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3/10 57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9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9 제주의 교육과 인물 유교 이념을 지방에 보급하고 백성을 교화하기 위해 국가에서 운영하는 향교가 1392년 (태조 원년) 제주에 설치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서원과 서당 등의 사설 교육기관이 세워져 제주의 유학교육을 담당하였습니다. 제주 출신으로 과거에 합격하여 높은 관직에 오른 사람도 있지만 제주를 떠나지 않은 채 좋은 환경의 제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한편, 중앙에서 온 명망과 학식을 갖춘 유배인들은 제주에서 교육 활동을 펼치며 제주도 지식인의 학문과 이념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제주인의 과거와 출사 조선시대 과거에 합격하여 관리가 되는 것은 입신양명 立身揚名의 첫 관문이었습니다. 제주인의 문과 文科와 무과 武科 향시 鄕..

여행/제주도 2023.10.26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8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8 삼별초와 항파두리성 제주도에 거점을 둔 삼별초는 김통정 金通精 장군을 중심으로 항파두리에 성을 쌓고 항전하였으나 1273년 (원종 14) 결국 여몽 연합군에 항복하였습니다. 원 元은 삼별초를 평정한 후 일본 원정에 대비히여 제주에 탐라총관부 耽羅摠管府를 설치하고 다루가치를 파견하여 감독하게 하였습니다. 최근의 발굴조사로 항파두리성의 내 · 외성 구조와 축성 築城 방식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 안에서 20여 기의 건물터가 확인되었고, 갑옷을 비롯하여 청자, 청동 그릇, 기와류 등을 발견하였습니다. 1. 고누놀이판 2. 청자 베개 3. 청자 여지무늬 대접 4 ~ 10. 연꽃무늬 수막새 11. 넝쿨무늬 암막새 12 ~ 15. 청자 꽃모양 접시 16. 청자 접..

여행/제주도 2023.10.26

[명태]

[명태] 명태 현순애 난전에 펼친 어전 허공에 둔 눈 소금기 절은 손등으로 훔친 이마에 바다 슬쩍 걸터앉는다 앞치마로 비린내 두른 여자가 도마 앞에서 종일 칼춤 춘다 여자의 노곤한 청춘 껍질째 벗겨져 낱장낱장 살 비늘오 저녀지는 하얀 속살 머리 떼고 꼬리 떼고 몸통 두서넛 토막 종일 품삯은 병든 노모의 약이었다 까치발로도 닿을 수 없는 세상 자식 딛고 서는 무동이었다 식구의 허름한 식사였다. 시인 현순애

詩, 좋은 글 ... 2023.10.25

[혀의 이모저모]

[혀의 이모저모] ▲ / 그래픽=진봉기 '빨대 혀' 로 꿀 빠는 새··· 뱀은 혀로 냄새 맡는대요 척추동물인 어류가 육지로 올라오며 음식물 삼키기 위해 혀 점점 커졌죠 고양이는 혓바닥 돌기로 털 빗어요 "메롱!" 친구를 놀릴 때 내미는 혀는 밥을 먹고 말을 할 때 꼭 필요한 중요한 신체 부위입니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혀를 통해 척추동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로봇을 만드는 영감을 얻기도 하거든요. 혀에 대한 이모저모를 함께 알아봐요. 육지동물로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 척추동물은 물속에서 시작했어요. 지금으로부터 4억8000만 년 전 물고기 (어류)가 가장 먼저 등장했죠. 물고기는 혀가 필요 없어요. 턱을 크게 벌리면 자연스럽게 물이 입안으로 들어오고, 그 안에 ..

[갈퀴현호색]

[갈퀴현호색] ▲ 갈퀴현호색은 3~4월쯤 줄기 끝에 보통 진한 푸른색으로 꽃이 펴요. / 국립생물자원관 강원도 높은 산에서 자라··· 땅속 줄기는 '활명수' 에 들어가요 강원도 높은 산에서만 만날 수 있는 '갈퀴현호색(玄胡索)'이란 식물이 있어요. 이 식물은 봄이 되면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호색과 달리 꽃받침 끝부분이 갈퀴처럼 깊게 갈라져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갈퀴현호색은 현호색과 (科) 현호색속 (屬) 식물이에요. 현호색속 식물은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465종이 자라고, 중국에 가장 많은 265종이 분포한다고 해요. 우리나라에는 약 30종이 자라는데, 그중 갈퀴현호색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고유 식물이죠. 갈퀴현호색은 높은 산 숲속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에요. 땅속..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 산책하는 베토벤을 그린 그림. 평소 베토벤은 숲길을 산책하며 악상을 가다듬곤 했대요. / 베토벤박물관 산책 · 부부 싸움 · 사냥 떠오르는 피아노 연주곡 썼죠 피아노 소나타 32곡 모두 고유 색채 선물 받은 피아노 치며 만든 곡은 오케스트라 못지않은 웅장한 규모 오는 28일부터 7월 9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는 오스트리아 피아니스트 루돌프 부흐빈더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가 7회에 걸쳐 진행됩니다. 탁월한 영감과 뛰어난 완성도로 '피아노 음악의 신약성서'라 불리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32곡은 피아니스트라면 누구나 완성하고 싶어 하는 레퍼토리죠. 부흐빈더는 한두 번도 어려운 이 전곡 연주 시리즈를 무려 60회 이상 성공시키며 현존하는 최고의 베토벤..

[⑤ 1948년 5월 10일 총선거]

[⑤ 1948년 5월 10일 총선거] 제헌의회 개원… 이승만 "투표율 90% 넘는 건, 세계에 민족의 애국심 보여준 것" - 1948년 5월 31일 제헌의회 개원식이 열리고 있다. 개원식에는 5 · 10 총선에서 당선된 의원 198명 (정원 200)이 참석했다. 이승만은 개원식에 앞선 예비 회의에서 국회의장으로 당선됐다. 소련은 남로당을 앞세워 5 · 10 총선을 방해하기 위해 전국에서 폭동을 일으켰지만 선거는 95.5%의 투표율로 마무리됐고 대한민국이 탄생했다. 이승만은 투표율이 90%를 넘은 것에 대해 "우리 민족의 애국심을 세계에 표명한 것"이라고 했다. / '사진과 함께 읽는 대통령 이승만'(기파랑) '피의 세례' 에도 투표율 95.5%··· 제헌의회 선거의 기적 이끌다 소련, 남로당 앞세워 전국..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7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7 청자 국화무늬 접시 고려 13 ~ 14세기 제주시 삼도동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280, 1980년 입수 청자 국화무늬 완 고려 13 ~ 14세기 제주시 삼도동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281, 1980년 입수 청자 국화무늬 병 고려 13 ~ 14세기 제주시 삼도동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283, 1980년 입수 청자 매병 고려 13 ~ 14세기 서귀포시 하례리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1477, 1988년 입수 청자 표주박모양 병 고려 12 ~ 13세기 제주시 일도동 국립중앙박물관 / 신수 1810, 1969년 발견 흑유병 고려 제주시 상대리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1326, 1987년 발견 잡유병 고려 제주시 종달리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 3540, 1996..

여행/제주도 2023.10.23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6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6 청자와 바닷길 고려시대 제주에서 청자를 만들지는 않았지만 바닷길을 통한 청자 수입은 유리하였을 것입니다. 제주에서 발견된 청자 중에는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들도 있으며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해저에서는 중국 청자와 함께 금팔찌, 금뒤꽂이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출토된 청자들은 중국 남송 南宋 용천요 龍泉窯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일본으로 가는 무역선이 제주 해안에서 난파 難破되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 송 宋과 일본인들이 수시로 드나들었다는 기록은 제주가 13세기 동아시아 해상교류의 중심에 있었던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신창리 해저유적 제주시 한경읍 신창리 앞바다에서 물질을 하던 해녀들이 바다 속에서 금팔찌, 금뒤꽂이, 중국 청자 등을 발견하였다. 중국 남..

여행/제주도 2023.10.23

[도마뱀부치]

[도마뱀부치] ▲ 도마뱀부치는 발바닥에 빨판이 여러 개 있어 벽과 천장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대요. / 국립생물자원관 혀로 눈 핥아서 청결 유지··· 발바닥에 빨판도 있어요 독일 등 여러 나라 과학자로 구성된 연구진이 20년 전 마다가스카르섬에서 발견한 도마뱀부치가 새로운 종(種)으로 공식 기록됐대요. 지금까지 확인된 도마뱀부치 무리만 1500여 종인데 새로운 종류가 추가된 것이죠. 도마뱀부치는 추운 북아메리카·시베리아 · 북유럽 등을 제외한 지구촌 곳곳에 분포한 도마뱀입니다. 대개 몸길이는 12㎝ 안팎으로 아담해요. '도마뱀'에 '같은 종류' '같은 무리'라는 의미의 접미사 '붙이'가 합쳐져 '도마뱀붙이'가 됐어요. '도마뱀붙이'와 '도마뱀부치' 두 단어를 함께 쓰다가 지금은 과학자들이 '도마뱀부치'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