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식물 이야기 84

[미치광이풀]

[미치광이풀]    ▲ 검은 보라색을 띠고 있는 미치광이풀 꽃 모습. / 국립생물자원관    독을 지닌 무시무시한 자주색 봄꽃··· 진통제로도 쓸 수 있죠    4월이 되면 숲속 여기저기에서 봄꽃이 한꺼번에 피어나기 시작해요. 그중에서도 이름이 아주 강렬하고 무시무시한 식물이 있어요. 바로 '미치광이풀' 이에요. 독이 있어 잘못 먹으면 미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죠. 미치광이풀은 '광대작약' '미친풀' '독뿌리풀'이라고도 해요. 미치광이풀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자라는 가짓과 (科)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요. 높은 산 골짜기 주변, 특히 돌이 많고 습한 반그늘 지역에 가면 미치광이풀을 볼 수 있어요. 땅속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길게 옆으로 뻗으며 ..

[황매화]

[황매화]    ▲ 황매화 꽃의 모습. 도심에선 황매화 꽃잎이 여러 장인 겹꽃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를 따로 죽단화 또는 겹황매화라고 불러요. / 김민철 기자     초봄엔 산수유와 생강나무, 개나리, 민들레, 유채꽃 등 노란색 꽃이 유난히 많습니다. 초봄에 활동이 활발한 등에 등 파리류 곤충들이 노란색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식물들이 꽃가루받이 매개체가 좋아하는 색으로 꽃을 피우는 것입니다. 요즘 도심에서 늘어진 줄기에 노란색 꽃이 주렁주렁 달린 나무가 있다면 황매화일 가능성이 큽니다. 주로 길거리나 화단 또는 공원에 산울타리로 길게 심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근래에 부쩍 늘어난 것 같습니다. 장미과에 속하는 황매화는 높이 1.5 ~ 2m 정도까지 자라는 작은키나무입니다. 우리 자..

[돌단풍]

[돌단풍]    ▲ 봄 햇살에 계곡물이 녹아 졸졸 흐르는 바위틈에서 돌단풍은 하얀 별 모양 작은 꽃을 피운답니다. / 국립생물자원관    봄에 바위 틈 비집고 꽃 피워··· 강원도 계곡서 만날 수 있어    얼음이 녹아 맑은 물이 시원스레 흐르기 시작하는 봄이 오면 산속 계곡 주변 바위 틈에서 자라나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어요. 돌 · 바위에 붙어 자라고 단풍나무와 비슷한 잎을 갖고 있는 '돌단풍' 입니다. 돌단풍은 자라면서 짧은 뿌리줄기가 천천히 옆으로 퍼져 30 ~ 60㎝의 큰 덩어리를 이루며 계곡 주변의 바위를 푸르게 장식하죠. '뿌리줄기' 는 지하로 자라서 뿌리 역할을 하는 줄기를 말해요. 돌단풍은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 지역에만 자라요.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도 북쪽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미선나무]

[미선나무]    ▲ 매년 3 ~ 4월에 피는 미선나무 꽃 (왼쪽). 부채를 닮은 미선나무 열매가 갈색으로 변한 모습. / 국립생물자원관    열매가 부채를 닮은 나무··· 3월마다 꽃 축제 열려요    우리나라에서 저절로 자라는 자생 나무는 2021년 기준 총 715종이에요. 그중에서도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꽃을 피워 봄소식을 알리는 미선나무를 소개할게요. 미선나무는 물푸레나뭇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에요. 평균적으로 1m 높이로 자라지만, 때로는 2m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답니다. 나무 껍질은 회색 또는 회백색을 띠고, 매끈한 편이에요. 3 ~ 4월에 피는 미선나무 꽃은 흰색, 분홍색 등 다양한 색을 띠고 있고 달콤한 향기가 나요. 꽃이 연한 황색으로 피면 상아미선, 분홍색으로 피면 분홍미선 등으..

[제주왕벚나무]

[제주왕벚나무]    ▲ 제주 지역에 자생하는 제주왕벚나무. / 제주도    일본 왕벚나무와 다른 우리 고유종··· "상징적인 곳부터 바꿔 심자" 주장 나와    남녘을 시작으로 벚꽃이 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도심에 흔한 화려한 벚나무는 대부분 왕벚나무입니다. 왕벚나무는 다른 벚나무보다 꽃이 크고 꽃자루와 암술대에 털이 있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 왕벚나무 원산지를 놓고 우리나라와 일본이 100년 이상 논쟁을 벌였습니다. 일본은 왕벚나무 원조가 당연히 일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01년 왕벚나무에 처음 학명을 붙인 것도 일본 학자였습니다. 그런데 1908년 제주도 한라산 자락에서 왕벚나무 자생지가 발견됐습니다. 그 후 한국 학자들은 왕벚나무가 제주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

[측백나무]

[측백나무]    ▲ 대구 동구 도동의 바위 절벽서 자라난 측백나무 숲. / 문화재청    대구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호··· 바위 절벽서 군락이뤄요    측백나무는 측백나뭇과 (科) 측백나무속 (屬)으로 분류해요. 그런데 측백나무속에는 측백나무 한 종뿐이라 꽤 외로운 나무랍니다. 과거에는 눈측백나무속으로 분류했지만, 씨에 날개가 달리지 않고 잎에 향기가 없는 점이 달라 측백나무는 별도의 측백나무속으로 독립했답니다. 측백나무는 크게 자라면 높이 25m, 지름이 1m에 달해요. 사계절 잎이 푸른 상록수예요. 잎은 비늘 모양으로 양쪽으로 포개져 손바닥을 펼친 모양이에요. 나무껍질은 적갈색 또는 회갈색을 띱니다. 나뭇가지는 비교적 짧고 느슨하게 배열된 큰 가지로부터 불규칙하게 퍼져나가요. 우연히 단정하게 빗..

[노루귀]

[노루귀]    ▲ 이른 봄 부지런히 꽃을 피운 ‘노루귀’. 꽃 아래쪽을 둘러싼 부드러운 털 덕분에 꽃샘 추위도 이겨낸대요. / 국립생물자원관    노루 귀처럼 털 많고 뾰족한 잎··· 붉은빛 꽃으로 '봄' 알려요    입춘 (立春)이 지나고 남쪽 지방에서는 봄꽃 소식이 들려와요. 중부 지방 산속에도 봄이 다가왔죠. 이들 지역에선 지금쯤 아주 작고 귀여운 꽃이 있는 '노루귀' 를 만날 수 있어요. 사랑스러운 노루귀 꽃은 봄이 시작됐음을 알리는 유쾌한 신호예요. 흰색, 분홍색, 붉은색, 청보라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의 꽃이 핀답니다. 노루귀는 야생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봄이면 카메라에 담고 싶어 하는 대표적인 식물이에요. 흐릿한 갈색 낙엽들 사이에서 발견하기가 어려우니 눈여겨 잘 찾아보세요. 노루귀라는 이..

[송악]

[송악]    ▲ 사시사철 풍성한 푸른 잎을 지닌 '송악' 에 까만 열매들이 둥근 공 모양으로 뭉쳐서 매달려 있어요. / 김민철 기자    공기뿌리로 암벽 오르는 '한국의 아이비'··· 겨울에도 푸른 잎 · 열매 귀엽죠    아이비 (Ivy)라는 이름은 익숙할 겁니다. 벽을 타고 오르게 심거나 화분의 빈 공간을 채우는 데 많이 쓰는 덩굴식물입니다. 그런데 비슷하게 생긴 송악은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송악이 바로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한국의 아이비' 입니다. 송악은 두릅나무과 (科)에 속하는 상록성 덩굴나무입니다. 주로 따뜻한 남해안과 제주도 등 남쪽 지방에 분포하지만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인천까지 올라와 자랍니다. 요즘은 서울에서도 그리 어렵지 않게 송악을 볼 수 있는데, 저절로 자란 ..

[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    ▲ 빛바랜 겨울 낙엽 사이로 푸른 잎을 삐쭉하게 내놓은 개비자나무. 키가 3m 남짓인 작은키나무 (관목)예요. / 국립생물자원관    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흰색··· 경기 화성엔 500년 된 천연기념물도    밤나무와 나도밤나무 그리고 국수나무와 나도국수나무는 이름만 서로 비슷할 뿐 실제 모습은 전혀 다른 나무지요. 비자나무와 개비자나무도 그런 사례랍니다. 비자나무는 높이 25m까지 크게 자라 주목 (朱木)과 함께 큰키나무 (교목)로 분류해요. 반면 개비자나무는 높이 3m쯤인 작은키나무 (관목)예요. 개비자나무는 서쪽으로는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맥에서부터 동쪽으로는 일본 열도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해요. 과거에는 분포 지역이 더 넓었던 것으로 보여요. 화석 연구에 따르면, 유럽, 러..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    ▲ 이른 봄 변산반도에 만개한 변산바람꽃. 꽃잎처럼 보이는 하얀 잎은 사실 꽃받침이랍니다. / 김민철 기자     설 연휴가 지나면 곧 변산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올라올 겁니다. 양지바른 어딘가엔 이미 피었을지도 모릅니다. 해마다 2월 중순이면 전남 여수 향일암 근처에서 어여쁜 변산바람꽃이 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향일암은 내륙에서 가장 먼저 변산바람꽃이 피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변산바람꽃은 복수초와 함께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입니다. 찬 바람이 채 가시지 않은 2 ~ 3월에 핍니다. 새해 꽃다운 꽃으로는 맨 처음 피는 야생화라 첫아이 출산 때처럼 큰 관심과 사랑을 받는 편입니다. 변산바람꽃은 꽃대 높이가 10㎝가량인데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가냘프게 흔들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