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제주 자료 3

[제주어 산책 113 ㅡ 내무리다]

[제주어 산책 113 ㅡ 내무리다] 제주어 산책 113 ㅡ 내무리다 ㅡ 현우종 문학박사 제주어에 '내무리다' 라는 말이 있다. 사람과 지역에 따라 '나무레다, 나무리다, 낭그레다, 내미리다, 냉그리다, 넹거리다' 등으로 나타난다. 이 말은 서울말의 '나무라다' 에 해당하는 말이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나무라다' 를 '① 상대방의 잘못이나 부족한 점을 꼬집어 말하다. ② 흠을 지적하여 말하다.' 로 풀이하고 있다. '나무라다' 가 중세국어에 사용된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불법 나므랜 죄로 디옥의 든다 ᄒᆞ시니 (毁謗佛法則入地獄) : 불법 (佛法)을 나무란 죄로 지옥에 든다고 하시니 ▶ ᄂᆞᄆᆡ 옷과 일언 그르슬 나ᄆᆞ라디 말며 (毋訾衣服成器 : 남의 옥과 만들어진 그릇을 ..

제주 자료 2025.05.18

[사진으로 보는 제주 역사 32 ㅡ 1960년대의 서귀포항 모습]

[사진으로 보는 제주 역사 32 ㅡ 1960년대의 서귀포항 모습] 1960년대의 서귀포항 모습이다. 한라산 남쪽의 중앙에 위치한 서귀포항은 소규모이긴 하나 비교적 안전한 천연의 항구이다.오늘날과는 달리 개발되기 이전의 서귀포항의 모습은 제주도에 있는 항구가 모두 평면적인데 비해 항구 구성이 입체적이었다. 서귀포는 한라산의 경사가 급하게 바다로 뻗어 내린 곳에 생긴 지반 위에 건설된 마을로, 단애의 절벽 위에 마을이 있어 앉아 있으면서도 항구 전체를 내려다보면서 선박 출입을 살필 수 있도록 입체식으로 되어있다. 항구 앞쪽에는 새섬이 또 입체적으로 가로놓여 있어 외해 (外海)의 풍파는 이것으로 차단되어 있다.이처럼 서귀포항은 천혜의 항구이지만, 1960년대까지만해도 작은 항구인데다 암초와 화산암이 많..

제주 자료 2025.05.18

[나의 살던 고향은 01 ㅡ 한림읍 명월리]

[나의 살던 고향은 01 ㅡ 한림읍 명월리] ※ 사진 설명 : 사진은 명월진에서의 군사훈련과 말을 점검하는 모습을 그린 '명월조점 (明月操點)' 이다. 1702년 제주목사 이형상 (李衡祥, 1653 ~ 1733)이 화공 김남깅 (金南吉)을 시켜 제작한 기록화첩인 탐라순력도 (耽羅巡歷圖)에 실려 있는 그림이다. 앞에 보이는 섬은 비양도이다. 나의 살던 고향은 01 한림읍 명월리 나와 내 선조들이 삶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 내 조상의 뼈가 묻혀있는 곳이 고향이다. 어릴적 정든 친구들과 뛰어놀던 추억들이 마음 속 깊이 간직되어 아련히 그리운 곳이다.마을 옆에는 졸졸 흐르는 냇물이 있어 개구리, 가재며 게를 잡아 구어 먹으며 멱을 감던 개울이 있다. 새카맣게 그을린 허수아비 같은 몸으로 맨주기 (..

제주 자료 2025.05.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