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식물 이야기 84

[개정향풀]

[개정향풀] ▲ 6 ~ 7월쯤 피는 개정향풀 꽃의 모습. 바람에 실려 오는 향이 좋은 향수를 뿌린 것처럼 향기로워요. / 국립생물자원관 작은 종 모양의 분홍색 꽃··· 줄기 껍질은 옷 만들 때도 쓴대요 우리나라에서 1910년대 이후 90여 년 동안 자취를 감췄다가 2005년 다시 발견된 식물이 있어요. 여름이 시작되는 지금 한창 향기로운 꽃이 피는 '개정향풀' 이에요. 개정향풀은 2005년 경기도 한 바닷가에서 군락지가 다시 발견됐는데 당시 학계는 물론 언론에서도 크게 다룬 귀한 식물이죠. 개정향풀의 존재가 알려지고 난 후 현재는 경기 안산 · 시흥 · 평택, 인천, 강원 삼척, 충북 단양 · 청주, 충남 아산, 경북 영덕, 전남 신안 등 전국적으로 자생지가 10곳 정도 확인됐어요. 최근에는 씨앗으로 증..

[노각나무]

[노각나무] ▲ 노각나무에는 6 ~ 8월쯤 지름 5 ~ 7㎝의 흰색 꽃이 피어요. / 국립생물자원관 사슴 뿔처럼 부드러운 나무껍질··· 목재는 가구용으로도 쓴대요 우리나라에는 나무껍질이 독특하게 생긴 나무가 꽤 있답니다. 육박나무 · 배롱나무 · 말채나무 · 산겨릅나무 · 신갈나무 · 소나무 등은 멀리에서도 나무껍질의 특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데, 노각나무도 그렇습니다. 노각나무는 원래 '나무껍질이 사슴 뿔처럼 보드랍고 황금빛의 아름다운 나무' 라는 의미로 녹각나무라 했지만, 발음이 쉬운 노각나무로 부르게 됐답니다. 차나뭇과(科)의 노각나무는 우리나라 속리산 · 소백산 · 덕유산 · 지리산 · 무등산 · 운문산과 남해 금산 등지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데, 일본 혼슈와 규슈에서도 자라요. 1917년 11..

[갈퀴현호색]

[갈퀴현호색] ▲ 갈퀴현호색은 3~4월쯤 줄기 끝에 보통 진한 푸른색으로 꽃이 펴요. / 국립생물자원관 강원도 높은 산에서 자라··· 땅속 줄기는 '활명수' 에 들어가요 강원도 높은 산에서만 만날 수 있는 '갈퀴현호색(玄胡索)'이란 식물이 있어요. 이 식물은 봄이 되면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호색과 달리 꽃받침 끝부분이 갈퀴처럼 깊게 갈라져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갈퀴현호색은 현호색과 (科) 현호색속 (屬) 식물이에요. 현호색속 식물은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465종이 자라고, 중국에 가장 많은 265종이 분포한다고 해요. 우리나라에는 약 30종이 자라는데, 그중 갈퀴현호색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고유 식물이죠. 갈퀴현호색은 높은 산 숲속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에요. 땅속..

[페튜니아]

[페튜니아] 페튜니아는 매연과 건조한 조건 등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 서울 도심에서도 흔히 볼 수 있어요. / 김민철 기자 도시 매연 속에서도 6개월 꽃피어··· 밤엔 모기가 싫어하는 향 내뿜죠 요즘 서울 도심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꽃을 고르라면 단연 페튜니아 (피튜니아로도 표기)일 겁니다. 화단 · 공원은 물론 가로등 · 버스정류장 등에 걸려 있는 걸이 화분에서도 다양하고 화려한 색의 페튜니아를 볼 수 있어요. 페튜니아는 서울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심는 원예종 꽃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여름 길거리 꽃인 셈이죠. 도심 화단에는 아무 꽃이나 심을 수 없습니다. 우선 개화 기간이 길어야 합니다. 페튜니아는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이나 핍니다. 팬지 · 마리골드 · 베고니아 · 제라늄 ..

[뻐꾹채]

[뻐꾹채] 뻐꾹채는 5 ~ 6월 어린아이 주먹만 한 꽃송이가 하나 달려요. / 김민철 기자 어린아이 주먹만 한 홍자색 꽃 피어··· 엉겅퀴처럼 생겼지만 가시 없어요 뻐꾹채는 주로 산 능선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국화과 (科) 여러해살이풀이에요. 뿌리잎 사이에서 줄기가 하나 곧게 올라와 5 ~ 6월 큰 꽃송이가 끝에 하나 달려요. 뻐꾹채 꽃송이는 정말 커요. 얼마나 크냐 하면 어린아이 주먹만 해요. 지름이 6 ~ 9㎝ 정도 되지요. 5 ~ 6월 햇살 아래 큰 꽃송이를 단 모습을 보면 웅장하다는 느낌이 드는 꽃이에요. 뻐꾹채는 땅속으로 굵은 뿌리를 깊게 뻗어 내리고 있어서 웬만한 외풍에도 끄떡없어요. 큰 무리를 이루지는 않지만, 하나를 발견하면 주변 곳곳에 띄엄띄엄 자라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요. 제주도를 ..

[꼬리진달래]

[꼬리진달래] 꼬리진달래는 봄부터 여름까지 작은 흰색 꽃이 20개 이상 밀집한 형태로 펴요. / 국립생물자원관 인류는 오랫동안 식용이나 약용, 관상용, 공예용 등 여러 용도로 식물을 이용해 왔어요. 특히 장미과 (科), 차나뭇과, 진달랫과 등 식물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왔지요. 이 중 우리나라 자생 수종이면서도 비교적 관심을 덜 받아온 나무가 있는데, 바로 꼬리진달래입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진달래나 철쭉의 형제지요. '참꽃나무겨우살이'라고도 부르는 꼬리진달래는 추운 곳에서 잘 자라는 한대성 (寒帶性) 나무지요. 우리나라와 중국이 원산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북 · 충북과 이에 인접한 강원도 백두대간 자락에서, 중국에서는 헤이룽장 · 지린 · 허베이 · 간쑤 · 산시 · 산둥 · 쓰촨성 등지..

[솜나물]

[솜나물] 솜나물 열매 (왼쪽)와 봄꽃 (가운데), 가을꽃. / 국립생물자원관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빼곡··· 봄엔 혀 모양, 가을엔 긴 창 모양 꽃 핀대요 식물은 1년에 한 번 꽃을 피워 열매를 맺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그런데 봄과 가을에 모습이 전혀 다른 꽃을 피워 모습을 바꾸는 식물이 있어요. 잎과 줄기에 흰색 솜털이 아주 많은 '솜나물' 말이에요. 봄에 작은 잎과 흰색 꽃이 떨어지고 나면 가을에 깃처럼 갈라진 커다란 잎과 꽃대가 쑥 자라요. 전혀 다른 식물로 착각할 정도죠. 솜나물은 국화과 (科)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주로 자라요. 봄과 가을에 자라는 잎과 꽃 모양이 전혀 다르게 생겼어요. 먼저 잎은 뿌리에서 여러 개가 나오지만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달라요. 봄에 나는 잎은 길이..

[깽깽이풀]

[깽깽이풀] 위는 4월 중순의 깽깽이풀. 아래는 활짝 피어 있는 깽깽이풀. / 김민철 기자 2가지 種 모두 멸종 위기··· 인디언들은 뿌리 · 잎 · 줄기를 약으로 썼대요 깽깽이풀속 (屬)은 현재 2가지 종 (種)이 알려져 있어요. 하나는 캐나다 동부에서 미국 남부 · 북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종입니다. 다른 하나는 우리나라와 중국 · 러시아에서 살아가는 종이지요. 우리나라의 깽깽이풀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낙엽활엽수 숲에서 드물게 자라는 다년생 풀이에요. 높이는 약 20㎝ 정도로, 잎 2 ~ 4장이 달려 있어요. 잎은 둥근 모양이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매우 뚜렷합니다. 4 ~ 5월쯤에 피는 꽃은 자주색이고 꽃잎은 둥근 모양인데, 꽃 가장자리는 꽤 매끄럽답니다. 깽깽이풀의 종자 (種子 · 씨)에는 당분이..

[족도리풀]

[족도리풀] 족도리풀의 짙은 자주색 꽃은 조선시대 때 여성용 모지안 '족두리'를 닮았어요. / 국립생물자원관 꽃은 조선시대 여성 '족두리' 모양··· 뿌리줄기에서 생강 맛 난대요 봄이 되면 항아리 모양의 짙은 자주색 꽃이 잎에 가려진 채 땅 근처에서 숨어 피는 흥미로운 식물이 있어요. 꽃 모양이 조선시대 예복에 착용하는 여성용 모자 '족두리'를 닮은 '족도리풀'이에요. 족도리풀은 숲속이나 가장자리의 그늘진 곳에 자라는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2장의 잎과 1개 꽃으로 이루어져 있죠. 땅속 뿌리줄기(뿌리처럼 보이는 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며 생강과 같은 매운 냄새와 맛이 나요. 이 때문에 영어 이름도 '야생 생강'이라는 뜻인 '와일드 진저(wild ginger)'예요. 잎은 녹색..

[참나무의 잎]

[참나무의 잎]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참나무속 중 하나인 떡갈나무의 잎. / 위키피디아 독성 있는 화학물질 만들어··· 애벌레가 먹어 치우는 것 막아줘요 이즈음이면 산에선 연녹색 새잎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낙엽이 지고 봄에 새로운 잎이 나는 대표적 낙엽활엽수로는 참나무속 (屬) 나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참나무속 낙엽활엽수로는 신갈나무 · 졸참나무 · 갈참나무 · 떡갈나무 · 굴참나무 · 상수리나무 여섯 종이 있습니다. 이렇게 매년 잎이 새로 나는 나무들은 많은 잎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숲속 생태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죠. 봄이 되고 연녹색 잎이 나기 시작하면, 겨울이 되기 전 낳아 두었던 알에서 곤충이 여러 종류 깨어납니다. 곤충은 부드럽고 먹기 좋은 새잎을 먹고 자라지요. 우리나라 숲속에서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