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2132

[김윤신 : 더하고 나누며, 하나] 01

[김윤신 : 더하고 나누며, 하나] 01 김윤신 : 더하고 나누며, 하나 2023. 02. 28 ㅡ 05. 07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김윤신, 2023 브론즈 118 × 108 × 88㎝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 정원에 설치된 은 2023 《김윤신 : 더하고 나누며, 하나》 전시를 위해 새롭게 제작된 브론즈 야외 조각이다. 김윤신은 목조각을 브론즈로 캐스팅해 나무의 질감을 금속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지의 강인한 생명력을 전달한다. 햇살 아래 반짝이며 주변 경관과 위화감없이 어우러지는 은 관람객을 적극적으로 맞이하며 전시장으로 인도한다. 김윤신, 2023 알루미늄에 아크릴 채색 118 × 108 × 88㎝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 정원에 설치된 는 2023년 《김윤신 : 더하고 나누며, 하나》 전시를 위해 새롭게 제작된..

전시회 2023.04.30

[조선 백자]

[조선 백자] 뚜껑이 있는 백자. 뚜껑에 달린 봉오리 모양의 꼭지와 깨끗한 흰색이 백자의 예술성과 기술 수준을 잘 보여준다. / 리움미술관 왕실서만 사용했던 청화백자··· 아라비아産 안료 썼어요 경기도 광주에 작업장 · 가마 설치 초기엔 장식 없는 순백자 만들다가 兩亂 철 · 동 안료로 그림 그려 리움미술관에서는 오는 5월 28일까지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君子志向)' 특별전을 열고 있어요. '백자 (白磁)'는 고령토 등 백토로 빚은 그릇에다 유약을 입혀 1300도 정도의 높은 온도로 구워낸 자기 (磁器)를 말해요. 국보와 보물 185점으로 구겅한 이번 전시회는 조선 백자의 아름다움과 매력을 보여주고 있어요. 조선 백자에 담긴 우리 조상의 지혜와 예술 세계를 좀 더 알아볼까요? 리움미술관 '조선의 백..

[느릅나무]

[느릅나무] 15m 높이까지 자라는 느릅나무는 공해에 잘 견디고 생명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죠. / 위키피디아 온달이 벗겨 먹었던 껍질, 질겨서 밧줄 · 옷도 만들었대요 느릅나무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나무입니다. 주로 해발 100 ~ 1200m 지대에 살고 있지요. 그늘이나 햇살이 잘 비치는 곳 모두 잘 자라는 데, 보통은 강변이나 물이 많은 토양에서 자란답니다. 농경지나 도시의 공원 등 다양한 환경에 잘 적응하는 편입니다. 느릅나뭇과 (科)의 느릅나무속 (屬)은 동북아에 34종이 분포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느릅나무, 난티나무 및 참느릅나무와 미국에서 들여온 미국느릅나무가 자라고 있지요. 낙엽활엽교목인 느릅나무는 높이가 크게는 15m에 이릅니다. 수명은 약 10..

[어두운 시대, 굳건한 정신력으로 자연의 생명력 그린 화가 오지호]

[어두운 시대, 굳건한 정신력으로 자연의 생명력 그린 화가 오지호] 오지호, 개성 송악산에서 3일간 사생해 그린 ‘사과밭’, 1937, 개인소장. 너무나도 눈부시게 환한 나머지 사과나무의 그림자도 보랏빛으로 보인다. 오지호는 이렇게 맑고 밝은 조선의 자연이 습윤하고 음침한 일본의 자연과 구별되는, 조선 고유의 특징이라고 봤다. 오지호는 ‘조선’의 인상주의를 실현하고자 했던 철저한 민족주의자였다. "그늘에도 빛이 있다"··· 고난 속 삶의 환희를 예술로 표현한 이 화가 스스로 인샹 경로 개척 초기 개화파였던 부친이 경술국치 이후 자결하자 고향 떠나 홀로 日 유학 투병 중 피어난 예술혼 위출혈로 고생하면서도 꽃 피는 자연에 감격해 눈부신 색채로 담아내 죽을 고비 여러 번 넘겨 6 · 25 때 즉결 처형 위기..

[랄로와 리게티]

[랄로와 리게티] ① 프랑스 오케스트라 '레 디소낭스'가 2018년 1월 프랑스 파리의 콘서트홀 '필하모니드 파리'에서 에두아르 랄로의 '스페인 교향곡'을 연주하는 모습. ② 1891년의 에두아르 랄로. ③ 1984년의 죄르지 리게티. ④ 우리나라의 대표적 작곡가 중 한 명인 진은숙. 죄르지 리게티의 제자입니다. ⑤ 죄르지 리게티의 음악이 삽입된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968). / 레디소낭스 · 위키피디아 · 이태경 기자 고국의 음악적 특징 살려··· 독창적인 선율 만들어냈죠 프랑스서 태어난 스페인계 랄로는 라틴 특유의 정열 담은 협주곡 작곡 헝가리 출신 리게티는 빈으로 이민 아프리카 토속 음악도 적용했죠 올해 기념할 만한 해를 맞은 음악가가 여럿 있습니다. 낭만적인 피아노 작품들로 유..

[지극한 즐거움을 읊어 성중에게 보이다]

[지극한 즐거움을 읊어 성중에게 보이다] 지극한 즐거움을 읊어 성중에게 보이다 뜰의 꽃 흐드러져도 보고 싶지 않고 음악 소리 쟁쟁 울려도 아무 관심 없네 좋은 술과 예쁜 자태에도 흥미 없으니 참으로 맛있는 것은 책 속에 있다네 ㅡ유희춘 (1513 ~ 1577) (강혜선 옮김) 차운하다 (次韻) 봄바람 아름다운 경치는 예부터 보던 것이요 달 아래 거문고 타는 것도 한 가지 한가로움이지요. 술 또한 근심을 잊게 하여 마음을 호탕하게 하는데 그대는 어찌하여 유독 책에만 빠져 있나요? ㅡ송덕봉 (1521 ~ 1578) (강혜선 옮김) (원시 번역시와 다르게 행을 배열함) '성중 (成仲)'은 이 시를 지은 선조 시대 문인인 유희춘의 부인 송덕봉의 다른 이름이다. 인생의 지극한 즐거움은 책에 있다고 자랑하는 남편의..

[능구렁이]

[능구렁이] 능구렁이는 몸길이가 최장 1.2m까지 자란답니다. / 위키피디아 구렁이와는 다른 種··· 독에 대한 면역 독사도 잡아먹어요 음흉하거나 능청스러운 사람을 '능구렁이 같다'고 하죠? 능구렁이는 우리나라 곳곳에 서식하는 뱀인데요. 겨울잠을 끝내고 4월부터 본격 활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조만간 모습을 보일 거예요. 능구렁이는 숲 · 강과 호숫가 · 습지 · 논밭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살고 주로 밤이 되면 활동을 시작한답니다. 우리나라에 사는 뱀은 모두 11종류인데, 몸길이 최장 1.2m까지 자라는 능구렁이는 구렁이 (최장 2m)에 이어 둘째로 큰 뱀이죠. 능구렁이와 구렁이는 독사가 아니라는 공통점이 있을 뿐 완전한 별개 종이래요. 몸이 거무튀튀한 구렁이에 비해 능구렁이는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된 줄무늬를..

[이란과 이집트]

[이란과 이집트] ① 이란의 무함마드 리자 팔레비 (왼쪽)와 이집트의 안와를 사다트 (오른쪽) 대통령. ② 이란 국기 ③ 이집트 국기 ④ 이란의 무함마드 리자 팔레비의 첫 번째 부인인 이집트의 공주 파우지아. 미모가 뛰어나 '아시아의 비너스' 소리를 들었어요. ⑤ '이란이슬람공화국'을 세운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⑥ 지난 10일 중국 베이징에서 무사드 빈 무함마드 알아이반 (맨 왼쪽)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안보보좌관과 알리 샴카니 이란 최고 국가안보위원회 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있어요. 가운데는 이들을 중재한 왕이 중국 중앙정치국 위원입니다. / 위키피디아, 로이터 뉴스 1 한 때 혼인으로 동맹 맺었다가··· 이란 혁명 후 관계 끊겼죠 이란 혁명으로 쫓겨난 팔레비 왕 이집트가 받아준 후 국교 단절 최근 이..

[근대로 가는 길목 ③ 김옥균의 끔찍한 처형]

[근대로 가는 길목 ③ 김옥균의 끔찍한 처형] 충청남도 아산에 김옥균 무덤이 있다. 도로명 주소 또한 김옥균 호를 따서 고균길이다. 1911년 당시 아산군수였던 양자 김영진이 일본에 있던 김옥균 묘에서 머리카락을 가져와 이장한 묘다. 1894년 상하이에서 암살된 뒤 조선으로 끌려온 김옥균 시신은 4월 14일 밤 온몸을 토막내고 칼집을 내는 부관참시와 능지처참형을 받고 팔도에 뿌려졌다. 1884년 갑신정변 이후 10년째 감옥에 갇혀 있던 아버지 김병태는 아들 시신이 추가형을 받은 다음 날 천안군 감옥서에서 처형됐다. 역적이 죽은 뒤 그 시신에 처벌을 가하는 '역률 추시'는 영조 때, 가족을 연좌해 처벌하는 '노륙형'은 정조 때 법으로 금지된 형벌이었다. 법을 무시하고 복수를 완성한 고종은 "10년 동안이나..

[독도 명칭의 유래]

[독도 명칭의 유래] ▲ 독도 전경. / 외교부 대나무도 없는데 '竹島' 라 부른 日··· 영유권 억지 증거 돌섬 뜻하는 방언 '독섬'이라 부르다 한자로 표기하며 지금은 獨島 됐죠 512년 이사부 정벌 이후 우리 영토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우산도' 명칭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MLB) 홈페이지가 2023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 (WBC) 참가국 일본을 소개하면서 지도에서 '독도'를 '리앙쿠르 암초 (Liancourt Rocks)'로 표기했다가 삭제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를 왜 '리앙쿠르'라고 표기하는 일이 생겨나는 것일까요? 독도의 명칭과 그것이 지닌 함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MLB)가 홈페이지에 일본을 소개하며 일본 지도에 독도를 '리앙쿠르 암초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