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뉴스 속의 한국사 89

[전북의 고대 성곽]

[전북의 고대 성곽] 전북 장수 합미산성의 돌로 쌓은 성벽. 둘레가 443m에 달합니다. / 국립익산박물관 백제 지방 통치의 거점··· 가야 · 신라와 접전 흔적도 남아 왕궁 있던 익산에 가장 많이 축조 섬징강 유역선 가야 · 신라 토기 나와 세 나라가 각축하던 모습 보여줘요 국립익산박물관에서는 전북 지역 성곽에서 출토된 유물 380점을 한자리에 모은 '전북의 고대 성곽 (城郭)' 특별전을 오는 5월 28일까지 열고 있어요. 전북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40개가 넘는 성곽이 발굴됐는데 조선시대에 쌓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백제 때 처음 만들어졌어요. 전북의 서부 지역은 넓은 곡창지대가 자리한 백제의 중요한 곳이고, 동부 지역은 섬진강 유역을 경계로 백제와 가야, 신라가 서로 치열하게 다투던 곳이라 이처럼 많은..

[독립운동가 심훈]

[독립운동가 심훈] ① 심훈의 사진. ② 본지 1962년 7월 25일 자에 실린 충남 당진 부곡리의 '상록학원' 창설 모습. 심훈의 소설 '상록수'가 나온 지 30여 년 만에 작품의 배경이었던 당진에서 '상록학원'이란 이름의 야학당이 만들어졌어요. ③ 본지 1929년 6월 13일 자에 당시 본지 기자였던 심훈이 게재한 자작시 (自作詩) '야구'. 조선총독부의 검열 때문에 두 군데에 X자 표시가 돼 있어요. ④ 소설 '상록수'의 표지. ⑤ '상록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이었던 최용신. ⑥ 최용신이 경기 수원군 반월면 샘골에 만들었던 '샘골 강습소'의 낙성식 (落成式 · 건축물의 완공을 축하하는 의식) 장면. / 조선일보DB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안산시 · 연합뉴스 詩로, 영화로, 기사로··· 일..

[조선 왕조의 태실]

[조선 왕조의 태실] 경북 성주군의 세종대왕자 태실 (胎室). 세종대왕자 태실에는 세종대왕의 왕자 18명의 태실과 단종의 태실 등 모두 19기의 태실이 모여있어요. / 남강호 기자 태 (胎)를 잘 보관하는 일이 아이의 미래 결정짓는 믿었죠 항아리에 넣고 전국 명당에 묻어 세종대왕자 태실 등 182곳 확인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문화예요 조선 왕조의 태실 (胎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회의가 지난 2일 경북 · 경기 · 충남 광역자치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 성주에서 열렸다고 해요. 이 세 지역은 국내 대표적인 태실 유적이 있는 곳입니다. 태실이 뭐길래 세계유산 등재까지 추진하는 걸까요? 왕실 자손의 '태'를 묻는 독특한 풍습 세계 다른 지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조선 왕실의 독특한 문..

[고려 · 조선의 나한상]

[고려 · 조선의 나한상] 강원도 영월 창령사 터에서 출토된 나한들. 인자하게 미소 띤 모습, 지그시 눈 감은 모습 등 친근하고 개성 넘치는 형상이에요. / 국립전주박물관 몽골의 고려 침략 때 500개 (오백나한) 만들어 적 물리치길 기원했죠 최고 경지에 오른 부처 제자 모습을 옆 보거나 턱 괴는 등 다양하게 표현 조선 유학자 세력 커지며 파괴됐죠 국립전주박물관에서는 이달 26일까지 "깨달은 수행자, 나한 (羅漢) : 전라도와 강원도 나한의 만남" 특별전을 열고 있어요. '나한'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마음을 다해 수행하여, 마침내 아무 괴로움도 없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부처의 제자들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근엄한 표정이나 화려한 장신구를 착용한 부처나 보살과 달리, 나한상들은 훨씬 더 인간적이고 다채로..

[시인 · 독립운동가 윤동주]

[시인 · 독립운동가 윤동주] ① 윤동주 시인의 모습. ② 간도에 있는 그의 생가. ③ 그가 연희전문학교를 다니던 시절 스크랩했던 조선일보 기사들. ④ 대표작 '서시' 육필 원고. ⑤ 대표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본 (1948). / 위키피디아 · 조선DB "한점 부끄럼 없기를" ('서시'의 한 구절)··· 독립 투쟁 의지 詩에 담았죠 '별 헤는 밤' '자화상' 등 작품 남기고 단짝 송몽규와 함께 日 경찰에 체포 광복 6개월 전 27세에 감옥서 숨져 중국에서 가장 큰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百度)의 백과사전이 시인 윤동주 (1917 ~ 1945)의 국적을 '중국'으로 잘못 표기했는 데, 한국 측의 시정 요구를 2년째 묵살하고 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현재 중국 영토인 옌볜조선족자치주에서 태어..

[백제의 소조상]

[백제의 소조상] 왼쪽은 부여 정림사지에서 발견된 소조상 중 3인상. 옷차림이나 자세에서 신분이 높은 사람을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른쪽은 정림사지에서 발견된 여러 형태의 소조상 조각들. 목탑 내부를 장식하던 것으로 추정돼요. / 국립부여박물관 흙으로 빚어 만들어··· 높이 95㎝ 불상 받침도 발견됐죠 나무 골조 만들어 사람 모양 등 제작 흰색 · 검은색 칠하고 금으로도 장식 멸망 후 유민들이 일본에 기술 전파 국립부여박물관에서는 이번 달 29일까지 '백제 기술, 흙에 담다' 특별전을 열어요. 이번 전시회에서는 '흙'이라는 재료에 주목하여 백제인의 흙 다루는 기술과 흙으로 만든 소조상 (塑造像)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죠. 그 기술과 예술성으로 주변 국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백제의 국력도 함께 느껴볼..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2m가 훌쩍 넘는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刻石). 지상에서 관측된 별과 별자리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죠. 고구려의 천문도··· 별 1467년, 별자리 295개 그려져 있어요 고구려 멸망하면서 사라졌지만 베껴놓은 지도로 태조 때 돌에 새겨 1만원권 지폐 뒷면에도 들어가 있죠 서울 경복궁 안, 광화문 서쪽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최근 조선시대 과학 유물을 전시하는 '과학문화실'을 개편했다고 해요. 국보 3건, 보물 6건 등 모두 45건의 과학문화유산을 전시하는데요. 여기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전시물이 국보인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 각석 (刻石)'입니다. 예전엔 시커먼 돌덩이인 이 유물을 관람객들이 무십히 지나쳤다고 하지만, 새로 개편된 전시실에선 각석 반대편에 비추는 대형영상..

[사도광산]

[사도광산] ❶ 사도광산 입구. ❷ 사도광산 내부터널. ❸ 사도광산 내부에 건설된 갱도 (坑道 · 광산의 갱 안에 뚫어놓은 길. 광석이나 자재를 나르고 바람을 통하게 하는 데 사용해요). 사도광산 관리회사는 이 갱도에서 쓰였던 광석 운반 수단을 이렇게 전시해놓았어요. ❹ 일제 말 광산 노동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 745명의 이름이 기록된 문서. 일제 말 조선인 2000여 명 동원한 강제 노역 현장이죠 1939년부터 투입해 전쟁 물자 확보 열악한 환경에 사망 · 도주 잇따라 최근 日이 세계문화유산 재신청 일본 정부가 과거 조선인 강제 노역의 현장인 니가타 (新潟) 현의 사도 (佐渡) 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신청서를 지난 19일 유네스코에 다시 제출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일본 정부는 지난해 2..

[풍납동토성과 몽촌토성]

[풍납동토성과 몽촌토성] ❶ 풍남동토성 전경. ❷ 몽촌토성 전경. 노란 점선 안쪽이 토성 내부를 가리켜요. ❸ 풍납동토성 성곽 바깥쪽에서 발견된 육각형 주거지. ❹ 풍납동토성에서 출토된 중국산(産) 청자. ❺ 한성 시기에 유행한 수막새 (목조 건축 지붕의 기왓골 끝에 사용되었던 기와)로, 기하학적 무늬가 돋보입니다. ❻ 풍납동토성에서 출토된 시유도기 (施釉陶器 · 유약을 표면에 인공으로 입힌 도기). 중국에서 수입한 것으로 보여요. 백제 첫 도읍인 위례성··· 2개의 王城 만들어 썼죠 먼저 만들어진 정궁 풍납동토성은 둘레 3.5㎞ 높이 11m의 거대한 성곽 4세기에 별궁인 몽촌토성 만들었죠 서울시 송파구에 자리한 한성백제박물관에서는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으로 '왕도 한성,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