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 518

[전쟁 · 폭력 후유증 치료]

[전쟁 · 폭력 후유증 치료] 베트남전 당시 미군들이 사망한 전우 (戰友)들을 위해 기도하는 모습. 참전 (參戰) 군인들의 고통과 슬픔이 느껴집니다. / AP 연합뉴스 대학살 지켜만 봤던 캄보디아, '분노의 날' 지정했죠 승려들이 평화 행진 · 불교 의식 거행 美는 센터 설립해 군인 · 가족들 치료 북아일랜드는 화해 학위 과정 만들어 "여보, 사람들이 나보고 미쳐가는 거 같대." 지난해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이 1년을 넘어섰어요. 지난달 23일 (현지 시각) AP통신은 우크라이나에 주둔한 러시아 군인들이 본국에 있는 가족과 통화한 대화 내용을 입수해 공개했어요. 우크라이나 키이우 외곽에 주둔한 러시아 병사 막심은 아내에게 자신이 미쳐가고 있는 것 같다는 하소연과 함께 "여기..

[개화 (開花)의 법칙]

[개화 (開花)의 법칙] ▲ / 그래픽=유재일 봄꽃, 한 해 전 여름부터 꽃눈 준비··· 겨울잠 자야 피죠 낮의 길이 구분해 계절의 변화 인지 기온 10도면 개화 호르몬 나오지만 겨울잠 못 자면 온실서도 꽃 못 피워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오면 형형색색 꽃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해요. 겨울과 봄의 경계엔 동백이 먼저 펴요. 이어 매화 → 산수유 → 목련 → 개나리 → 진달래 등 순으로 봄꽃이 피어나지요. 식물은 왜 이렇게 시간을 달리하여 꽃을 피울까요. 봄꽃 세상에도 질서가 있다는데, 그 질서는 무엇이 만들어낼까요. 시차를 두고 차례로 진화생물학자들에 따르면, 식물이 꽃을 피우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은 더 많은 자손을 퍼뜨리려는 전략이라고 해요. 식물은 동물처럼 좋은 환경을 찾아 옮겨 다니지 못..

[슬로로리스]

[슬로로리스] 깜찍하게 생긴 슬로로리스는 사실 침과 앞발 안쪽에 독을 갖고 있어요. / 위키피디아 왕방울처럼 동그란 눈이 깜찍하지만··· 유일하게 독 있는 원숭이예요 일본에서 운영 중인 이색 동물 카페 가운데 60%는 국제 거래가 금지된 보호종을 키우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 게 '슬로로리스 (Slow Loris)'였죠. 왕방울처럼 둥글둥글하고 똘망똘망한 눈망울을 가진 이 동물은 원숭이 무리인 영장류예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열대 우림에 살고 있죠. 로리스는 네덜란드말로 '어릿광대'라는 뜻이래요. 오랜 옛날 동남아시아까지 배를 가지고 왔던 네덜란드 사람들이 나무 위에서 느릿느릿 움직이는 이 녀석들을 보고 '느림보 어릿광대' 같다며 이런 이름을 붙였대요. 원숭이라고는 하는데 어..

[튀르키예와 아르메니아]

[튀르키예와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에 있는 대학살 추모비. / 위키피디아 수백만 명 학살한 원수 나라에 구조대 보냈어요 14세기 오스만에 넘어간 아르메니아 1처 대전 때 300만명 학살당했지만 튀르키예 지진에 국경 열고 도왔죠 지난달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 후 복구 작업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요. 또한 세계 각국에서 튀르키예를 향해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있죠. 심지어 100년도 넘은 오랜 갈등으로 끊겼던 튀르키예와 아르메니아 간 국경이 열리며 아르메니아를 통해 100톤에 달하는 식량과 의약품 등 구호 물품이 전달됐어요. 아르메니아는 튀르키예에 구조대도 파견했습니다. 이웃 국가인 튀르키예와 아르메니아는 '아르메니아 대학살' 책임 소재를 둘러싼 분쟁으로 오랜 시간 앙숙 관계에 있었어요. 아르메니아..

[튤립]

[튤립] 꽃잎이 수술과 암술을 감싸고 있는 컵 모양의 튤립꽃. 이렇게 생기지 않고 꽃잎이 활짝 열려 있는 튤립 종 (種)도 있다고 해요. / 피사베이 언 땅이 녹고 봄기운이 찾아오면 정원 구석에 심겨진 튤립 구근 (球根 · 식물이 꽃을 피우는 데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잎 · 줄기 · 뿌리 등 특정 부위가 비대화돼 뿌리부의 조직처럼 발달한 기관)에서 푸른 잎이 돋아납니다. 튤립은 둥근 알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대표적인 구근식물로, 백합 · 나리와 같은 백합과 (科)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구근에서 올라오는 튤립 잎은 끝이 뾰족한 타원형으로, 꽃봉오리가 달리는 줄기를 감싸면서 자라납니다. 우리가 잘 아는 튤립 꽃은 흡사 컵 모양으로 둥글게 생겼지요. 꽃잎이 원통형으로 수술과 암술을 둘러싸고 있지만, ..

[셰익스피어 인 러브]

[셰익스피어 인 러브] 연극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장면들. / 쇼노트 남장 여배우와 사랑에 빠진 젊은 시절 대문호 이야기 1999년 오스카상 영화를 연극으로 '로미오와 줄리엣' 탄생 배경 설명해 실재 인물 등장하지만 내용은 허구 '로미오와 줄리엣'은 사랑에 빠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실제 이야기다? 199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비롯해 총 7개 부문을 휩쓸었던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가 연극으로 제작돼 오는 26일까지 예술의 전당에서 공연됩니다. 셰익스피어와 크리스토퍼 말로 등 희곡 작가들이 대거 활약했던 '연극의 시대'가 스크린을 벗어나 무대 위에서 생생하게 펼쳐지고 있는 셈이죠. 2014년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초연된 이 연극은 영화 '빌리 엘리어트', 연극 '광부 화가들' 등으로..

[벌새]

[벌새]   벌새의 한 종류인 검은뺨벌새가 날갯짓을 하는 모습. / 위키피디아   1초에 200회까지 날갯짓하고 하루 먹는 꿀이 몸무게 2배래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연구팀이 벌새가 날아다니는 모습을 응용해 드론의 기능을 향상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대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날갯짓을 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날아가는 벌새를 닮은 최첨단 드론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목표죠.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새로 유명한 벌새는 북쪽 알래스카부터 남쪽 안데스 지방에 이르기까지 아메리카 대륙 곳곳에 340여 종류가 살고 있어요. 벌새 중에서 가장 덩치가 작은 종류는 다 자란 몸길이 6㎝, 몸무게 2g으로 웬만한 곤충보다도 작습니다.벌새의 영어 이름은 '윙윙고리는 새'라는 뜻의 허밍버드 (humming b..

[문화재 침탈과 반환]

[문화재 침탈과 반환] 그리스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고대 그리스 건축의 상징으로 불리지만 천년 넘게 타 종교 건축물로 사용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어요. / 위키피디아 파르테논 신전 조각품, 19세기 영국이 떼어갔죠 英, 반환 요구 계속 거절하다 최근에야 반환 논의 시작 식민지 약탈 문화재 곳곳서 논란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17일 (현지 시각) 바티칸 박물관에 소장돼 있던 파르테논 신전 조각품 3점을 그리스에 반환하겠다고 밝혔어요. 최근 몇몇 나라가 과거에 약탈했던 문화재를 돌려주고 있는데요. 주로 19 ~ 20세기 무렵 다른 나라를 정벌해 식민지로 만들고 제국을 건설하려던 강대국들이에요. 작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과 프랑스 케 브랑리 박물관이 각각 19세기에 아프리카에서 약탈했던 문화재를 반..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대가야 양식 토기 (왼쪽)와 일본에서 출토된 초기 스에키 토기 (오른쪽). 스에키는 가야 토기의 영향이 컸어요. / 국립중앙박물관 · 오사카부 문화재센터 가야 이주민의 토기 기술로 일본은 '스에키' 만들었어요 5세기부터 일본 건너가 기술 전수 철 소재 가져와 농기구 · 무기도 생산 日에서 유물 160여 점 전시중이죠 일본 규슈국립박물관 (九州國立博物館)에서는 오는 19일까지 '가야 특별전'을 열고 있어요. 이번 전시회는 일본에서 30년 만에 열리는 대규모 가야 유물전으로, 김해 대성동이나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발굴한 160여 점의 중요 유물을 선보이고 있어요. 또 가야를 비롯해 한반도에서 건너간 이주민들이 일본 사회에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던 모습을 소개하고 있죠. 가야와 ..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위)와 주목 (朱木 · 아래).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비자나무는 잎 끝부분이 날카롭고 뾰족한데 주목은 잎 끝이 둔하고 열매가 빨간색이죠. / 위키피디아 목재 치밀하고 단단해 가구 · 바둑판 만들어··· 씨앗은 구충제로 쓰였대요 우리나라에서 오래 사는 나무는 어떤 게 있을까요? 흔히 울릉도 도동의 절벽에 자라는 향나무, 또는 '살아서 1000년 죽어서 1000년'이라는 태백산이나 소백산의 주목 (朱木 · 적백송 · 수송 등으로도 불림)을 떠올리는데요. 비자나무도 있어요. 비자나무속 (屬)은 아시아의 온대 · 아열대 지역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 플로리다주에 2종 등 총 6종이 알려졌지요.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 · 일본에도 널리 자라는데요. 중국은 전 세계의 비자나무속 6종 중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