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6
청자와 바닷길
고려시대 제주에서 청자를 만들지는 않았지만 바닷길을 통한 청자 수입은 유리하였을 것입니다. 제주에서 발견된 청자 중에는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들도 있으며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해저에서는 중국 청자와 함께 금팔찌, 금뒤꽂이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출토된 청자들은 중국 남송 南宋 용천요 龍泉窯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일본으로 가는 무역선이 제주 해안에서 난파 難破되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 송 宋과 일본인들이 수시로 드나들었다는 기록은 제주가 13세기 동아시아 해상교류의 중심에 있었던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신창리 해저유적
제주시 한경읍 신창리 앞바다에서 물질을 하던 해녀들이 바다 속에서 금팔찌, 금뒤꽂이, 중국 청자 등을 발견하였다. 중국 남송시대 용천요계 가마에서 만든 청자 대접이 가장 많이 나왔는데, 당시 중국에서 일본으로 수출되어 규슈지역 등에 있는 유적에서 발견된 청자와 유사하다. 이 시기 중국 절강성 등 지역에서 일본으로 가던 배가 제주도 앞바다에서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창리 해저유적 출토품
고려 (중국 남송 12 ~ 13세기)
제주시 신창리
국립중앙박물관 · 국립광주박물관 / 1988 발견
1. '하빈유범' 을 새긴 청자 대접편 2. 청자대접편 · 접시편 3. 금팔찌 4. 금뒤꽂이
제주 역사 연표 (고려 ~ 조선)
918
고려 건국
926
발해 멸망
935
신라 멸망
936
후백제 멸망
925
탐라국, 고려에 토산물 조공
『고려사』 · 「고려사절요」 태조
938
고려 입조 ㅡ 번국으로 독립된 체제
탐라국왕 고자견 高自堅,
고려에 태자 고말로 高末老를 보내어 조공
이에 성주 · 왕자의 작위를 하사 받음
『고려사』 · 「고려사절요」 태조
993
거란 1차 침입
서희의 외교
1002
탐라, 화산 폭발해 5일 만에 먹음
「고려사절요」 목종
1007
탐라의 바다 가운데 상서로운 산이 솟음
「고려사절요」 목종
「신증동국여지승람」 전라도 제주목 고적조
1010
거란 2차 침입
1018
거란 3차 침입
1019
귀주대첩
강감찬, 귀주에서 거란 물리침
1085
의천, 송나라 유학
1012
탐라, 고려에 대선 2척을 조공
『고려사』 헌종
1034
정종 즉위년에 토산물을 바치고
팔관회 찬가
『고려사』 · 「고려사절요」 덕종
1052
탐라국에서 해마다 바치는
귤의 정량을 1백 포로 개정
『고려사』 문종
한국과 일본에 무신 정권이 들어서고,
유럽에서는 십자군전쟁이
계속되다
1170
무신정변
1105
탐라군 설치
탐라 국호 폐지, 탐라군 설치
고려의 지방군으로 편입
번국의 지위를 잃음
제주읍성 축조
1153
탐라군, 현으로 개편
1168
양수의 난
몽골은 세계 정복에 나서고,
고려는 저항하다
1231 ~ 1254
몽골 6차례 침입
1232
강화 천도
1270
개경 환도, 삼별초의 대몽 항쟁
1274
여 · 원 연합군 1차 일본 원정
1281
여 · 원 연합군 2차 일본 원정
1268
원, 남송과 일본 정벌을 위한
군비조달 강요
1269
법화사 중창
1273
삼별초 토벌을 위해 파견된
김방경과 몽골의 혼도가
추자도를 거쳐 탐라 상륙
1271
삼별초,
제주로 거점 이동
방어시설 (항파두성 · 애월목성 · 환해장성 등) 구축
1273
삼별초 항쟁 종료
1350
경인 왜구
왜구 침입 본격화
1376
최영, 왜구 격퇴 (홍신대첩)
1380
이성계, 왜구 격퇴 (황산대첩)
1275
탐라총관부 설치
원, 도적 1백여 명을 탐라에 유배
1276
원, 탐라에 국립목장 설치
1277
탐라, 대기근
1285
원, 탐라에서 만든 배 1백 척을
고려에 하사
1295
고려로 환속, 제주로 복호
몽골제국이 막을 내리고,
유럽에서 르네상스가
시작되자
1388
위화도 회군
박위, 쓰시마 섬 토벌
1392
조선 건국
고려 멸망
1301
원, 탐라군민만호부 설치
1371
원의 황족, 탐라 유배
1356
목호, 도순문사 윤시우 살해
1374
목호의 난
1381
명, 운남을 평정하고 양왕 梁王의 가속
제주에 안치
1392
제주향교 설치
조선에 유교문화가 꽃피고,
유럽에서 대항해 시대의 막이
오르다
1413
군현제 실시
1423
삼포 (부산포 · 내이포 · 염포) 개항
1443
훈민정음 창제
1485
『경국대전』 완성
1498
무오사화
1402
탐라의 성주, 국명과 성주의
세습 직위를 포기
1416
삼읍의 설치
제주목 · 대정현 · 정의현
1418
대정현성 축조
1423
정의현성 이설
1504
갑자사화
* 홍상, 유헌
1510
삼포왜란
1512
일본과 임신약조 체결
1519
기묘사화
* 충암 김정, 이세번
1545
을사사화
1510
명월진성, 별방진성 축조
* 목사 장림
1552
천미포 왜란
1554
남치근, 천미포에서 왜구 격퇴
1581
애월진성 축조
* 목사 김태정
1590
서귀진성 이축
조천진성 중창
* 목사 이옥
조선에서 도학정치가 시작되고,
서세동점의 시대가
열리다
1555
을묘왜변
1589
기축옥사
정여립의 난
* 소덕유, 길운절
1592
임진왜란
1597
정유재란 · 명량해전
1598
노량해전
1613
계축옥사
* 정온 (1614 유배)
1623
인조반정
1627
정묘호란
1636
병자호란
1601
길운전 · 소덕유 역모사건 (문충기의 난)
1628
벨테브레이, 제주도 표착
1629
출륙금지령
1637
광해군, 제주목 유배
1653
하멜, 제주도 표착
1670
대기근
조선의 당쟁이 치열해지고,
서유럽에서 절대왕정이
전개되다
1659
제1차 예송논쟁 (서인 ㅡ 남인)
1674
제2차 예송논쟁 (서인 ㅡ 남인)
1680
경신환국
(서인 집권)
1689
기사환국
(남인 집권)
* 송시열, 김예보
1694
갑술환국
(서인 집권)
* 장희재, 김덕원, 민암
1678
화북진성 축조
모슬진성 축조
영 · 정조가 왕도정치를 추진하고,
서유럽에서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이
일어나다
1701
무고의 옥
희빈 장씨, 사사
* 김춘택 (1701 유배)
김선재, 김덕재, 김기손 (1723 유배)
1708
대동법, 전국 확대 시행
1721
신축옥사
* 신임, 조성복
1790 ~ 1794
대기근
1725
탕평책 실시
1750
균역법 실시
1776
규장각 설치
1784
이승훈, 조선 최초로 가톨릭 영세
1796
수원 화성 완공
1813
양제헤의 모변
1845
제주 용수리 해안에 김대건 신부 표착
조선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서유럽은 장밋빛 미래로
내달리다
1801
신유박해
황사영 백서 사건
* 이치훈, 정난주, 홍낙임
1811
홍경래의 난
1831
천주교 조선 교구 설치
1839
기해박해
1860
최제우, 동학 창시
조선은 개화를 시작하고,
열강은 식민지 쟁탈전에
본격적으로 나서다
1863
고종 즉위, 흥선대원군 집권
1865
경복궁 중건 (~ 1872)
1866
병인박해, 병인양요
1871
신미양요
1875
운요호 사건
1876
강화도조약
1862
임술농민 봉기
제주 ㅡ 강제검의 난
1864
정의, 대정 양현을 군으로 승격
전라도 관찰사 관할에 둠
1880
정의, 대정 양군을 현으로 환원시켜
제주 목사의 관할 아래 귀속 시킴
조선에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고,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다
1882
임오군란
1884
갑신정변
1894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1896
을미사변
1897
대한제국 성립
1890
경인민란
1895
제주목을 부로 개편, 관찰사를 둠
1896
병신민란
고려시대
제주
918년에 건국한 고려는 탐라국을 인정하여 성주 星主의 작위를 내리고 간접적으로 제주를 지배하였습니다. 1105년 (숙종 10)에는 탐라국을 고려의 행정구역인 '군 郡' 에 포함시키면서 '탐라군 耽羅郡' 이 되었고, 탐라는 '나라 國' 의 지위를 잃게 되었습니다. 1295년 (충렬왕 21)에는 '탐라' 라는 이름 대신 바다 건너 고을이라는 뜻의 '제주 濟州' 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탐라는 고려의 영향으로 청자를 수입하고 불교문화를 받아 들였습니다. 고려시대 말기 대몽항쟁 시기에는 몽골군의 침입에 대항하던 삼별초 三別抄의 마지막 거점이었으나, 1273년 (원종 14) 삼별초가 여몽 麗蒙 연합군에게 패하면서 제주는 중국 원 元나라 탐라총관부의 통치를 받게 되었습니다.
제주의 불교문화
제주에서 불교가 융성한 것은 고려시대부터 입니다. 『고려사 高麗史』에는 1034년 (덕종 3) 수도 개경에서 열린 팔관회에 탐라의 사신이 참석하였고, 1057년 (문종 11)에 육지의 사찰 창건에 탐라 사람들이 동원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제주의 대표적인 절은 법화사 法華寺, 수정사 水精寺, 원당사 元堂寺, 존자암 尊者庵 등이 있습니다. 법화사 터에서는 고려청자와 다양한 기와, 중국 도자기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그 밖에 원당사 터 5층 석탑, 수정사 터 석탑 부재, 존자암 터 출토품 등은 제주의 불교문화를 잘 보여줍니다.
원당사 터
제주시 삼양동에 있었던 원당사는 고려시대 말기 중국 원나라의 지배시기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는 절이다. 원의 기황후가 아들을 얻기 위해 삼첩칠봉 三疊七峰의 명당에 절을 짓고 불공을 드렸다는 전설만 전해지고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발굴 조사로 조선시대 17세기까지 절이 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자편과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현재는 원당사 터에 불탑사라는 절이 있으며, 창건 당시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5층 석탑 (보물 1187호)이 남아 있다.
원당사 터 출토 청자
고려
제주시 삼양동 원당사 터
제주 2703 ~ 2823, 2008년 발굴
1. 청자 완편 (햇무리굽) 2. 청자 대접편 3. 청자 접시편 4. 청자 병편 5. 청자 잔편 6. 청자 뚜껑편
원당사 터 출토 기와
고려
제주시 삼양동 원당사 터
제주 2703 ~ 2823, 2008년 발굴
1. 연꽃무늬 수막새 2, 3. 국화무늬 수막새 4 ~ 7. 나선무늬 입막새 8, 9. 연꽃무늬 암막새
수정사 터
제주시 외도동 도근천가에 위치한 고려시대 절이다. 중국 원나라가 제주를 지배하던 시기인 고려 말기에 창건되었다가 조선 초기에 급격히 쇠퇴하였고 17세기에 폐사되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발굴 조사로 건물터 12개와 석등 터, 석탑 터 등을 확인하여 당시 규모를 짐작할 수 있었으며, 청자, 기와, 석탑 부재 등도 발견하였다. 특히 점판암으로 만든 석탑의 몸돌에는 인왕상이 새겨져 있는데 조형미와 조각기법이 매우 뛰어나다.
수정사 터 출토품
고려
제주시 외도동 수정사 터
제주 3703 ~ 2823, 1998 ~ 2000년 발굴
1, 2. 국화무늬 수막새 3. 청자 대접 4. 백자 접시 5. 청동 접시
탑 몸돌
고려
제주시 외도동 수정사 터
제주 280 · 284, 1998년 발굴
'여행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8 (0) | 2023.10.26 |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7 (0) | 2023.10.23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5 (0) | 2023.10.19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4 (0) | 2023.10.17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13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