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07 74

[당구 게임의 종류 ㅡ 캐럼과 포켓 게임이 있다]

[당구 게임의 종류 ㅡ 캐럼과 포켓 게임이 있다]   김가영 선수 [출처 : MNM]   당구 게임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캐럼 (Carom) 당구와 포켓 (Pocket) 당구가 그것이다.  ◐ 캐럼 당구캐럼 당구는 포켓 당구가 오늘날처럼 유행하기 이전부터 사람들에게 친숙했던 게임이다. 예전에는 당구라고 하면 캐럼 당구를 가리킬 만큼 인기가 높았던 게임이었다. 현재에도 여전히 캐럼 당구 팬은 많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수권이나 토너먼트도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캐럼 당구에는 포켓이 없는 당구대가 사용된다. 사용하는 당구공은 흰공 2개, 빨간공 1개이다. 다만 한국을 비롯한 일본과 동남아시아에서만 하고 있는 로컬 게임 (Local Game)인 4구 게임에서는 흰공 2개, 빨간공 2개가 사용되고 있다..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22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22   김가영 선수 [출처 : MBN 뉴스]   뒤로 돌리기 응용 (두께 고정, 당점만 조정)  ● 그림과 같은 배치일 때 (1 적구 ㅡ 내공 일직선) 두께는 절반 (1 / 2)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당점만 조절해도 해당 목적구를 맞힐 수 있다. ● A를 맞히려면 1시 30' 팁으로, B를 맞히려면 2시 팁으로, C를 맞히려면 3시 (3시 30') 팁으로, D를 맞히려면 4시 30' (max) 팁으로 샷을 하면 된다. * 내공 출발선은 5 & Half 적용 시 45 지점이다. 45 ㅡ 25 = 20 (1 쿠션)* 내공 위치가 좌우로 바뀌면 두께와 당점을 동시에 조절한다.

당구 Billiards 2024.07.20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21

[실전 활용 기술 / 기법] 21   김가영 선수 [출처 : 한국정경신문]   뒤로 돌리기 (역회전 길게 치기)  ● 실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배치로 알아두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 A 같은 배치라면 1 적구를 얇게 (1 / 3) 1 적구의 우단으로 하는 뒤로 치기를 하되, 내공에 상단 역회전 (0.5 ~ 1 팁)을 주면 내공이 길어져서 2 쿠션은 좌측 장축 60p 지점까지 온 후 진로상의 2 적구를 맞힐 수 있다.         ● 여기서 1 적구를 너무 얇게 맞히면 더 길게 떨어져 3 쿠션은 왼쪽 장축이 아닌 하단 단축 왼쪽 코너 부근에 떨어지게 된다 (A 2). 또한, 역회전 팁 수 (2 팁)를 더 많이 주어도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 B의 경우 : 절반 정도 두께로 역회전 (3시 / 2 팁..

당구 Billiards 2024.07.20

[갯민숭달팽이]

[갯민숭달팽이]    ▲ 갯민숭달팽이의 한 종류인 '푸른갯민숭달팽이'. 독이 있어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해요. / 플리커 (Sylke Rohrlach)    천연색 바닷속 달팽이··· 해조류 먹으면 광합성, 해파리 먹으면 독 쏘아    요즘 미국 텍사스주 (州)의 한 바닷가에서는 기이한 풍경이 펼쳐지고 있대요. 몸길이는 2㎝ 정도이고 푸른색과 하늘색 몸뚱어리에 꽃 모양의 지느러미 같은 것이 달린 바다 동물들이 밀려오고 있거든요. 강력한 독에 쏘일 수 있으니 절대 건드리지 말라는 경고도 이어지고 있죠. 생김새 때문에 푸른 용 (blue dragon)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 이 동물은 갯민숭달팽이의 한 종류랍니다.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을 뜻하는 '개' 와, 털이 있어야 할 부분에 아무것도 없다는 뜻의 '민숭..

[남인도 문화]

[남인도 문화]    ▲ 사진1 ㅡ 인도 남동쪽 타밀나두주 (州)에 위치한 '브리하디스바라 사원'. 남인도의 다수 민족인 드라비다족의 사원 양식인 '드라비다 건축' 의 대표적인 건물로, 피라미드꼴로 여러 층을 겹쳐 짓는 등 특징이 나타나요. / 위키피디아    바다로 유럽 · 동남아 중개··· '카스트' 구속도 약했죠   토지 · 동식물 · 정령 등 숭배동쪽 왕국은 수마트라섬 일부 점령서쪽 왕조는 남유럽에 상아 등 수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대 남인도 미술을 다루는 특별 전시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 이야기' 가 열리고 있어요. 앞서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서 열렸던 특별전을 한국에서 재편해 지난해 12월부터 개최하는 것입니다. 인도, 영국, 독일, 미국 등 4국에 흩어져 있던 소장품이 한데 모였을 ..

[⑤ 비날론 개발한 이승기 박사]

[⑤ 비날론 개발한 이승기 박사]    서울대 공대 학장 시절의 이승기 박사. 일본 교토제국대학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를 했던 이승기는 해방 후 귀국해 경성대학 이공학부에서 후학들을 키웠다. 이후 서울대가 설립되자 공대 학장을 지내다 1950년 6 · 25 전쟁이 발발한 후 월북했다. / 조선일보DB    인류 역사 두 번째 합성섬유··· 독일도 못 한 조선 과학자의 쾌거   1939년 교토대 조교수 시절 개발세계적으로 큰 화제 불러일으켜 日 패망 거론하다 투옥, 옥중서 해방서울대 공대 학장 맡아 후학키우다6 · 25때 흥남 화학 시설 제공 등집요한 월북 권유에 결국 북으로 1961년 年 1만t 비날론 공장 건설사회주의권 노벨상인 '레닌상' 받아    1972년 박정희 대통령 지시로 7 · 4 ..

[운학 박경동 고희전] 01

[운학 박경동 고희전] 01    운학 박경동 고희전 云鶴 朴慶東 古稀展 2024. 6. 27 THU ~ 7. 8 MON한국미술관 3층 전관 인사동한국미술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12 대일빌딩 3층www.koreagallery.co.kr             1. 三宜堂 金氏 秋雨 / 66 × 53㎝       2. 三宜堂 梨花 / 66 × 60㎝        3. 三宜堂 金氏 仲秋月 / 66 × 57㎝         4. 三宜堂 金氏 黃鳥 / 66 × 57㎝         5. 三宜堂 金氏 紗窓 / 66 × 60㎝         7. 三宜堂 金氏 東風 / 66 × 57㎝         7. 三宜堂 金氏 秋夜雨 / 66 × 60㎝        8. 三宜堂 金氏 秋夜月 / 66 × 57㎝     ..

전시회 2024.07.18

[사당역]

[사당역]    지하철 4호선사당정거장안내 입지현황 사당역은 「동작대로 (銅雀大路)」 와 「남부순환로 (南部循環路)」 가 교차하는 네거리에 있으며 지하철 2호선을 바꿔 탈 수 있습니다. 부근 일대는 주거지역 업무지역으로 지하철공사가 있습니다. 지명유래 사당동 (舍堂洞)은 옛날 이 곳에 큰 사당이 있었기 때문에 유래된 것으로 전해옵니다.이곳의 관악산 기슭에는 사적 제247호로 지정된 백제 요지 (窯址0가 있습니다.즉 이곳은 백제 중기 이후에 토기 (土器) 생산지로 한강변의 백제 요지로는 유일한 곳입니다. 디자인주제ㅡ"교차역이미지" 사당 정거장은 2호선과 교차하는 만큼 4호선 정거장의 특징을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관악산과 서울대공원이 인접하고 있는 만큼 동물원을 소재로 한 벽화로 정거장의 특징을 표현하였습니다.

[서울대공원 ㅡ 동물원] 04

[서울대공원 ㅡ 동물원] 04     바다악어Saltㅡwater Crocodile 서식지맹그로브 습지, 하구, 석호 먹이육식성 (바다어류, 소동물) 크기몸길이 : 4 ~ 6m, 무게 : 400 ~ 1,000㎏ 분포동남아시아, 호주 북부, 뉴기니, 인도 종분류척추동물문 > 파충류강 > 악어목 > 크로커다일과 임신산란 : 40 ~ 60개 수명65년 ~ 100년 몸길이가 보통 4 ~ 6m이고, 가장 큰 악어는 9m나 되는 파충류 중에서 가장 몸집이 크고, 힘센 동물이에요.염분을 배출하는 분비선이 있어 바다에서 살 수 있어요.  번식우기에 암컷은 물가의 땅에 한 번에 40 ~ 60개의 알을 낳고 부화될 때까지 주위를 지켜요. 홍수가 나서 알이 물에 잠기면 알 속의 새끼는 숨을 쉬지 못해 몇 시간 만에 죽는답니다..

공원 2024.07.16

[서울대공원 ㅡ 동물원] 03

[서울대공원 ㅡ 동물원] 03    열대우림의 생활 음부티 Mbuti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해요. 피그미 종족의 하나인 음부티족 사람들은 키가 140㎝가 채 안되며 아프리카 콩고의 열대우림에 살고 있어요.창과 화살로 사냥을 하고 덩굴로 그물을 만들어 동물을 잡기도 해요.먹을 것을 찾아 몇 주마다 사는 곳을 옮겨요.나뭇가지로 틀을 세우고 그 위를 커다란 잎으로 덮어서 오두막을 지어요.             음부티족은 스스로를 "숲의 자식들" 이라고 부르고 숲의 수호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노래를 부르고 그림을 그려요.매일 숲이 베푸는 것들에 감사를 드려요.   나무껍질로 옷을 만들어 입어요 ! 나무껍질을 물에 담가 부드럽게 만들고 망치로 두드려 얇게 핀 다음 여자들이 무늬나 열대우림의 동물들을 그려 넣어요. ..

공원 2024.07.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