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울우리소리박물관 5

[한성대입구역에서 낙원동까지] 02

[한성대입구역에서 낙원동까지] 02    종로둘레길 서울, 종로의 중심인 경복궁, 광화문, 청와대를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오랜 시간 미개방 공간이었던 북악산 숲길을 걸으며 도시와 자연을 함께 느껴 보세요. 2코스 북악산 (4.8㎞ / 2시간 30분) 창의문 안내소 ㅡ 돌고래 쉼터 ㅡ 백악 쉼터 ㅡ 청운대 ㅡ 청운대 쉼터 ㅡ 삼청 안내소 ㅡ 삼청공원 ㅡ 성균관대 후문 ㅡ 와룡공원 ㅡ 성북역사문화공원                                                                  와룡공원 주변 안내도                                                   한양도성 순성길 (백악산 구간) 전망안내도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4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4 ARARI : 우리의 삶이 아라리요 민요를 담은 음반 1877년 에디슨이 축음기를 발명하면서 소리 기록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 음반은 흔히 SP standard playing racord라 하여 3~4분 정도가 수록되었고, 1960년대에 장시간 음반인 LP long playing record가 나오면서 녹음 시간은 30분 정도로 늘어났다. 1980 ㅡ 1990년대에는 LP과 함께 가볍고 대중적인 카세트테이프가 널리 사용되었고, 이후 디지털 방식의 CD가 나오면서 LP를 대체했다. 지금은 음원을 디지털 기기에 넣어 가지고 다니며 듣는 시대를 지나서, 온라인으로 음원을 즉시 재생하는 스트리밍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민요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1 LP..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3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3 나만의 노래엽서 귀를 기울여 노래 속 가사를 듣고 엽서의 빈칸을 채워보세요. 내가 만든 엽서를 소중한 사람에게 전해보면 어떨까요? 책 속의 노래 오래된 문헌 속 민요에 대한 기록은 과거의 노래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책장을 넘겨가며, 우리소리의 역사와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고대의 노동요 선덕여왕시절 불상을 만들기 위해 흙을 운반하며 불렀던 풍요는 이후 방아를 찧을 때도 불렀다고 전해지며, 노동요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다여 서럽다 우리들이여 功德, 닦으러 오다 『삼국유사』 양지사석 『은파유필』 속의 강강술래 1896년 정만조가 진도에 유배 중 저술한 『은파유필』에는 강강술래에 대하여 서정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어 당시 강강술..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2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2 볍씨가 쌀이 되기까지 예로부터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하여 농사를 중시여겼다. 그 중 벼농사는 한해살이를 좌우하는 중요한 일이었다. 봄이 되면 농부는 소를 몰아 논을 갈고 못자리에 볍씨를 뿌린다. 모가 한뼘쯤 자라면 뽑아서 넓은 논에 옮겨 모내기를 한다. 논에 잡초를 제거하는 논매기는 더운 여름에 하는 고된 일이다. 가을에 벼가 익으면 낫으로 베어 말린 다음 타작을 한다. 떨어낸 벼에 섞인 검불을 없애고 섬에 담아 갈무리하면 길고 긴 벼농사는 끝이 나지만, 낟알을 방아에 찧는 과정까지 거쳐야 비로소 쌀이 된다. 농부들은 노래를 부르며 자식을 키우듯이 모를 길러내었다. 한 해의 농사과정을 노래와 함께 체험해보자. 논 삶는 소리 소를 몰아 써레로 논을 갈아엎으면서 하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1

[서울우리소리박물관] 01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위치 : 서울 종로구 율곡로 96 ○ 운영시간 : [화~금, 일] 09:00 ~ 18:00 [토] 09:00 ~ 19:00 ○ 입장료 : 무료 ○ 홈페이지 : http://gomuseum.seoul.go.kr/sekm/index ○ 문의 : 02-742-2600 http://gomuseum.seoul.go.kr/sekm/index.jsp gomuseum.seoul.go.kr 녹색건축인증 일반(그린 4등급) 서울우리소리박물관 (2019. 12. 06. ~ 2024. 12. 05.) 크레비즈인증원장 우리 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사라져가는 옛 삶의 기록 우리의 소리, 민요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은 우리의 소리인 민요를 모으고 다듬어 누구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