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2 64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 01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 01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 윤정미 11. 24. 2023 금 ㅡ 04. 28. 2024 일 한국근대문학관 기획전시관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 15번길 64 · 76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 도보 1호선 인천역에서 하차 후 인천중부경찰서 방면 도보 7분 수인분당선 신포역에서 하차 후 인천아트플랫폼 방면 도보 10분 한국근대문학관 기획전시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 한국근대문학관에서 마련한 2023년 두 번째 기획전시는 인천을 배경으로 한 한국 근현대 소설을 사진 장르로 재해석하여 표현한 작품을 선보입니다. 이번 기획전시는 인천을 다룬 15편의 한국 근현대 소설에서 시작합니다. 근현대 소설은 발표된 시대에 따라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천의 모습을 전형적으..

전시회 2024.02.14

[Floating / Reality / Documents 부유 / 현실 / 기록] 02

[Floating / Reality / Documents 부유 / 현실 / 기록] 02 청관, 1971 종이 위에 연필, 18.5 × 26.5㎝ 해광사에서 바라본 풍경, 1971 종이 위에 연필, 18.5 × 26.5㎝ 인천항과 올림포스 호텔, 1972 종이 위에 펜, 18.5 × 26.5㎝ 자유공원에서 바라본 풍경, 1972 종이 위에 펜, 18.5 × 26.5㎝ 인천항, 1973 종이 위에 펜, 25.5 × 34.5㎝ 월미도 풍경, 1973 종이 위에 유화, 25.5 × 34.5㎝ 연안부두, 1973 종이 위에 펜, 25.5 × 34.5㎝ 전등사 동문, 1974 종이 위에 펜, 25.5 × 34.5㎝ 인천항, 1977 종이 위에 펜, 25.5 × 34.5㎝ 인천항, 1977 종이 위에 펜, 25.5 ..

전시회 2024.02.11

[Floating / Reality / Documents 부유 / 현실 / 기록] 01

[Floating / Reality / Documents 부유 / 현실 / 기록] 01 Floating / Reality / Documents 부유 / 현실 / 기록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오원배 2023. 12. 07 ㅡ 2024. 03. 03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 1 (B)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 는 인천문화재단 ㅡ 인천아트플랫폼이 올해 처음으로 운영하는 전시 제도로서 지난 5월 오원배를 그 첫 번째 작가로 선정하였다. 인천 연고의 작가들 중에 선정된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에게는 예술창작을 지원하며 동시대의 시각으로 작가의 작업 세계를 폭넓게 조명하는 전시를 개최한다. 이를 통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인천미술의 현재를 가늠해 보고 미래..

전시회 2024.02.11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4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4 양정욱 어린 시간을 생각할 때 혼합매체 800 × 250 × 300㎝, 2020 이 작품은 2016년 영림목재로부터 기증받은 전통목선과 양정욱 작가의 콜라보를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양정욱은 일상의 풍경이나 사건, 개인의 감정이나 기억 등을 하나의 이야기로 재구성하고 이것을 추상적인 형태로 형상화하는 설치 작업을 진행해왔다. 는 오래된 전통 목선과 인천 중구일대 관광지, 짜장 냄새 가득한 빨간 차이나타운 거리, 벽돌 창고를 보고 떠오른 작가의 어린 날의 기억은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해 조형적인 형태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단순하지만 동적인 오브제가 겹쳐지면서 만들어내는 유기적인 조형적 실험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다음 이야기를 상상하게 한다. 어린 날 우리는 그 작은 섬에..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3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3 한국이민사박물관 국립인천해사고등학교 글로벌해양마이스터고 국립인천해사고등학교 삼양베이커탱크터미널 (주) '월미바다열차' 타고 꼭 봐야 할 '8경' 1경 사일로 벽화 벽화가 그려져 있는 원통형 대형건물은 곡물저장고인 “사일로”이다. 높이는 48m로 아파트 22층과 같으며, 외벽에 새겨진 벽화는 세계에서 가장 큰 야외 벽화로 2018년 12월 “기네스 북”에 등재되어 인천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이 벽화는 전문가 22명이 약100일 동안 86만5400ℓ의 페인트를 사용해 그려졌으며, 넓이는 2만3689㎡로 이전 기록인 미국 콜로라도 푸에블로 제방의 벽화보다 1.4배 넓다. 2019년 3월에는 독일 아이에프 디자인 어워드 본상도 수상했다. 2경 월미산 (월미공원) 월미산은 인..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2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2 월미바다열차 관광안내도 주민과 함께 섬 일상을 느껴볼 수 있는 옹진섬 도도하게 살아보기 주요 프로그램 장봉도 + 신시모도 (수상레져와 프로필 사진투어) ㅡㅡ 자월도 (목섬과 트레킹) ㅡㅡ 덕적도 + 소야도 (수상레져와 물놀이) ㅡㅡ 소이작도 (배낚시와 신선한 회) ㅡㅡ 백령도 (생태체험) ㅡㅡ 대청도 (지질관광) ㅡㅡ 연평도 (안보관광) 요금표 (단위 : 원) 상품 일반 인천 시민 성인 소아 성인 소아 장봉도 + 신 · 시 · 모도 91,440 53,220 89,460 52,680 자월도 89,280 65,070 83,700 62,250 덕적도 & 소야도 142,680 93,270 134,700 89,250 소이작도 174,360 167,610 167,700 164,..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1

[인천여행 ㅡ 인천광역시 중구] 01 인천역으로 향하는 전철의 내부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는 1897년 3월 22일 인천에서 착공하여 1899년 9월 18일 노량진 ㅡ 인천역 간 | 33.8㎞ | 개통된 경인철도이다. 도보로 12시간 걸리던 서울과 인천 간을 1시간 30분으로 줄이면서 서울과 인천이 1일 생활권으로 변하는 계기가 되었다. ■ 최초의 기관차 모갈 1호 모갈 1호는 철도 개통시 사용된 첫 열차를 견인한 증기기관차로 미국 브룩스 회사에서 총 4대가 제작된 후, 반제품으로 운송하여 1899년 인천에서 조립되었다. 지하철 1호선 인천역 전경 인천광역시 중구 중구의 새 갈매기 해안에 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상 우리 구민이 흔하게 볼 수 있는 바닷새로 높고 멀리 비상하는 특징은 원대한 이상을 가지고 번영..

[화교역사관] 01

[화교역사관] 01 니하오 ! 나의 살던 고향은 화교가 한국에 처음 들어온 것은 1882년으로, 임오군란 때 한국에 파견된 군대를 따라 40여 명의 상인이 입국하였는데 이들이 한국화교의 시초이다. 그해 '상민수륙무역장정 (商民水陸貿易章程)' 을 체결하고 1884년 인천, 1887년 부산, 1889년 원산에 화상조계지 (華商租界地)가 설치됨에 따라 당시 화교 수는 인천에만 1,000명을 넘었다. 세계 어느 곳이든 화교들이 살고 있는 마을 앞에는 패루를 세웠다. 이것은 마을의 영역을 표시하기도 했지만, 마을 외부로부터 나쁜 것을 막아주는 벽사의 의미를 지녔다. 인천 차이나타운에도 중국 산동성에서 기와와 재료를 가져와 지었던 인천역 앞 제1패루 외에도 한중문화관 앞에 제2패루 (인화문), 자유공원으로 올라가는..

[한중문화관] 07

[한중문화관] 07 차이나타운 中華街 이국적 정취가 숨쉬는 화교의 본거지 인천 차이나타운은 1884년 4월 청국의 치외법권 지역으로 체결된 후로 화교들이 몰려와 생성되었습니다. 북성동, 선린동 일대의 5천 평에 청국의 영사와 학교가 설치되고, 중국의 산동반도와 정기적으로 배가 운영되면서 화교의 숫자는 더욱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화교들은 중국에서 가지고 온 식료잡화, 소금,곡물을 팔고 우리나라의 사금 등을 중국으로 보내어 상권을 장악하고 세력을 넓혀 나갔습니다.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청관의 상권이 마비되면서 화교들은 대만, 미국, 동남아시아로 떠나고, 일부는 요리집과 잡화상들을 운영하거나, 일부는 부두근로자로 전락하기도 했답니다. 1948년 한국정부가 수립되면서 각종 제도적 제한, 차별..

[십자가의 길 ㅡ 수원성지]

[십자가의 길 ㅡ 수원성지] 성모님과 함께 바치는 십자가의 길 1처 예수님께서 사형선고 받으심을 묵상합시다. 2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지심을 묵상합시다. 3처 예수님께서 기력이 떨어져 넘어지심을 묵상합사다. 4처 예수님께서 성모님을 만나심을 묵상합시다. 5처 시몬이 예수님을 도와 십자가 짐을 묵상합시다. 6처 베로니카,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림을 묵상합시다. 7처 기력이 다하신 예수님께서 두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8처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부인들을 위로하심을 묵상합시다. 9처 예수님께서 세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10처 예수님께서 옷 벗김 당하심을 묵상합시다. 11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심을 묵상합시다. 12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을 묵상합시다. 13처 제자들이 예수..

카톨릭 2024.02.0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