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식물 이야기 83

[가침박달]

[가침박달] 위 사진은 가침박달에 핀 꽃. 아래 사진은 가침박달에 달린 열매와 잎. / 문화재청 여러 칸으로 나뉜 씨방, 실로 꿰맨 것처럼 생겨··· '감치다'에서 이름 유래했대요 장미과 (科)의 가침박달은 흰 꽃이 아름답게 피고 추위와 병충해에 강해 원예나 장식용으로 많이 심는 나무예요. 가침박달은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주로 자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 · 충북 · 경북에 분포해요. 서해안의 덕적도와 신안군 일부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전북 임실의 가침박달 군락지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남쪽 끝으로 알려져 1997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지요. 북한 함경도와 황해도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해요. 가침박달은 높이가 최대 5m에 이르는 낙엽교목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이에요. 주로 산..

[씀바귀]

[씀바귀] 서울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씀바귀 종류인 노랑선씀바귀. / 김민철 기자 요즘 공터에서 하늘거리는 노란 꽃··· 이른 봄 뿌리는 쓴맛 없애 나물로 먹어요 요즘 아파트 공터나 화단 틈새는 씀바귀 세상이에요. 공터에 무더기로 피어 노란색으로 하늘거리는 꽃이 있다면 씀바귀 종류일 가능성이 높아요. 가로수 아래 맨땅에 지천으로 피어 있는 것도 볼 수 있지요. 씀바귀는 4 ~ 6월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풀이에요. 키는 20 ~ 50㎝ 정도고 여러해를 살아 땅속에 굵은 뿌리가 발달해 있어요. 잎과 뿌리에서 쓴맛이 나 씀바귀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이른 봄 뿌리와 어린 순을 소금이나 식초를 넣은 물에 담가 쓴맛을 없앤 다음 나물 · 쌈으로 먹기도 하죠. 옛말에 '이른 봄 씀바귀를 먹으면 그해 여름을 타지..

[중의무릇]

[중의무릇] 중의무릇꽃이 활짝 피면 숲 바닥에 노란 별이 떨어진 듯한 착시를 불러일으킵니다. / 국립생물자원관 별모양 노란 꽃이 특징··· 땅속 비늘줄기는 자양강장제로 사용했대요 이른 봄 대지에 남은 눈 [雪]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봄꽃이 있어요. 얼음 위에 핀 꽃, '정빙화 (頂氷花)'라고 불리는 이 꽃의 이름은 '중의무릇'. 별 모양 꽃을 가진 멋진 식물이죠. 이 식물의 꽃잎 여섯 개가 활짝 열리면 마치 숲 바닥에 노란색 별이 떨어진 듯한 착시 (錯視)를 불러일으킵니다. 중의무릇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2년 이상 겨울을 이겨내고 생존하는 식물)로, 높이는 15 ~ 25㎝이며 전국 산지의 숲속에서 주로 자라요. 땅속에는 누런빛이 도는 흰색의 비늘줄기 (많은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땅속줄기)가 있죠. 비..

[느릅나무]

[느릅나무] 15m 높이까지 자라는 느릅나무는 공해에 잘 견디고 생명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죠. / 위키피디아 온달이 벗겨 먹었던 껍질, 질겨서 밧줄 · 옷도 만들었대요 느릅나무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나무입니다. 주로 해발 100 ~ 1200m 지대에 살고 있지요. 그늘이나 햇살이 잘 비치는 곳 모두 잘 자라는 데, 보통은 강변이나 물이 많은 토양에서 자란답니다. 농경지나 도시의 공원 등 다양한 환경에 잘 적응하는 편입니다. 느릅나뭇과 (科)의 느릅나무속 (屬)은 동북아에 34종이 분포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느릅나무, 난티나무 및 참느릅나무와 미국에서 들여온 미국느릅나무가 자라고 있지요. 낙엽활엽교목인 느릅나무는 높이가 크게는 15m에 이릅니다. 수명은 약 10..

[개구리발톱]

[개구리발톱] 봄의 전령 (傳令) 개구리발톱은 2 ~ 3월쯤 줄기 끝에 연분홍빛이 도는 힌색 꽃이 핍니다. / 국립생물자원관 3개로 갈라진 잎자루에서 작은 잎이 다시 3개로 갈라진대요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절기인 경칩 (驚蟄)이 되면 개구리가 깨어나 알을 낳는다고 하죠. 경칩이 되면 떠오르는 대표적 동물인 '개구리'가 이름에 들어가고, 이맘 때쯤 꽃도 피우는 식물이 있어요. 바로 '개구리발톱'이에요. 이 식물 이름 유래는 잎이나 열매 모양을 개구리 물갈퀴에 비유한 것이라 추정돼요. 개구리발톱은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2년 이상 겨울을 이겨내고 생존하는 식물)로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지방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주로 볼 수 있어요. 땅 속에 통통한 덩이줄기가 있고 줄기는 15 ~ 30㎝ 정..

[튤립]

[튤립] 꽃잎이 수술과 암술을 감싸고 있는 컵 모양의 튤립꽃. 이렇게 생기지 않고 꽃잎이 활짝 열려 있는 튤립 종 (種)도 있다고 해요. / 피사베이 언 땅이 녹고 봄기운이 찾아오면 정원 구석에 심겨진 튤립 구근 (球根 · 식물이 꽃을 피우는 데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잎 · 줄기 · 뿌리 등 특정 부위가 비대화돼 뿌리부의 조직처럼 발달한 기관)에서 푸른 잎이 돋아납니다. 튤립은 둥근 알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대표적인 구근식물로, 백합 · 나리와 같은 백합과 (科)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구근에서 올라오는 튤립 잎은 끝이 뾰족한 타원형으로, 꽃봉오리가 달리는 줄기를 감싸면서 자라납니다. 우리가 잘 아는 튤립 꽃은 흡사 컵 모양으로 둥글게 생겼지요. 꽃잎이 원통형으로 수술과 암술을 둘러싸고 있지만, ..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위)와 주목 (朱木 · 아래).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비자나무는 잎 끝부분이 날카롭고 뾰족한데 주목은 잎 끝이 둔하고 열매가 빨간색이죠. / 위키피디아 목재 치밀하고 단단해 가구 · 바둑판 만들어··· 씨앗은 구충제로 쓰였대요 우리나라에서 오래 사는 나무는 어떤 게 있을까요? 흔히 울릉도 도동의 절벽에 자라는 향나무, 또는 '살아서 1000년 죽어서 1000년'이라는 태백산이나 소백산의 주목 (朱木 · 적백송 · 수송 등으로도 불림)을 떠올리는데요. 비자나무도 있어요. 비자나무속 (屬)은 아시아의 온대 · 아열대 지역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 플로리다주에 2종 등 총 6종이 알려졌지요.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 · 일본에도 널리 자라는데요. 중국은 전 세계의 비자나무속 6종 중 4..

[아사이야자]

[아사이야자] 아사이야자는 20m 이상 자랄 수 있는 여러 개의 줄기 끝에 사람 키보다 큰 잎이 10여 개 돌려난답니다. / 위키피디아 열매 아사이베리는 아마존 원주민 식재료의 40% 이상 차지한대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었던 아사이베리를 기억하시나요? 아사이베리는 손가락 반 마디만 한 검푸른색 구형 열매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블루베리 · 딸기 · 산딸기 등 쌍떡잎식물과는 아예 다릅니다. 오히려 벼, 백합, 대나무처럼 외떡잎식물인 야자나무과에 속하는 '아사이야자'의 열매이지요. 외떡잎식물은 씨앗에서 처음 나는 떡잎이 한 장인 식물로, 두 장 나는 쌍떡잎식물과는 구분되죠. 아사이야자는 브라질 아마존강 유역 동부에서 주로 자라는 야자나무 종류예요. 20m 이상 자랄 수 있는 줄기 여러 개가 모여있고, 각 ..

[백서향과 제주백서향]

[백서향과 제주백서향] 위는 제주백서향. 우아한 흰색 꽃이 둥글게 모여 피어 있어요. 아래는 중국이 원산지인 서향. 자줏빛이도는 꽃이랍니다. / 국립생물자원관 타원형의 두꺼운 녹색 잎··· 제주도에서는 더 가늘고 끝이 뾰족해요 이른 봄 다른 식물들보다 먼저 꽃을 피워 진한 꽃향기로 봄소식을 알리는 식물이 있어요. 흰 꽃에 상큼하고 우아한 향기로 잘 알려진 '백서향'이 그 주인공이죠. 꽃향기가 천리 (千里)까지 퍼진다고 하여 천리향이라는 별명도 있을 정도예요. 백서향은 일본 · 중국에서도 자라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 경남 등 서 · 남해안 섬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드물게 자라는 식물이에요. 제주 곶자왈 (나무 · 덩굴식물 · 암석 등이 뒤섞여 수풀처럼 어수선해진 곳을 가리키는 제주 방언. 도립공원으로..

[울릉솔송나무]

[울릉솔송나무] 울릉솔송나무 (왼쪽)와 잎 부분을 확대한 모습 (오른쪽). / 문화재청 · 국립산림과학원 가지는 수평, 잎은 선형 (線形)으로 자라··· 울릉도에서만 자생한데요 동해에 우뚝 솟은 울릉도는 성인봉을 중심으로 지형은 가파르고 눈비가 많이 내려 식물에게는 천국이지요. 섬노루귀 등 초본식물 (草本植物 · 줄기가 나무질이 아닌 식물)과 섬단풍나무 · 왕매발톱나무 · 우산고로쇠 같은 목본식물 (木本植物) 등 고유종의 비율이 제주도보다 더 높아요. 세계적으로 관상 원예 분야의 중요 소재인 솔송나무속 (屬)은 아시아의 한국 · 중국 · 일본에 6종, 북미에 5종이 자생합니다. 이 중에서 '울릉솔송나무'는 오직 울릉도에만 자생해요. 이 나무는 보통 20 ~ 30m까지 자라요. 줄기 겉면은 회갈색으로, 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