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승공 33

[기원으로부터 - 포도의 기쁨]

[기원으로부터 - 포도의 기쁨] 위치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506 기원으로부터 - 포도의 기쁨 작가 : 안 시 헌 제작 : 사)한국미술협회 시흥지부 본 작품은 도약하는 시흥시의 역동성과 포도의 상징성을 등대형상으로 조형하여 미래의 꿈과 희망을 담아 시흥포도의 우수성을 알리고 시민의 기쁨이 되도록 조형화 하였다. 2004. 2. 11 시 흥 시 장

공공미술 2022.06.10

[비둘기공원(은행근린공원 포함)]

[비둘기공원(은행근린공원 포함)] 비둘기공원으로 올라가는 계단 비둘기공원 안내도 위치 : 비둘기공원 ㅡ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 551 은행근린공원 ㅡ 경기도 시흥시 은행로246(시흥시 대야동 565) 은행근린공원 발지압장 시흥시 대야도서관에서 은행근린공원으로 건너가는 육교 은행근린공원 장미원 은행근린공원 테니스장 은행근린공원에서 비둘기공원으로 접어드는 여인들 제29회 물왕예술제 일자 : 6. 17(금) ~ 19(일) 장소 : 비둘기공원 일원 공연예술 부문 장소 : 비둘기공원 야외 특설무대 6월 17일(금) 청년예술가 공연 | 19:30 18일(토) 개막식 | 19:00 / 개막 공연 | 19:30 19일(일) 어울림 가요 | 18:00 / 폐막 공연 | 19:20 평면(전시) 예술 부문 장소 : 비둘기공원..

공원 2022.06.08

[국립항공박물관] 03

[국립항공박물관] 03 대한민국의 항공역사 Aviation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은 시련의 순간에도 가장 높은 꿈을 꾸었기에 오늘날 전 세계 어디로든 마음껏 날아갈 수 있게 되었다. Koreans had the highest dream even at the time of hardship today we can fly anywhere in the world. 관람 동선 알림 임시정부의 항공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하늘을 열다 Aviation Independence Activists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ree the Sky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평화적인 시위였..

[국립항공박물관] 02

[국립항공박물관] 02 DC - 3 Engine R - 1820 엔진 R - 1820 Engine 미국 더글러스사가 개발한 21인승 쌍발 여객기 DC - 3에 사용되었던 실제 엔진(R - 1820)이다. '커티스 - 라이트사'에서 개발한 방사형 엔진으로 1930~1950년대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했던 보잉사의 B - 17 플라잉 포트리스(Flying Fortress) 폭격기와 더글러스사의 SBD 돈틀리스(Dauntless) 폭격기에도 적용되었던 엔진이다. 제2차 세계대전 항공력이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다 The Second World War, Aviation Determined the Fate of a Nation 제2차 세계대전은 전략, 전술, 전투 기술 등 모든 면에서 전례를 ..

대한민국 6 · 25 참전유공자비 (시흥시 대야동)

대한민국 6 · 25 참전유공자비 (시흥시 대야동) 대한민국 6 · 25 참전유공자비 위치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569-2 (은계공원 內) 미국 지원병력 1,789,000 보병사단 8 해병사단 1 연대전투단 2 병력 302,483명 극동해군 미 제7함대 극동공군 육이오참전 유공자 비문 아! 육이오 일천구백오십년 유월 이십오일 새벽 천지가 진동하는 포탄과 탱크 소리 육탄(肉彈)으로 막아낸 꽃다운 젊음 나라와 겨레 위해 적군을 무찌르며 목숨 바쳐 돌진하던 삶과 죽음의 사선에서 충혼(忠魂)의 열정으로 한줌 흙이 된 당신들 살아 남은 자도 죽는순간까지 해와 달이 되어 총탄에 쓰러진 전우를 기억하고 번영된 민족의 통일과 가슴마다 못다 이룬 꿈을 여기에 새기며 조국 위해 싸우신 당신들의 숭고한 넋을 후세 내내 ..

참전기념비 2022.04.20

광고, 세상을 향한 고백

광고, 세상을 향한 고백 전시를 열며 은 ‘광고’를 통해 한국근현대사를 깊이 있게 설명하는 ‘실감형 영상전시‘입니다. 네 벽면과 두 기둥에 프로젝터 영상을 투사하여, 대중의 열망과 소비문화의 변화과정을 한 편의 광고처럼 재현하였습니다. 광고는 대중의 소비문화를 비추는 거울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광고 속 언어와 이미지는 신문, 라디오, TV 등 언론매체를 이용하여 우리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상품의 소비를 자극합니다. 이에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광고와 대중소비문화의 변화를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되짚어보고자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공개하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체험해보면서, 각 세대의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1부 광고합니다 ‘대중’, ‘상품’, ‘시대’라는 키워드로 광고에 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