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동물 이야기 87

[도마뱀부치]

[도마뱀부치] ▲ 도마뱀부치는 발바닥에 빨판이 여러 개 있어 벽과 천장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대요. / 국립생물자원관 혀로 눈 핥아서 청결 유지··· 발바닥에 빨판도 있어요 독일 등 여러 나라 과학자로 구성된 연구진이 20년 전 마다가스카르섬에서 발견한 도마뱀부치가 새로운 종(種)으로 공식 기록됐대요. 지금까지 확인된 도마뱀부치 무리만 1500여 종인데 새로운 종류가 추가된 것이죠. 도마뱀부치는 추운 북아메리카·시베리아 · 북유럽 등을 제외한 지구촌 곳곳에 분포한 도마뱀입니다. 대개 몸길이는 12㎝ 안팎으로 아담해요. '도마뱀'에 '같은 종류' '같은 무리'라는 의미의 접미사 '붙이'가 합쳐져 '도마뱀붙이'가 됐어요. '도마뱀붙이'와 '도마뱀부치' 두 단어를 함께 쓰다가 지금은 과학자들이 '도마뱀부치'로..

[어름치]

[어름치] 어름치는 몸의 양옆 줄무늬가 물 밖에서도 눈에 어른거린다 해서 '어름치' 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고 해요. / 문화재청 수염으로 먹잇감 찾아··· 알 낳은 자리에 20㎝ 자갈탑 쌓는대요 얼마 전 문화재청이 경기도 연천에 있는 재인폭포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 으로 지정했어요.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명한 이 폭포에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 민물고기 어름치도 살고 있대요. 다 자란 몸길이가 40㎝에 이르는 어름치는 한강과 임진강 · 금강 및 지류의 맑은 물에서 살아간답니다. 몸의 양옆으로는 작은 점들이 촘촘하게 늘어서 줄무늬를 이루고 있어요. 이 무늬가 물 밖에서도 눈에 어른거린다고 해서 '어름치' 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는 이야기도 있죠. 어름치의 입가에는 잉어나 메기처럼 수염이 나 있어요. 이 수염..

[대벌레]

[대벌레]   대벌레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나뭇가지와 구별하기 정말 어려워요. / 국립생물자원관   나뭇가지처럼 길쭉하게 10㎝까지 자라··· 짝짓기 없이 알 낳을 수 있대요  지난해 대벌레가 갑자기 떼로 출몰한 서울 양천구 신정산에서는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살피는 작업이 한창이라고 합니다. 대벌레가 한꺼번에 나타나 나뭇잎을 먹어 치우면 숲이 황폐화할 수 있거든요. 대벌레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대나무처럼 생긴 곤충이에요. 최장 10㎝까지 자라는 길쭉한 몸뚱이에는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고, 양옆으로 가느다란 다리가 있어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나뭇가지와 구별하기 정말 어렵답니다.이렇게 포식자의 눈을 피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동물들이 주변 환경과 아주 빼닮은 모습을 하는 경우를 ..

[이베리아스라소니]

[이베리아스라소니] 최근 개체 수가 늘어난 멸종 위기 동물 이베리아스라소니. / 세계자연기금 (WWF) 다른 고양잇과 맹수보다 쫑긋 선 귀··· 20년 전 100마리서 최근 1600마리로 늘어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사는 이베리아스라소니가 1668마리까지 늘어났다고 스페인 환경부가 최근 발표했어요. 20년 전 100마리도 채 남지 않아 멸종 위기에 몰렸지만, 꾸준한 보호 노력이 결실을 본 거죠. 스라소니는 사자나 호랑이, 표범, 삵 등과 마찬가지로 고양잇과에 속해요. 다른 고양잇과 맹수들에 비해 덥수룩한 털과 쫑긋 선 귀, 길쭉한 다리와 짧고 뭉툭한 꼬리 등이 특징이죠. 스러소니는 사는 곳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요.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있는 이베리아스라소니랍니다. 스라소니 무리 중에 가장 큰 것은 한반도 북부..

[극락조]

[극락조] 극락조는 번식철에 가장 화려한 모습을 한 수컷이 암컷의 선택을 받는 습성에 따라 화려한 외모로 진화했대요. / 브리태니커 우리나라 대통령과 남태평양 섬나라 지도자들이 만나는 '한 · 태평양 도서국 정상회의'가 지난 29 ~ 30일 서울에서 열렸어요. 회의장에 걸린 참가국 국기 중 빨간 바탕에 노란 새를 그린 파푸아뉴기니 것이 특히 인상적이었죠. 이 새는 극락조 (極樂鳥)랍니다. 파푸아뉴기니 국기 / 위키백과 극락은 '더없이 안락해서 아무 걱정이 없는 곳'이라는 뜻이죠. 극락조의 영어 이름도 비슷한 뜻을 가진 '버드 오브 파라다이스 (bird of paradise · 천국의 새)' 예요. 어떻게 이런 휘황찬란한 이름을 갖게 됐는지는 이 새 모습을 보면 짐작할 수 있어요. 극락조과 (科)에는 40..

[민달팽이]

[민달팽이] 민달팽이는 달팽이와 달리 껍데기가 없어요. / 위키피디아 껍데기 없는 달팽이··· 이빨 돋은 혀로 나뭇잎 갉아 먹는대요 요즘 영국에서는 여름이 다가오면서 정원 식물을 민달팽이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뉴스가 나오고 있어요. 민달팽이가 잎과 줄기를 닥치는 대로 갉아먹어 식물이 죽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죠. 여름이 돼 비가 많이 오면 곧 달팽이들을 볼 수 있게 될 거예요. 그런데 달팽이 중에는 껍데기가 아예 없는 종류가 있어요. 이들을 민달팽이라고 해요. 소매가 없는 옷을 민소매, 아무 무늬가 없는 걸 민무늬라고 부르는 것처럼 '없다' 는 뜻의 접두사 '민' 을 달팽이 앞에 붙인 거죠. 껍데기가 없는 걸 빼면 민달팽이는 달팽이와 아주 비슷하답니다. 우선 머리 쪽을 보면 뿔처럼 솟은 두 쌍의..

[프레리도그]

[프레리도그] 프레리도그는 땅속에 미로처럼 복잡한 굴을 파고 여러 마리가 마을을 이뤄 살아요. / 위키피디아 개처럼 짖는 '굴 파기 선수'··· 네덜란드보다 큰 '마을' 만든 적도 있대요 얼마 전 세계보건기구 (WHO)가 엠폭스 (MPOX · 원숭이두창)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했어요. 이 병은 사람과 동물 간에도 전파될 수 있는 인수 공통 감염병이에요. 엠폭스를 옮길 수 있는 동물 중 하나로 프레리도그 (prairie dog)도 꼽혔어요. 깜찍하고 앙증맞은 생김새로 동물원에서도 인기 만점인 동물인데 놀랍죠? '프레리' 는 북아메리카 대초원을 일컫는 말이에요. 영어 이름을 그대로 번역하면 '초원의 개' 라는 뜻이죠. 하지만 실제로는 다람쥐와 아주 가까운 설치류랍니다. 울부짖는 소리가 개를 ..

[물방개]

[물방개] 물방개는 크고 넓적한 뒷다리를 노처럼 휘저어 물 속에서 빠르게 헤엄쳐요. / 위키피디아 몸에 공기 방울 저장해 몇 시간까지 잠수··· 물속 사체 처리하는 '청소부' 경북 상주를 흐르는 하천인 북천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수서곤충 (물속에서 사는 곤충) 물방개가 발견됐다는 소식이 얼마 전에 전해졌어요. 물방개는 과거 우리나라 곳곳에서 볼 수 있었지만 빠른 속도로 자취를 감추고 있기에 반가운 소식이었죠. 물방개는 몸길이는 최장 5㎝까지 자라고, 연못이나 저수지 · 물웅덩이 · 하천 등에서 발견돼요. 둥글둥글하고 탄탄한 등딱지 때문에 얼핏 풍뎅이가 연상되기도 하는데요. 실제로 풍뎅이 · 사슴벌레가 속해있는 딱정벌ㄹ레 무리랍니다. 공중을 붕 날아다니는 다른 딱정벌레 무리들과 달리 물속 생활에 훌륭하게..

[수마트라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전 세계 호랑이 중 가장 작지만··· 한 번에 8m 뛰고, 8㎞ 물길도 헤엄쳐요 올해 초 영국 체스터 동물원에서 태어난 수마트라호랑이 새끼 두 마리가 무럭무럭 자라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최근 공개됐어요. 야생에 3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은 희귀종이어서 새끼들의 탄생은 더욱 반가운 소식이었죠. 수마트라호랑이는 세계에서 여섯째로 큰 섬인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 살고 있는 호랑이랍니다. 수마트라호랑이의 몸 전체 길이는 최고 2.5m, 몸무게는 140㎏이에요. 전 세계 호랑이 중에서 가장 작은 몸집이죠. 몸무게만 보면 아무르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 거예요. 호랑이치고 왜소하지만 나무와 풀이 빽빽하게 자란 열대 우림을 민첩하게 다니기에..

[산갈치]

[산갈치] 2010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에서 발견된 길이 5m 20㎝의 산갈치. / 조선 DB 갈치와 닮았지만 전혀 다른 種··· 15m까지 자라는 심해어래요 지난달 강원도 속초 앞바다에서 몸길이 3m짜리 산갈치가 발견돼 화제예요. 어선 그물에 걸려 올라온 산갈치 사체는 연구를 위해 대학에 기증됐죠. 산갈치는 독특한 생김새와 생태 대부분이 수수께끼라는 점 때문에 '전설의 물고기'라고 불려요. 다 자라면 몸길이가 15m에 이르는 산갈치는 몸통 위로 빨간 지느러미가 촘촘하게 돋아 있어요. 머리 쪽으로 갈수록 점점 길어지죠. 아가미 아래에는 빨간색 배지느러미 한 쌍이 뻗어 있고요. 기다란 은빛 몸통이 갈치와 비슷하고 이름에도 '갈치'가 들어가지만, 실제 두 물고기는 완전히 별개 종류라고 해요. 산갈치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