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 519

[동물 배설물]

[동물 배설물] ▲ / 그래픽=유재일 수컷 향유고래 배설물은 최고급 향료··· 1㎏당 4000만원 박쥐에서 모기 눈알 건져 요리 사향고양이에선 커피 씨 골라내 코끼리에선 종이 만드는 재료 얻어 우리는 '똥'이라고 하면 보통 더럽고 지저분하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똥은 정말 아무 쓸모 없이 불쾌하기만 한 걸까요. 인도 등 여러 나라에선 아직도 소나 낙타의 똥을 땔감으로 쓰고 있고, 동물의 배설물을 이용해 음식을 만들기도 해요. 똥을 재가공해 사용하는 것은 친환경적이기도 해요. 어떤 동물의 배설물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모기 눈알 수프는 수백만원짜리 요리 중국 4대 희귀 요리 가운데 '모기 눈알 수프'가 있어요. 동굴에 사는 박쥐의 배설물에서 모기 눈알만을 건져 만든 요리예요. 박쥐는 곤충 중에..

[장진호 (長津湖) 전투]

[장진호 (長津湖) 전투] 장진호 전투 중 이동하는 미 해병대. / 위키피디아 “후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진격하는 것” 유엔군, 혹한 속 110㎞ 걸어 철수 성공 중공군 9병단, 전투 기능 잃고 후방에 결국 흥남서 20만명 무사히 철수했죠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현지 시각) 미 의회 연설에서 “미 해병대 1사단은 장진호 (長津湖) 전투에서 중공군 12만명의 인해 (人海) 전술을 돌파하는 기적 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어요. ‘인해전술’이라는 것은 우수한 무기가 아니라 많은 병력을 투입해 적을 압도하려는 전술로, 6 · 25전쟁 (1950 ~ 1953) 당시 중공군 (중국 공산군)이 실제로 썼어요. 윤 대통령 발언에 중국 외교부는 “항미원조 (抗美援朝) 전쟁은 (중국의) 위대한 승리”라고 반발..

[가침박달]

[가침박달] 위 사진은 가침박달에 핀 꽃. 아래 사진은 가침박달에 달린 열매와 잎. / 문화재청 여러 칸으로 나뉜 씨방, 실로 꿰맨 것처럼 생겨··· '감치다'에서 이름 유래했대요 장미과 (科)의 가침박달은 흰 꽃이 아름답게 피고 추위와 병충해에 강해 원예나 장식용으로 많이 심는 나무예요. 가침박달은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주로 자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 · 충북 · 경북에 분포해요. 서해안의 덕적도와 신안군 일부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전북 임실의 가침박달 군락지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남쪽 끝으로 알려져 1997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지요. 북한 함경도와 황해도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해요. 가침박달은 높이가 최대 5m에 이르는 낙엽교목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이에요. 주로 산..

[무대 위의 고전]

[무대 위의 고전] 29일까지 상연하는 연극 '파우스트'의 한 장면. / 샘컴퍼니 '파우스트' '안나 카레니나' ··· 명작들 줄줄이 무대에 괴테가 57년 동안 쓴 '파우스트' 영화 · 뮤지컬 · 오페라로 재탄생 톨스토이 · 안나 만나는 작품 각색도 오래전 대문호 (大文豪)가 남긴 명작은 지금까지도 다양한 공연 예술 장르로 변주되며 사랑받고 있습니다. 독일 작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평생을 바쳐 쓴 역작 '파우스트'는 연극 (29일까지 · LG아트센터)으로 제작됐어요. 러시아 작가 레프 톨스토이가 중년에 이르러 삶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쓴 '참회록'과 그의 대표작 '안나 카레니나'도 최근 음악극으로 재탄생해 관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지요. 29일까지 상연하는 연극 '파우스트'의 한 장면. / 샘컴퍼니 ..

[장곡사 (長谷寺)]

[장곡사 (長谷寺)] ① 장곡사 상대웅전 (왼쪽)과 하대웅전. ② 장곡사 상대웅전에 봉안한 철불 3점. 왼쪽부터 철조약사여래좌상,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조아미타여래좌상. ③ 하대웅전에 모셔진 금동약사여래좌상 (위)과 불상 안에서 발견된 발원문 일부. ④ 장곡사 하대웅전 뜰에 괘불을 건 모습. / 국립중앙박물관 · 성보문화재연구원 1117명 뜻 모아 만든 '미남 불상' · 높이 9m 괘불 남아있죠 대웅전 2개 있는 독특한 구조 질병 고쳐주는 부처 모셨어요 원 간섭기 · 왜란 후 평안 기원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0월 9일까지 '부처의 뜰ㅡ청양 장곡사 (長谷寺)괘불' 특별전이 열려요. '괘불 (掛佛)'은 사찰에서 행사가 있을 때 야외에 거는 대형 불화예요. 대부분 10m가 넘어요.청양 장곡사는 어떤..

[동물이 행복한 동물원]

[동물이 행복한 동물원] 곰이 춤추듯 반복 행동하면 스트레스 받은 거래요 곰은 해먹, 미어캣은 은신처 필요 제한 없이 먹이 주거나 만지면 안 돼 치료 후에 자연으로 돌려보내기도 최근 얼룩말 한 마리가 서울 도심을 뛰어다니는 영상이 화제가 됐어요. 어린이대공원 울타리를 뚫고 탈출한 얼룩말 '세로' 였습니다. 두 시간 동안 세로가 도로를 가로지르고 주택가를 활보하는 동안 세로와 사람이 다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이어졌어요. 다행히 세로는 구조대 도움을 받아 동물원으로 무사히 돌아갔습니다. 세로가 동물원을 탈출한 이유에 대해 '부모 얼룩말을 잃고 나서 우울감이 커졌고, 옆 동물사 (動物舍)에 사는 캥거루와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 이라는 분석이 나왔어요.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동물원에 사는 동물..

[씀바귀]

[씀바귀] 서울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씀바귀 종류인 노랑선씀바귀. / 김민철 기자 요즘 공터에서 하늘거리는 노란 꽃··· 이른 봄 뿌리는 쓴맛 없애 나물로 먹어요 요즘 아파트 공터나 화단 틈새는 씀바귀 세상이에요. 공터에 무더기로 피어 노란색으로 하늘거리는 꽃이 있다면 씀바귀 종류일 가능성이 높아요. 가로수 아래 맨땅에 지천으로 피어 있는 것도 볼 수 있지요. 씀바귀는 4 ~ 6월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풀이에요. 키는 20 ~ 50㎝ 정도고 여러해를 살아 땅속에 굵은 뿌리가 발달해 있어요. 잎과 뿌리에서 쓴맛이 나 씀바귀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이른 봄 뿌리와 어린 순을 소금이나 식초를 넣은 물에 담가 쓴맛을 없앤 다음 나물 · 쌈으로 먹기도 하죠. 옛말에 '이른 봄 씀바귀를 먹으면 그해 여름을 타지..

['부모와 자녀 사랑' 작품들]

['부모와 자녀 사랑' 작품들] 렘브란트 판레인, '돌아온 탕아', 1668. / 러시아 예르미타시 미술관 '돌아온 탕아' , 방황하던 아들 품어주는 아버지 그렸죠 감옥에 갇힌 아버지에게 젖 물린 딸 아버지 죽인 호랑이와 맞서는 아들 일흔 넘은 아들 재롱 피우는 모습도 5월 8일은 어버이날입니다. 부모님의 은혜를 기억하며, 감사히 여기자는 의미에서 만든 날이지요. 부모 품속의 아기는 어느덧 어린이가 되고, 또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자라납니다. 이런 성장 과정에서 혼자 해결해야 할 어렵고 고단한 일이 점차 늘어나요. 스스로 약하고 보잘것없다고 느낄 때마다 부모님이 나를 얼마나 아끼는지 떠올려 보세요. 내가 이 세상에 둘도 없는 소중한 사람임을 다시금 확인하고, 강해질 수 있을 겁니다. 어릴 적 부모님한테 받..

[고추]

[고추] ▲ / 그래픽 = 유재일 매운맛 못 느끼는 새가 먹고 남미 서 북미로 퍼뜨려 새가 배설한 고추씨 70% 발아 콜럼버스가 후추 대신 유럽에 전파 우리나라엔 17세기쯤 들어왔어요 이탈리아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1451 ~ 1506)의 가장 큰 업적은 누가 뭐래도 '아메리카 대륙 발견'일 겁니다. 하지만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좀 다르게 기억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매운맛', 고추가 전 세계로 전파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기 때문이지요. 신대륙에서 유럽으로 전해진 고추 중세 유럽인들은 동양 문물에 흠뻑 빠져 살았습니다. 동양은 황금으로 탑을 짓는 나라 '지팡구 (당시 유럽에서 일본을 부르던 이름)'가 있고 비단과 향신료가 나는 지역이었죠. 유럽은 육로 대신 동양으로 향하는 ..

[코끼리물범]

[코끼리물범] 남방코끼리물범의 모습. / 위키피디아 코 튀어나온 수컷, 몸길이 6.5m · 몸무게 3700㎏까지 자란대요 태평양 연안에 사는 코끼리물범이 범고래 등 포식자를 피해 깊은 바닷속으로 들어가 10분씩 '쪽잠'을 잔다는 연구 결과가 얼마 전 발표됐어요. 물범 · 물개 · 바다코끼리와 같이 지느러미처럼 변한 발을 갖고 있고 바다에서 먹이를 사냥하는 육식 포유동물을 통틀어 기각류 (鰭脚類)라고 하는데요. 코끼리물범은 기각류 중 가장 몸집이 크답니다. 다 자란 수컷은 몸길이 최장 6.5m, 몸무게가 최대 3700㎏까지 자랍니다. 우리나라 서해 백령도 앞바다에 사는 점박이물범이 다 자라도 1.7m, 130㎏인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큰지 짐작이 가죠. 코끼리물범은 사는 지역에 따라 두 종류가 있어요. 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