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9 97

[북방족제비]

[북방족제비]    ▲ 2026년 동계올림픽 · 패럴림픽 마스코트인 티나 (왼쪽)와 밀로. 둘 다 북방족제비예요. / IOC    2026년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겨울엔 온몸이 하얗게 변해요    얼마 전 이탈리아 밀라노와 코르티나담페초에서 열릴 2026년 동계올림픽 · 패럴림픽의 마스코트가 공개됐어요. 두 개최 도시에서 각각 이름을 딴 '밀로' 와 '티나'인데요. 기다랗고 호리호리한 몸을 가진 이 친구들은 북방족제비 남매래요. 족제비 무리는 육식동물 중에서는 덩치가 왜소하지만, 주변 환경에 아주 훌륭하게 적응해 지구촌 곳곳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요. 그중 북방족제비는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유럽, 그리고 미국과 캐나다 등 추운 곳에 사는 족제비랍니다. 2018년 평창 올림픽 마스코트였던 호랑이 수호..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5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5   김가영 선수 [출처 : 헤럴드경제]   3 쿠션의 기초이론과 자세 ㅡ 02   ◆ 올바른 자세와 정렬   올바른 자세를 취하기 위한 부분적인 요점 정리  정확한 스트록을 위해 먼저 지켜야 하는 것은 편안하고 흔들림 없는 브리지이다.  자세를 낮춰 왼팔을 쭉 뻗어 브리지를 고정하고 하박과 상박은 90˚ ~ 95˚를 유지한다.강한 파워가 요구되는 공을 칠 때는 브리지를 약간 멀리하고 왼발을 약간 close 시켜 약간 옆 자세로 선다.그립의 힘을 빼는 것은 기본이다.  왼발을 45˚로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힘을 뺀 상태에서 다시 한번 스텐스를 정렬한다.  분리각을 크게 만들어야 하는 (끌어치기 하는) 공의 모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브리지를 견고하게 잡는 것이다.  ..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4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4   김가영 선수 [출처 : 문화일보]   3 쿠션의 기초이론과 자세 ㅡ 01   ◆ 당구의 기본 요소  당구는 배울 때부터 기본기를 충실히 해야 한다.      자세와 정렬 : 스텐스를 정확하게 자리 잡아야 다음 단계를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                      1 적구와 수구와 오른발을 일렬로 정렬한 다음 왼발을 45˚로 어깨 넓이만큼 벌리면 된다. 큐를 잡은                      오른손 그립이 오른발 등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체중은 오른발에 약 55%, 왼발에 45% 정도 두는 것이 좋다.브리지 : 스트로크의 완성은 견고한 브리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구가 2 ..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3

[3쿠션 Lesson 완전정복] 03   김가영 선수 [출처 : 문화일보]   3쿠션을 잘 치기 위해서는당구의 기본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올바른 자세와 견고한 브리지,정확한 그립법을 먼저 갖추어야 한다. 또한 브리지의 역할과 그립의 작용,그 밖에도 기울기 이론과스트로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이론들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공의 두께와 직접 연관이 있는스쿼트와 커브 현상그리고 자신의 주안시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 이론들을 바탕으로System에 입각한 꾸준한 훈련을 통해스트로크를 완성해 나가는 것이다.

[볼라드 게임 ㅡ 포켓할 적구와 포켓을 콜한다]

[볼라드 게임 ㅡ 포켓할 적구와 포켓을 콜한다]   김가영 선수 [출처 : 노컷뉴스]   ◐ 게임의 방법 포켓 당구의 재미와 볼링의 재미를 혼합한 게임이 볼라드 게임이다.플레이어는 각자 10 프레임 (Frame : 10 레크)까지 플레이를 하고, 각 프레임에서는 2 이닝 (2 큐)까지 연속해서 플레이할 수 있다. 득점은 번호에 관계없이 공을 포켓하면 1 점이 된다.게임은 콜 샷으로 한다. 브레이크 샷을 제외하고, 포켓할 적구와 포켓을 모두 콜해야 한다.콜한 적구가 포켓에 들어가면 그대로 연속해서 플레이할 수 있다. (콜한 적구가 포켓되면, 동시에 다른 공이 포켓돼도 유효하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아마추어 골퍼의 변명]   ◑ 공의 배치 풋 스폿 위에 ① 번공을 놓고 다른 공은 임의로 래..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6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6   김가영 선수 [출처 : 파이낸셜 뉴스]   복합횡단 (리버스 형태 더블횡단)        [(1 적구 수 + 2 적구 수) / ㅡ 내공 수] / 5 = 팁 수    ● 내공 A의 경우 (단축 출발 경우) 1 적구 수 및 2 적구 수를 확인한 후 합친다. [{1 적구 수 (20) + 2 적구 수 (10)} / 2 ㅡ 내공 수 (25)] / 5 = ㅡ2 (역회전 / 2 팁) * 진로상에 있는 2 적구는 전부 득점이 가능하다. * 두께는 5 / 8 두께 (절반보다 약간 두껍게 1 적구가 장축과 수평이 되어 가도록) * 빗겨치기 방법을 적용해도 득점 가능 (4, 3, 2, 1 법칙) : 가상 2 적구 맞도록 내공 수 (ㅡ3) + 가상 2 적구 (1) = ㅡ2 (팁 수)

당구 Billiards 2024.09.06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5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35   김가영 선수 [출처 : 슬기로운 생활노트]   횡단 샷 (예)       ● A의 경우 내공 수 (1) + 1 적구 이격 거리 (0) + 1, 2 적구 간격 (0.5) = 1.5 (팁 수) ● B의 경우 내공 수 (ㅡ1) + 1 적구 이격 거리 (0) + 1, 2 적구 간격 (1) = 0 (팁 수) * 2 적구 수치를 0.5로 볼 수도 있으나, 우측 단쿠션을 맞고 나오는 것을 계산한다 (가상 2 적구로 계산). * 1 적구가 쿠션에서 0.5 포인트 이내 정도 떨어진 것을 0으로 계산한다 (1 칸 : ㅡ1, 2칸 : ㅡ2). * 1 적구 맞히는 두께는 최대한 얇게 (1 / 4 ~ 1 / 5 수준) 하도록 (1 적구 맞은 후 수평이 되는 두께)

당구 Billiards 2024.09.06

[추사를 잇다] 01

[추사를 잇다] 01    추사 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전추사를 잇다 서울전 _ 2024. 8. 28 (수) ~ 9. 3 (화) 오전까지인사동 한국미술관 3층 전관(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12. T. 02ㅡ720ㅡ1161)                   추사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전 추사를 잇다 일양 정헌만 一洋 鄭憲萬추사詩 甁花 변화        추사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전 추사를 잇다  청연 구경자 靑硯 具敬子추사詩 仙遊洞 선유동 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仙遊洞(선유동)  碧雲零落作秋陰(벽운령락작추음)푸른 구름 흩어져 가을 그늘 唯有飛泉灑石林(유유비천쇄석림)이루어 날아내리는 샘물만이 돌 숲에 뿌려진다 一自吹簫人去後(일자취소인거후)옥퉁소 불던 그 사람 떠난 뒤로 桂花香冷到如今(계화향냉..

전시회 2024.09.05

[서소문역사공원]

[서소문역사공원]    서소문역사공원  사계절 내내 다양한 종류의 수목을 자랑하는 도심 속 휴식 공간이다. 서소문 역사공원은 박물관의 하늘광장 등 주요지점이 지상과 연결되어 존재함으로써 지하 문화 공간의 역사적 당위성과 무게감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칠패로 5   서소문 밖 네거리 역사유적 1 성저십리의 번화한 공간: 조선시대 교통의 중심지, 상업적 농수산업과 수공업의 발달 조선시대에 소의문 昭義門이라고도 불리었던 서소문은 남대문과 서대문 사이에 있었던 간문 間門이었다. 아현에서 서소문으로 향하는 길에 위치한 이곳 서소문 밖 네거리 일대는 강화도를 거쳐 양화진 · 마포 · 용산 나루터에 도착한 삼남지방 (충청 · 전라 · 경상)의 물류가 집결되어 도성으로 반입되는 통로였으며, 도..

공원 2024.09.03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04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04          하늘광장 지하 3층에서 지상의 공원을 넘어 하늘까지 열려 있어 땅과 하늘이 소통하는 서소문 밖 네거리 순교성지의 공간 개념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장소이다. 낮에는 밝은 햇살 아래에서 야외전시와 다양한 퍼포먼스를, 밤에는 쏟아지는 달빛 아래에서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이다.       서 있는 사람들 | 정현 서소문 밖 네거리 형장에서 종교를 빌미로 박해받다 순교하여 성인의 반열에 오른 44인을 형상화한 예술작품으로, 침묵으로 만들어졌다. 무거운 기차가 수백 번, 수천 번 위로 지나가며 부지불식간 짓밟히며 누워있던 침목 枕木이 현재 이라는 작품으로 재탄생하여 하늘을 향해 우뚝 서 있는 모습이 이 땅에서 순교한 거룩한 이들과 닮아 있다.       미디어아트 감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