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좋은 글 .../최영미의 어떤 시

[새장에 갇힌 새 (Caged Bird)]

드무2 2024. 1. 20. 11:38
728x90

[새장에 갇힌 새 (Caged Bird)]

 

 

 

 

일러스트 = 이철원

 

 

 

새장에 갇힌 새 (Caged Bird)

 

 

자유로운 새는

바람을 등지고 날아올라 (···)

그의 날개를 주황빛 햇빛 속에 담그고

감히 하늘을 자신의 것이라 주장한다.

 

(···) 좁은 새장에서 뽐내며 걷는 새는

그의 분노의 창살 사이로

내다볼 수 없다.

날개는 잘리고 발은 묶여

그는 목을 열어 노래한다 (···)

 

겁이 나 떨리는 소리로

잘 알지 못하지만 여전히

갈망하고 있는 것들에 관해,

그의 노랫소리는

저 먼 언덕에서도 들린다.

새장에 갇힌 새는

자유에 대해 노래하기 때문이다 (···)

 

ㅡ 마이아 앤절로 (강희원 옮김)

 

 

 

김승희 선생님이 엮고 쓴 책 ‘남자들은 모른다’ 에서 ‘새장에 갇힌 새’ 를 보자마자 마야 안젤루의 자서전 ‘나는 새장 속의 새가 왜 노래하는지를 안다 (I Know Why the Caged Bird Sings)’ 가 생각났다. 미국의 백인들에게 흑인 여성의 삶을 아주 구체적으로 이해시킨 마야의 자서전 축약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시에서 시인은 ‘자유로운 새’ 와 ‘새장에 갇힌 새’ 를 비교하며 자유를 말한다. “분노의 창살” 이라는 표현이 흥미롭다. 분노에 갇힌 새는, 분노의 포로가 된 사람은 자신의 감옥에 갇혀 밖을 잘 보지 못한다.

내 자유가 소중하면 다른 사람의 자유도 소중하고, 내 생명이 소중하면 다른 이들의 생명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 가자에 폭격이 멈추고, 하마스가 데려간 이스라엘 인질들이 풀려나고 중동에 평화가 찾아오기를 빈다. 폭력에 더 큰 폭력으로 대항하는 분노의 사슬을 끊어야 한다.

 

 

최영미 시인 · 이미출판 대표

 

 

[출처 : 조선일보 2023년 11월 6일]

 

 

 

 

728x90

'詩, 좋은 글 ... > 최영미의 어떤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  (0) 2024.02.24
[성성만 (聲聲慢), 이리 보고 저리 보아도]  (1) 2024.02.19
[참나무 (The Oak)]  (0) 2024.01.06
[날아가는 낙엽 (Das treibende Blätter)]  (1) 2024.01.06
[너에게]  (0) 2023.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