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9 97

[종소리 안에 네가 서 있다]

[종소리 안에 네가 서 있다]    일러스트 = 김성규    종소리 안에 네가 서 있다 조약돌 주워 호수에 퐁 ! 던졌더니동그랗게 무늬가 생긴다 동그라미 안에 동그라미끝도 없이 생긴다 종소리 같다 물무늬처럼 번지는 종소리종소리처럼 번지는 내 마음 종소리 안에 온종일네가 서 있다 ㅡ 장옥관 (1955 ~)   작고 동글동글한 돌을 주워서 호수에 던져보는 시인이 있다. 호수의 수면에는 물방울이 튀고 물무늬가 생겨난다. 동심원의 물결은 연달아 일어나고 차차 넓게 퍼져 간다. 시인은 파문 (波紋)을 보면서 아득한 허공에 울려 퍼지는 은은한 종소리를 떠올린다. 물의 공간이 대기의 공간으로, 시각의 감각이 청각의 감각으로 순식간에 바뀌는 대목이다. 그러면서 시인은 둥근 물무늬의 번짐과 종소리의 울림이 나의 마음에 ..

[황매화]

[황매화]    ▲ 황매화 꽃의 모습. 도심에선 황매화 꽃잎이 여러 장인 겹꽃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를 따로 죽단화 또는 겹황매화라고 불러요. / 김민철 기자     초봄엔 산수유와 생강나무, 개나리, 민들레, 유채꽃 등 노란색 꽃이 유난히 많습니다. 초봄에 활동이 활발한 등에 등 파리류 곤충들이 노란색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식물들이 꽃가루받이 매개체가 좋아하는 색으로 꽃을 피우는 것입니다. 요즘 도심에서 늘어진 줄기에 노란색 꽃이 주렁주렁 달린 나무가 있다면 황매화일 가능성이 큽니다. 주로 길거리나 화단 또는 공원에 산울타리로 길게 심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근래에 부쩍 늘어난 것 같습니다. 장미과에 속하는 황매화는 높이 1.5 ~ 2m 정도까지 자라는 작은키나무입니다. 우리 자..

[18 · 19세기 유럽 다룬 뮤지컬들]

[18 · 19세기 유럽 다룬 뮤지컬들]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 공연 장면. 화려한 프랑스 왕실과 왕실의 복식 문화를 재현한 무대를 구경하는 재미가 있어요. / EMK뮤지컬컴퍼니    프랑스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의 화려한 궁전 생활 재현했죠   프랑스 혁명 다룬 '마리 앙투아네트'가상 인물인 '시민 대표' 도 등장하죠'그레이트 코멧', 톨스토이 소설이 원작    18 ~ 19세기 유럽에는 새로운 세상을 향한 변화의 물결들이 요동치고 있었어요. 그중에서도 프랑스에선 각종 전염병과 계속된 전쟁으로 인한 가난 속에서 삶이 피폐해진 백성들의 불만이 크게 들끓고 있었어요. 하지만 화려한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매일 밤 사치스러운 파티가 열렸습니다. 먹을 게 없어 굶주리던 농민들에게 파티의 주인공인 왕비 마리..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7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7   김가영 선수 [출처 : NAVER 블로그 바다건전지]   3 쿠션의 기초이론과 자세 ㅡ 04   ◆ 브리지의 종류와 특징     일반적으로 당구를 처음 배우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리지 형태이다.세 손가락을 펼쳐 주면 수구가 가볍게 다루어 지는 특징이 있다.따라서 1 적구가 가볍고 빠르게 다녀야 할 때 사용하면 적합하며, 손가락을 펼쳐주면 1 적구의 분리각이 커지므로 Kiss 뺄 때도 응용한다.     소지를 제외한 세 손가락에 힘을 주고 모으는 부리지는 강력한 대회전, 끌어치기, 밀어치기, 바운딩 등 파워 있는 스트로크를 할 때 사용한다.네 손가락을 힘있게 모아 주면 오른손 그립에 힘을 빼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네 손가락을 모두 모아주는 브리지..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6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6   김가영 선수 [출처 : MLBPARK]   3 쿠션의 기초이론과 자세 ㅡ 03   ◆ 스트로크의 기본 조건   득점을 위한 스트로크의 기본 조건은 다섯 가지 요소들을 잘 조화 시키는 것이다       [득점률을 높이는 비결] 3 쿠션에서 득점률을 높이는 요소들을 크게 분류하면 위 도형과 같다. 1. 두께 겨냥법을 활용한 정확한 두께.2. 수구의 분리각을 고려한 당점의 상, 중, 하 선택.3. 수구의 동선을 결정하는 회전 (Tip)량의 선택.4. 수구의 분리각을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는데 영향을 주는 큐 선의 길이.5. 공의 배치에 따라 수구가 변화 없이 구르도록 하기 위한 적당한 큐 스피드 등이 있다. 따라서 극단적인 당점, 극단적인 회전량, 불필요한 만큼의 큐 ..

[14ㅡ1 래크 게임 ㅡ 미리 정해둔 점수에 먼저 도달한다]

[14ㅡ1 래크 게임 ㅡ 미리 정해둔 점수에 먼저 도달한다]   자넷 리 선수 [출처 : 국대 마케터]   ◐ 게임의 방법 14ㅡ1 (포틴 원) 래크 게임은 15개의 컬러 볼을 모두 사용해서 하는 매우 고도의 포켓 당구 게임이다.14ㅡ1 래크 게임의 특징은 플레이어가 샷하기에 앞서 자기가 넣을 공의 번호와 포켓을 콜 (지정)해야 하는 점이다. 이 경우 어떤 번호의 공을 지정해도 상관없다.득점은 공의 번호에 관계없이 1개를 포켓하면 1점으로 계산된다. 그리고 특수한 감점제가 채택되고 있어서 파울을 범하면 득점에서 감점된다.게임은 플레이어가 미리 정해 둔 점수에 먼저 도달한 사람이 이기게 된다. 세계선수권 등의 공식 경기에서는 핸디 없이 경기를 하지만, 통상은 100점 대 80점하는 식으로 핸디를 주고 있다..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8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8   김가영 선수 [출처 : 이데일리]   테이블횡단 (난구 형태)  횡단 샷 유형 중 당구대를 종 · 횡으로 2 ~ 3번씩 왔다 갔다 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 몇 가지를 제시한다.  (A) 상단 당점 / 복합횡단       1 적구를 최대한 얇게 조준하되, 회전은 3 팁 정도로 조금 강하게 쳐주어야 단축쿠션을 맞고 5 쿠션이 되어 목표지점으로 간다.   (B) 하단 당점 / 역비틀기       하단 당점을 주되, 약간의 역비틀기 (0.5 팁)가 필요하다. * 두께가 두꺼우면 3 쿠션 지점이 단축에 맞지 못해 득점에 실패한다.   (C) 상단 당점 / 길게 세워 횡단 1 적구를 아주 얇게 조준하되 중 · 상단 무회전성으로 샷을 한다. * 내공과 1 적구의..

당구 Billiards 2024.09.07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7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7   김가영 선수 [출처 : 김개똥의 성공스토리]   횡단 샷 (응용)        내공 위치가 1 적구보다 안쪽 (단축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 끌어서 횡단 샷을 해야 하는데, 이때 적용하는 유효한 방법 (기술)이다. (1) 내공 중심에서 1 적구 우단으로 연결선을 그어 기울기를 계산한 후 2등분한다 (나누기 2). → 두께 (2) 1 적구와 2 적구 간격 계산 → 팁 수 (3) 기울기 (4) / 2 = 2 (2 / 8 두께) 기울기는 절반으로 하여 두께로 삼는다. (4) 1, 2 적구의 간격 : 2 (2팁) → 당점 (팁 수) 끌림이 필요하므로 하단 당점 (5) 3 쿠션 경기에서 자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익혀 두면 매우 유용하다.

당구 Billiards 2024.09.07

[경주 '동궁과 월지' (안압지)]

[경주 '동궁과 월지' (안압지)]    ▲ 신라 전성기에 만들어진 궁궐 유적 '동궁과 월지' 의 야경. / 경상북도    신라 전성기 때 만든 '왕실 정원'··· 둘레 1㎞ 인공 호수도   호수 안에 섬 3개, 주변엔 산 만들어'벌칙 주사위' 굴리며 놀던 연회 장소목간 · 거울 · 빗 등 유물 3만여 점 출토    국립경주박물관은 오는 8월 31일까지 '안압지의 추억, 내 기억 속 월지' 라는 제목으로 사진 공모전을 연다고 합니다. '안압지' 가 어디일까요? 정작 경주에 가면 그 이름이 적힌 표지판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지금은 정식 명칭이 '동궁 (東宮)과 월지 (月池)' 로 바뀌었기 때문이죠. 예전에는 이곳을 오래도록 '안압지 (雁鴨池)' 라고 불렀습니다. 요즘엔 야경이 아름다운 촬영 명소로 꼽히..

[⑦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⑦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1996년 미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울펜손홀 앞 잔디에서 국내 수학 교수들과 함께 선 이임학 (가운데). 당시 프린스턴대가 개최한 학술 대회 자리였다. 이임학은 학술 대회에 특별 초청됐다. 왼쪽부터 김대산 서강대 교수, 김동균 고려대 교수, 이임학, 양재현 인하대 교수, 채희준 홍익대 교수. / 대한수학회   한국 최초 국제 학술 논문 주인공··· 갈루아 와 나란히 '최고 수학자' 반열에   1947년 서울대 교수 재직 당시시장서 미군이 버린 책 뒤적이다美수학자 초른의 미해결 문제 보고풀어서 보내자 학술지에 논문 실려 캐나다 유학 가 박사 학위 딴 뒤여권 연장 신청했지만 거부당해무국적자인 상태로 남아서 연구 群論 연구 중 'Ree군' 발견하며세계 수학사의 중요한 이정표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