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3/11/13 2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4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4 천권성 (天權星) 북두칠성 제사도 北斗七星 第四圖 주성안에 있다 삼성이 처음 나왔을 때 삼도를 나누어서 차지하였는데 북두성을 모방하여 대를 쌓고 나누어 거처하였기 때문에 칠성대라 한다. 七星圖 : 在州城內 石築有 遺址 三姓初出分占三徒 倣北斗形築臺分據之 因名七星圖 권 38. 제주목조 칠성대는 탐라시대부터 전해 내려 온 최고 (最古)의 유적으로 탐라사회이 결속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한 문화상징이었으며 탐라왕의 호칭인 성주 (星主)도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칠성대는 북두칠성을 항로지표로 삼아 동아지중해를 누비며 주변국과의 교역을 통해 삶을 영위했던 해상왕국 탐라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탐라는 가히 '별의 나라' 였다고 할 수 ..

여행/제주도 2023.11.13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3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3 제주의 생활과 신앙 濟州生活 · 信仰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는 '열린 섬' 으로서 외부의 문화가 쉽게 들어올 수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고립된 섬' 으로서 고유의 전통이 오랫동안 유지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렇게 제주만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신앙이 만들어졌습니다. 제주섬 사람들은 주변의 재료를 바탕으로 제주의 혹독한 기후에 최적화된 생활도구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개인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무속 신앙이 오랫동안 제주섬 사람들의 삶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제주의 생활과 신앙은 오늘날 제주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남아 있습니다. 허벅 水甕 20세기 제주 717, 2001년 구입 제주 옹기는 제주의 화산회토로 만들어져 표면이 붉고 노란 빛이 감도는 갈색..

여행/제주도 2023.11.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