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울 2

[6 · 25 전쟁 60년] 서울 거쳐 평양으로 (79) 마지막 관문을 넘다

[6 · 25 전쟁 60년] 서울 거쳐 평양으로 (79) 마지막 관문을 넘다 1950년 10월 38선 이북으로 진군한 미군이 북한군 토치카에 화염방사기를 발사하고 있다. 쫓기던 북한군은 평양 근처에서 조직적인 저항을 시도했지만 쉽사리 무너졌다. [중앙포토] 전투는 어떻게 보면 대형 공사를 완성하는 과정과 흡사하다. 부족한 곳을 메우고, 내게 넘치는 부분은 제때 거둬들일 줄 알아야 한다. 기계적으로 공격을 퍼부어야 할 순간에는 과감하게 화력과 병력을 투입해야 한다. 그러나 물러날 때에는 역시 과감하게 물러나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전선의 동향을 정확하게 읽고, 그 배후에 숨은 상대의 의도와 약점을 제대로 짚어야 한다. 일선에서 피를 흘리며 분전하는 병사들의 고생이야 이루 말할 수 없이 크지만, 장막..

[6 · 25 전쟁 60년] 서울 거쳐 평양으로 <75> 진격 길에 나서다

[6 · 25 전쟁 60년] 서울 거쳐 평양으로 진격 길에 나서다 평양 진격로 세 시간쯤 흘렀을 것이다. 나는 미 1군단의 밴 브런트 참모장이 작전계획 수정 작업을 마칠 때까지 기다리고 있었다. 마침내 작업을 마친 밴 브런트가 내게 수정한 작전명령서를 쥐여줬다. 나는 다시 확인했다. 국군 1사단이 경의(京義) 축선의 우익을 맡아 평양으로 진격하도록 돼 있었다. 이승만 “평양엔 반드시 ‘마이 보이’들이 먼저 입성해야” 대전비행장으로 와서 경비행기 L5로 청주에 돌아왔다. 사령부에 들어서면서 나는 기다리고 있던 부하들에게 “자, 이제 우리가 선봉(先鋒)으로 평양에 진격한다”고 외쳤다. 사령부는 참모들과 사령부 본부대원들의 함성으로 뒤덮였다. 도로우선권이라는 게 있다. 청주로부터 수원을 거쳐 서울로 향하는 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