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ㅡ001 강남길의 명화와 함께 후루룩 읽는 그리스 로마신화 1권] 03
Io (이오) : 강의 신 '이나코스 (Inachos)' 딸로, 헤라의 시
코레지오의 제우스와 이오! 자세히 보면 제우스가 먹구름으로 가린 뒤, 이오의 허리를 감싸 안고, 그녀의 입술에 키스하고 있다 ㅡ 빈 미술사
제우스에게 암소를 달라고 하는 헤라. 그림 오른쪽에 제우스와 헤라의 상징 새인 독수리와 공작이 있다. ㅡ 빈 미술사
헤라가 가운데 있는 아르고스에게 암소의 감시를 맡기자, 제우스가 아쉬운 듯 마누라를 힐끗 째려보고 있다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Argos (아르고스) : 100개의 눈을 가진 힘센 거인
아버지와 언니들이 암소가 이오인 줄 모르고 풀을 먹이고 있다 ㅡ 빅토르 얀센 그림
헤르메스 ㅡ 보르게세 미술관
헤르메스가 피리에 대한 사연을 얘기하자, 흰 암소인 이오 옆에서 꾸벅꾸벅 기대어 졸기 시작하는 아르고스 ㅡ 루벤스 그림
Syrinx (시링크스) : 미모의 나무 요정
Pan (판) : 숲과 들판의 신
판이 시링크스를 잡으려는 순간, 그녀가 강의 요정들에게 모습을 바꿔달라고 애원하고 있다. 아래는 강의 신 ㅡ 루브르
판이 시링크스를 거의 잡으려고 하는데, 자신의 모습을 바꿔달라고 간청하는 시링크스 ㅡ 로열 컬렉션 (루벤스 그림)
시링크스 이야기로 아르고스가 잠들자, 칼을 번쩍 들어 아르고스의 목을 싹둑 베려는 헤르메스 ㅡ 프라도 미술관 (루벤스 그림)
헤라와 그 옆의 무지개 여신 이리스가 아르고스 머리에서 눈을 떼어, 자신의 공작새 꼬리에 붙이고 있다. ㅡ 루벤스 그림
시링크스를 든 판 ㅡ 보르게세
포도를 든 판 ㅡ 카피톨리노
피리를 손에 든 판 ㅡ 루브르
요정들에게 수작을 부리는 판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찝쩍대는 판에게 샌들로 가격하려는 아프로디테 ㅡ 그리스 국립 박물관 / 교합하는 판 ㅡ 나폴리 국립 박물관
헤르메스 Hermes
출생과 이름
제우스와 아틀라스 딸인 '마이아 Maia' 의 아들이다. 로마 신화에서는 '메르쿠리우스 Mercurius', 영어로는 '머큐리 Mercury' 라고 부른다. 태양계 행성인 '수성' 도 그의 이름을 따서 머큐리다.
리라와 바꾸는 헤르메와 아폴론 베르사유 궁
최면 지팡이 ㅡ 케리케이온
하늘을 나는 천마 페가수스를 타고 폼 잡는 헤르메스 ㅡ 루브르 박물관
Iris (이리스) : 무지개 여신
날개 달린 샌들을 신는 헤르메스 ㅡ 루브르
헤르메스와 헤르세 자매 ㅡ 베로네세 그림
사랑의 학교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헤르메스 ㅡ 루브르 박물관
상트 페테르부르크 여름 궁전
헤르메스 ㅡ 바티칸 박물관
헤르메스의 날개 달린 모자
날개 달린 샌들
칼리토스에게 키스하며,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제우스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임신한 칼리토스를 보고, 화가 난 아르테미스가 얼른 무리에서 떠나라고 손짓하고 있다.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티치아노 그림)
이 그림에서는 창이 아니라, 활로 곰을 쏘려는 아르카스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Oceanos (오케아노스) : 대양 (大洋)의 신
오케아노스의 모자이크 그림 ㅡ 대영 박물관
풍요를 상징하는 곡식을 든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 ㅡ 카피톨리노 광장
유명한 로마의 트레비 분수에서 중앙에 서있는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
헤라 Hera
태생과 이름
'크로노스' 와 '레아' 의 딸이다. 또 제우스 누나이자, 제우스와 정식 결혼한 본부인이다. 라틴어는 '유노 Juno', 영어로는 '주노 Juno' 다.
헤라 인물상 ㅡ 팔라조
헤라는 제우스 누나며 6번째 연애 상대였지만, 성대한 결혼식을 올리고 정식으로 제우스 본부인이 되었다. ㅡ 루벤스 그림
Eileithyia (에일레이티이아) : 출산의 여신
Hebe (헤베) : 청춘의 여신
Ares (아레스) : 사고뭉치인 전쟁의 신
Hephaistos (헤파이스토스) : 다리를 저는 대장장이 신
머리에 왕관을 쓴 헤라. 그녀 상징 새는 공작이다. ㅡ 바티칸 박물관
이다 산에서 한때 단란했던 제우스와 헤라 ㅡ 앙토인 코아펠 그림
Teiresias (테이레시아스) : 눈먼 예언가
침실에서의 제우스와 헤라. 제우스 밑엔 그의 상징인 독수리가 있고, 헤라 옆엔 그녀의 상징 새인 공작이 있다. ㅡ 카라치 그림
지팡이로 교미 중인 뱀들을 때리는 테이레시아스
그림의 머리 쪽을 보면 뱀을 강타할 때마다 테이레시아스 몸이 남자에서 여자로, 여자에서 남자로 변하고 있다. ㅡ 낭트 미술관
테이레시아스가 우연히 지나치다, 목욕 중인 아테나 여신의 알몸을 보고 '헉' 하며 놀라고 있다 ㅡ 장 프랑스와 그림
아프로디테 ㅡ 우피치 미술관
대장간을 찾아온 아프로디테 ㅡ 루브르
시동생 아레스와 바람피우는 아프로디테. '아프로디테에게 무장 해제되는 아레스' 란 제목의 자크 루이 다비드 그림
아폴론이 대장간을 찾아가 아내의 불륜을 알려주자, 망치를 든 헤파이스토스가 눈이 커지며 놀라고 있다 ㅡ 프라도 미술관
헤파이스토스가 올가미를 걷으며, 아프로디테와 아레스의 불륜 현장을 그림 위 신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ㅡ 알렉산드로 찰스 그림
아프로디테 Aphrodite
어원과 이름
아프로디테는 '거품에서 태어난 여자' 란 뜻으로, 라틴어로는 '베누스 Venus', 영어로는 '비너스 Venus' 라 불린다. 지구와 가까운 '금성' 은 그녀의 이름을 딴 것이다.
카바넬의 아프로디테 (비너스)의 탄생 ㅡ 오르세 미술관
상트 페테르부르크 여름 궁전
대영 박물관
빈 미술사
사과를 손에 쥐고, 비스듬히 누운 아프로디테 ㅡ 보르게세 미술관
보티첼리의 봄 ㅡ 우피치 미술관. 왼쪽부터 헤르메스, 삼미의 여신, 아프로디테, 플로라, 서풍 제피로스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 (아프로디테) ㅡ 우피치 미술관
브론치노의 미와 사랑의 알레고리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육체적 사랑은 순간적인 쾌락과 즐거움이 있지만 질투와 허무가 따른다는 것을 암시하는 작품
벨라스케스의 아프로디테의 화장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보티첼리의 아프로디테와 잠자는 아레스 ㅡ 런던 내셔널갤러
목욕 중인 아프로디테 ㅡ 우피치 미술관
아프로디테 흉상 ㅡ 에르미타주 박물관
'왜, 엄마! 사람들이 봐서 창피해?'
'시끄러'
루브르 박물관
헤파이스토스 Hephaistos
어원과 이름
그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불' 이란 뜻이다. 그는 불과 관련이 있는 신이다. 라틴어로는 '불카누스 Vulcanus', 영어로는 '벌컨 Valcan' 이다.
렘노스 섬에 떨어진 헤파이스토스 ㅡ 코시모 그림
아프로디테가 부탁한 무기를 만들어주는 헤파이스토스
루브르 박물관
부셰 그림
에로스와 함께 헤파이스토스의 대장간을 방문한 아프로디테 ㅡ 프란스 플로리스 그림
대장간을 방문한 아테나 ㅡ 우피치 미술관
제우스의 벼락을 만드는 헤파이스토스 ㅡ 프라도 미술관 (루벤스 그림)
조수들과 함께 쇠를 두들기는 헤파이스토스 ㅡ 에르미타주 박물관 (조르디노 그림)
파르테논 신전 위에서 내려다 본 숲 속의 헤파이스토스 신전
숲속의 아고라 옆에 있는 웅장한 헤파이스토스 신전
자신이 조각한 소녀 조각상을 감탄하며, 조각한 소녀를 두 손 모아 아내로 삼고 싶어 하는 피그말리온 ㅡ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녀상을 보며 감탄하는 피기말리온 ㅡ 노르만드 그림
소녀상을 뜨겁게 사랑하는 피그말리온 ㅡ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녀상에게 뜨겁게 키스하는 피그말리온 ㅡ 장 레옹 제롬 그림
키스하는 두 사람의 뒷모습이 아름다운 장 레옹 제롬 그림
제단에 소원을 비는 피그말리온 ㅡ 우피치 미술관
간절히 원했던 소원이 이루어지는 피그말리온
루브르 박물관
앤 루이스 지로데 그림
오드리 헵번 주연의 마이 페어 레이디
Pomona (포모나) : 나무 요정
나무 요정 포모나 ㅡ 루브르 박물관
Vertumnus (베르툼누스) : 계절의 신
베르툼누스가 포모나를 보기 위해 그림 왼쪽부터 원예사, 목동, 농부 등으로 변신해 나타나고 있다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지팡이를 짚은 노파로 변신한 베르툼누스가 과일도 예쁘지만, 포모나도 예쁘지만, 포모나도 예쁘다며 칭찬하고 있다 ㅡ 프랑스와 부셰의 화사한 그림
노파로 변신한 베르툼누스가 포모나에게 느릅나무와 포도나무가 엉킨 것을 칭찬하고 있다 ㅡ 프라도 미술관
이피스의 시신을 보자. 석상이 되고 있는 매정한 마음의 아낙사레테
제우스에게 부탁하여 영원히 늙지도 죽지도 않고, 쿨쿨 잠만 자고 있는 엔디미온 ㅡ 루브르 박물관
앤디미온을 사랑한 달의 여신 셀레네가 침을 닦아주고 아니 사랑스러운 눈으로 어루만져 주고 있다. ㅡ 런던 내셔널갤러리
엔디미온을 영원히 잠들게 만들고, 밤마다 찾아와 사랑을 나누는 달의여신 셀레네 ㅡ 맨체스터 아트 갤러리
셀레네 ㅡ 바티칸 박물관
초라한 오두막집에 사는 필레몬과 바우키스의 노부부 집을 찾아가, 의자에 앉아있는 제우스와 헤르메스 ㅡ 드레스덴 미술관 (아담 엘스하이머 그림)
식탁에 후식으로 포도 등의 온갖 과일을 정성스럽게 내놓으며, 제우스에게 포도주를 권하는 필레몬과 바우키스 ㅡ 아피아니 그림
신들을 접대하기 위해 할머니가 거위를 잡으려 하자, 죽이지 말라고 손으로 저지하는 제우스 ㅡ 빈 미술사 (루벤스 그림)
두 노인이 신들과 함께 산을 오르다가 뒤를 돌아보자, 그들이 살던 집만 빼고, 온통 물에 잠긴 마을 풍경 ㅡ 루벤스 그림
선량한 노부부가 한날한시에 나란히 나무가 되어가고 있고, 필레몬 나무에 제우스의 상징 새인 독수리가 앉아있다. ㅡ 제넬리 그림
'읽은 책들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ㅡ002 1 일 1 미술 1 교양 ② 사실주의 ~ 20세기 미술] 03 (0) | 2025.01.28 |
---|---|
[2025ㅡ001 강남길의 명화와 함께 후루룩 읽는 그리스 로마신화 1권] 04 (0) | 2025.01.27 |
[2025ㅡ002 1 일 1 미술 1 교양 ② 사실주의 ~ 20세기 미술] 02 (0) | 2025.01.25 |
[2025ㅡ001 강남길의 명화와 함께 후루룩 읽는 그리스 로마신화 1권] 02 (0) | 2025.01.19 |
[2025ㅡ002 1 일 1 미술 1 교양 ② 사실주의 ~ 20세기 미술] 01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