 한다.스쿼트는 회전을 많이 줄수록,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수록, 세게 칠수록, 하단 당점을 줄수록 많이 발생한다.스쿼트 현상은 특히 회전을 많이 주는 경우에 심하게 발생하므로 회전을 많이 주어야 하는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대부분의 샷에서는 3 팁 (옆단)보다는 2 팁 (1 시 30 분, 10 시 30 분 3 팁, 일명 '대각선 팁'..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7 ㅡ 분리각과 그립의 형태 (Loose grip과 Firm grip)]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7 ㅡ 분리각과 그립의 형태 (Loose grip과 Firm grip)]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분리각과 그립의 형태 (Loose grip과 Firm grip) 두 께8 등분법 (1 두께 ~ 8 두께)당 점1 팁 ~ 5 팁속 도1.5 rail speed스트로크부드러운 follow shot, '툭'계 산 식볼값 = 두께 + 당덤, 분리각 45˚ 볼값 = 4, 분리각 90˚ 볼값 = 10 요점 ● 설명 ● 위 도형은 수구가 1 적구와 연결한 수직 입사선으로부터 공 1 / 2 개 빗각으로 있는 배치일 때 분리각을 보여준다. ● 계산식은 두께 +..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6 ㅡ 가장 편한 분리각 (두께 설정법) : Loose grip]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6 ㅡ 가장 편한 분리각 (두께 설정법) : Loose grip]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가장 편한 분리각 (두께 설정법) : Loose Grip 요점 ● 설명 ● 수구 분리각 기억 요령 :두께1 / 82 / 83 / 84 / 8수구 분리각10˚ 20˚ 30˚ 40˚ ● 기준 : 임팩트를 주지 않고 loose grip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follow shot으로 밀어친다. ● 분리각 45˚ 미만의 그립법 : 큐를 놓아주는 loose grip을 사용한다.이유는 상단 당점을 주면서 큐를 놓아주면 당점이 분리각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조금 더 편안한 (두꺼운) 두께의 사용이 가능하기 ..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5 ㅡ 그립의 종류 : Loose grip과 Firm grip]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5 ㅡ 그립의 종류 : Loose grip과 Firm grip]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그립의 종류 : Loose grip과 Firm grip ● 그립에는 2 가지 종류가 있다. 1. Loose grip : 놓아주는 그립 ㅡ 엄지와 검지를 살짝 떼어준다. 장점 : 수구와 1 적구의 충격량이 적다. 단점 : 회전량이 적다. 2. Firm grip : 잡아주는 그립 ㅡ 엄지와 검지를 큐에 쥐어 준다. 장점 : 회전력 전달이 좋다. 단점 : 수구와 1 적구의 충격량이 크다. ● 회전력 : firm grip > loose grip ● 충격량 : firm grip > loose grip : ..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4 ㅡ 두께를 활용한 키스 제거 : 1 적구가 멀리 있는 바깥돌리기 두껍게 밀어 치기]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4 ㅡ 두께를 활용한 키스 제거 : 1 적구가 멀리 있는 바깥돌리기 두껍게 밀어 치기]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두께를 활용한 키스 제거 : 1 적구가 멀리 있는 바깥돌리기 두껍게 밀어 치기 요점 ● 설명 ● 도형 ①과 같이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고 얇게 맞출 시 키스가 있는 배치에서는 두껍게 밀어 치는 방법이 좋다.● 얇은 두께 (3 / 8 이하) 대신 두꺼운 두께로 밀어 쳐도 수구를 동일한 진행경로로 보낼 수 있다. (단, 1 적구의 진행경로는 두께에 따라서 다르게 진행된다). 7 / 8 두께 = 1 / 8 두께이다 (8 ㅡ 1 = 7 두께).6 / 8 두께 = 2 / 8 두..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3 ㅡ 1 / 2 두께의 수구와 1 적구의 이동거리]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3 ㅡ 1 / 2 두께의 수구와 1 적구의 이동거리]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1 / 2 두께의 수구와 1 적구의 이동거리 두 께1 / 2 (= 4 / 8)당 점중상단 무회전 (12 시 2 팁)속 도1.5 rail speed스트로크부드러운 follow shot계 산 식1 쿠션 칸 수 + 3 쿠션 수 = 4 요점 ● 설명 ● 중상단 무회전을 주고 1 / 2 두께로 1 적구를 맞추는 경우, 수구는 4 칸 이동하고 1 적구는 2 칸 이동한다.● 이동거리 계산 시에는 1 쿠션은 1 point에 1 씩, 3 쿠션은 0.5 point에 1 씩 계산 한다.● 무..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1 ㅡ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 때 두께 맞추는 요령]

[당구에 미치다 (양빵당구 3 쿠션 시스템) 11 ㅡ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 때 두께 맞추는 요령] 김가영 선수 [출처 : MHN Sports]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 때 두께 맞추는 요령 요점 ● 설명 ●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 때 두께를 맞추는 요령이다.● 루스 (Loose) 그립으로 큐를 가볍게 잡는다. 오른손 검지를 열고 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 힘을 빼고 브릿지를 짧게 (10 ㎝ 정도) 잡는다. 브릿지를 짧게 잡으면 long follow shot하기에 좋다.※ 반면에 브릿지를 길게 (20 ㎝) 잡으면 short follow shot하기에 좋다. ● 큐를 앞으로 던진다는 느낌으로 long follow shot으로 길게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