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근의 국제정치

48회 북핵 문제 & 미 · 중 무역전쟁의 본질

드무2 2022. 1. 24. 15:20
728x90

48회 북핵 문제 & 미 · 중 무역전쟁의 본질

 

 

 

 

 

 

2018년 7월 13일 방송

 

 

 

이춘근

Lee Choon Kun

 

 

 

2018년 7월 12일 촬영하였습니다.

 

 

 

 

 

 

북핵 문제 & 미 · 중 무역 전쟁

 

 

 

 

 

INDUSTRIALS JULY 7, 20187:04 PMUPDATED 4 YEARS AGO

Pompeo says progress made on timeline of N.Korea's denuclearisation -pool report

 

By Reuters Staff

 

 

SEOUL, July 7 (Reuters) -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said on Saturday that he has made progress in Pyongyang on setting a timeline to North Korea’s denuclearisation, according to a pool report from journalists travelling with him.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and Kim Yong Chol, a North Korean senior ruling party official and former intelligence chief, return to discussions after a break at Park Hwa Guest House in Pyongyang, North Korea, July 7, 2018. Andrew Harnik/Pool via REUTERS

 

 

Speaking to reporters before leaving North Korea, Pompeo said he spent “a good deal of time” discussing the timeline and declaration of the North’s nuclear and missile facilities.

 

“I think we made progress in every element of our discussions,” the secretary said, according to the report. (Reporting by Hyonhee Shin Editing by Alison Williams)

 

reuters 2018. 7. 7

 

 

 

 

 

<촬영날짜 7월 12일 / 친서공개 한국시간 7월 13일>

 

@Donald J. Trump 2018. 7. 12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  

  대단히 우호적인 김정은의 7월 6일자 친서공개  

 

 

 

 

 

 

정치 · 안보

2018. 6. 23

김영남

 

 

트럼프, 대북 제재 연장…“안보·외교·경제에 특별한 위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마이크 폼페오 미국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발언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자리에서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조속히 시작한다는 데 합의했다며 이 과정이 이미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미국의 안보와 외교, 경제에 특별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대북 제재를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핵 물질의 확산 위협이 있고 북한의 정책은 미군과 동맹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영남 기자가 보도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독자 제재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지난 2008년 발동된 행정명령 13466호로부터 비롯돼      확대된 행정명령 13570호, 13687호, 13722호, 13810호에서 규정한 북한에 대한 ‘국가비상’ 상황이      오는 26일 이후에도 유효하다는 점을 연방 관보에 게재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북한이 미국의 국가 안보와 외교 정책, 그리고 경제에 흔하지 않고 특별한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무기화가 가능한 핵 물질들이 확산될 위협이 한반도에 존재하고 북한 정부의 행동과 정책이 한반도를 불안정하게 만들며 미군과 동맹, 그리고 역내 교역국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는 겁니다.

또한 이런 북한의 위협에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추구, 그리고 북한 정부의 다른 도발적이고 억압적이며 불안정하게 만드는 행동과 정책이 포함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이유로 북한에 대한 행정명령 13466호에 명시된 북한에 대한 ‘국가비상’ 태세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조지 부시 행정부 당시 발동된 행정명령 13466호는 북한을 적성국교역법의 적용 대상에서 풀어주면서도 북한의 핵 확산 위험을 국가 긴급상황의 대상으로 규정했습니다. 이에 의거해 미국 정부는 자산동결 등 경제 제재 조치를 가해왔습니다.

 

VOA 뉴스 김영남입니다.

 

2018. 6. 23 VOA

 

 

 

 

 

 

 

 

 

 

 

                                                       OPINION Published July 7, 2018

 

 

What now? Pompeo exits North Korea

emptyhanded, leaving US with three

options -- all of them bad

 

 

By Harry J. Kazianis, | Fox News

Harry J. Kazianis

 

 

North Korean officials call talks with Pompeo 'regrettable'

Secretary of State Pompeo calls talks with North Korea productive, but North Korea's foreign minister says demands from the US are concerning; Rich Edson report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seemingly failed to gain a single concession from North Korea after meetings Friday and Saturday in the communist nation’s capital of Pyongyang to discuss America’s demand that the North get rid its nuclear weapons.

In fact, it seems both sides can’t even agree on what was discussed or how the talks went, with the North now even threatening to walk away from its vague pledge to denuclearize.

Following Pompeo’s talks with high-ranking North Korean government official Kim Yong Chol, North Korea accused the Trump administration of making a “unilateral and gangster-like demand for denuclearization” that was “deeply regrettable.”

In marked contrast, Pompeo called the talks “productive” and said: “These are complicated issues, but we made progress on almost all of the central issues.” However, Pompeo did not specify what progress was made.

Tellingly, North Korean dictator Kim Jong Un – who rules with an iron fist and is the only one with the power to approve substantive concessions to the U.S. – did not even meet with Pompeo Friday or Saturday, although he has met with Pompeo before. That alone is evidence that Pompeo walked away from the talks largely emptyhanded.

This disappointing trip by the secretary of state can only mean one thing: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reached the same point that every other U.S. administration – Democrat and Republican – has reached with North Korea. When negotiations get to the point where North Korea must make concessions on its nuclear program that are substantive, officials from the North cry foul – and walk away.

Kim Jong Un seems to be carrying on a trad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gun by his grandfather and father, who ruled North Korea before him: lie, lie and lie again – and drag out talks with adversaries as long as possible without making any real concessions.

Mike Pompeo is not naive. In fact, the New York Times reported Saturday: “Privately, Mr. Pompeo has said that he doubts Mr. Kim will ever give up his nuclear weapons. And those doubts have been reinforced in recent days by intelligence showing that North Korea, far from dismantling its weapons facilities, has been expanding them and taking steps to conceal the efforts from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 is truly the land of lousy

options. I fear we are headed right

back to the brink with North Korea,

all over again.

 

 

All this places the Trump administration in an awful bind. Clearly, we have reached a fork in the road when it comes to our dealings with Kim Jong Un that is looking more and more like a dead end.

After countless mid- and lower-level contacts between U.S. and North Korean officials, three sets of face-to-face talks between Pompeo and North Korean officials – and a historic summit between President Trump and Kim Jong Un in Singapore June 12 – America has received nothing but an ambiguous statement signed by Kim and President Trump in Singapore.

 

In that statement Kim reaffirmed his past pledge to “work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even defining what that means.

President Trump made a major concession simply by meeting with Kim, and then by halting joint military exercise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 a long-sought North Korean goal.

Once again, Pyongyang is following its tried and true diplomatic playbook of pocketing concessions and stalling for time.

This is where things get hard and the stakes jump dramatically. For there are only three possible paths for the Trump administration now, all of which are unappealing.

 

Option 1: A full U.S. military assault on North Korea to rid the world of Kim’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learly, as I have laid out in these pages on several occasions, this a very risky gambit. There is virtually no way even our superpower-sized military can guarantee the destruction of as many as 65 nuclear weapons that North Korea is believed to possess.

North Korea’s nukes are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and likely deep underground – so they can’t be destroyed in one bombing raid on a single target.

Following a U.S. attack on the North, Kim would have every incentive to counterattack with whatever nuclear weapons he has left – as well as his countless tons of chemical and as biological weapons. That would ensure that Seoul, Tokyo and maybe even Hawaii and major cities on America’s West Coast become the largest graveyards in human history.

This option if so horrific it is unlikely to be used by the U.S.

 

Option 2: A U.S. policy of containment of North Korea on steroids, or what the Trump administration called “maximum pressure.”

 

The idea of this option would be to cut North Korea off from the world diplomatically and economically.

U.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Nikki Haley would call for an emergency meeting of the U.N. Security Council, demanding a full export ban on North Korea, as well as the halting of all natural resources (such as oil) going to the North.

Unfortunately, the maximum pressure campaign could be tough to put back in place, because it would be completely dependent on China, which is not exactly happy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these days after President Trump slapped tariffs on Chinese imports and launched a trade war Friday.

With 90 percent or more of North Korea’s exports rolling through China in one form or another, it seems highly unlikely that Beijing has any incentive to help Washington.

China will now use North Korea as a bargaining chip on trade and perhaps even other disputes it has with the U.S. and other nations – such as Chinese territorial claims to Taiwan and parts of the South China Sea and East China Sea.

And there is already evidence to suggest Beijing won’t enforce existing sanctions on North Korea for long – and might already have started to pull back.

 

Option 3: Accepting North Korea as a nuclear power and moving on to deal with the bigger threat of containing China.

 

Since America already deals with other nations that have nuclear weapons – Russia, China, Britain, France, India, Pakistan and Israel – reality may dictate that we must reluctantly accept North Korea as a member of the nuclear club.

President Trump would surely be attacked on the right for being soft and on the left for changing his position if he accepts North Korean nukes, but doing this would allow the U.S. to increase its diplomatic efforts all over Asia to push back against the growth of Chinese power.

Also, with the nuclear issue removed and Kim Jong Un feeling secure – knowing that his regime has the ultimate insurance policy in place – many of the other security challenges the North poses to the U.S. could be settled once and for all.

For example, a peace treaty formally ending the Korean War – halted by an armistice in 1953 – could be signed.

There could be major arms control agreements signed limiting the size, scope and scale of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missile programs, with international inspectors on the ground to ensure any promises made are promises kept.

The U.S. and South Korea could even remove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allowing billions of dollars of investment to flow into the North. This might allow America and its allies a greater say in Pyongyang’s affairs – and maybe even dilute Beijing’s control.

But this all comes at a price. Accepting a nuclear North Korea could set off an arms race in the region, with Japan and South Korea possibly someday opting for their own nuclear weapons arsenals and increased missile defenses platforms. This could make China nervous, ensuring Beijing builds up its atomic arsenal and missile defenses as well.

Clearly, as many Asia hands love to point out, North Korea is truly the land of lousy options. We know one thing for certain: when it comes to Kim Jong Un, nothing is certain. Even after the Trump administration made important concessions, the North does not seem any closer to giving up its nukes.

I fear we are headed right back to the brink with North Korea, all over again.

 

2018. 7. 9 Foxnews

 

 

 

 

  Option 1  

  : A full U.S. military assault on North Korea to rid  

  the world of Kim’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Option 2  

  : A U.S. policy of containment of North Korea on steroids,  

  or what the Trump administration called “maximum pressure.”  

 

  Option 3  

  : Accepting North Korea as a nuclear power  

  and moving on to deal with the bigger threat of containing China.  

 

2018. 7. 9 Foxnews

 

 

 

 

NBC, Chuck Todd 기자와의 인터뷰 중...

Q. 북한과의 거래가 실패한 것인가?

 

"그들(북한)이 말과 행동을 다르게 한다는 게

사실일지라도 놀라울 건 없지만

나는 북한에 이 말을 해주고 싶다"

"도널드 트럼프에게 중요한 결정을 미룬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직접 만나보지 않았느냐"고 했다.

그는 "(트럼프는) 당신들에게 일생에 한 번 있는 제안을 했다.

나라면 받아들일 것"이라고 또 강조했다.

 

조선일보 2018. 7. 2

 

 

 

 

 

 

 

국제 > 미국

 

그레이엄 美 상원의원 “김정은, 전쟁 나면 사상자 명단 1순위”

 

 
박수현 기자
입력 2018.07.02 09:57

 

 

북한이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한 것과 정반대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대북강경파인 린지 그레이엄 미 공화당 상원의원이 1일(현지 시각) 북한과 전쟁이 나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름이 사상자 명단 맨 위에 오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워싱턴포스트는 미 국방정보국(DIA)이 싱가포르 회담 이후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북한이 핵탄두와 관련 장비·시설을 은폐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보도했다. NBC 방송도 정보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최근 몇 개월 간 여러 비밀 장소에서 핵무기 제조를 위한 농축 우라늄 생산을 늘렸다”고 전했다.

 

 

 

린지 그레이엄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은 2018년 7월 1일 미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미국과 전쟁을 벌일 경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름이 사상자 명단 맨 위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이날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 정보기관들은 김정은이 트럼프 대통령과 한 약속을 이미 어기고 있다고 보고 있고, 북한은 최근 농축 우라늄 생산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 걱정되지 않는가’라는 질문에 “전쟁이 나면 수 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칠 것이고 그 명단 맨 위에는 김정은이 오를 것”이라며 “우리가 신문에서 읽는 내용이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고 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이어 “전쟁을 막기 위한 마지막 기회는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평화로운 방법으로 끝내는 것”이라며 “그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그랬던 것처럼 트럼프 대통령을 기만하면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린지 그레이엄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2018년 7월 1일 미 NBC방송에 출연해 진행자 척 토드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 합의 이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레이엄 의원은 ‘북한과의 거래가 실패한 것인가’라는 진행자 척 토드의 질문에 “그들(북한)이 말과 행동을 다르게 한다는 게 사실일지라도 놀라울 건 없지만 나는 북한에 이 말을 해주고 싶다”며 “도널드 트럼프에게 중요한 결정을 미룬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직접 만나보지 않았느냐”고 했다. 그는 “(트럼프는) 당신들에게 일생에 한 번 있는 제안을 했다. 나라면 받아들일 것”이라고 또 강조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북한이 미사일과 폭탄으로 미국을 위협하던 시기는 지났지만 여전히 북한을 경계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일부 사람들은 북한의 공격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그런 도박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은 평화적 방법이든 전쟁이든 둘 중 하나로 북한의 핵을 폐기해야 하는 시점이다. 나는 그 과정이 평화롭기를 바란다”고 했다.

 

조선일보 2018. 7. 2

 

 

 

 

  North Korea accused  

  the U. S. of a "gangster-like demand for denuclearization."  

  even a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called talks productive.  

  미국은 깡패처럼 비핵화를 요구하고 있다.  

  In Pyongyang,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was  

  "very firm" in insisting on the North's complete denuclearization.  

  his spokeswoman said Saturday.  

 

2018. 7. 2 nytimes

 

 

 

 

 

North Korea Criticizes ‘Gangster-Like’ U.S. Attitude After Talks With Mike Pompeo

 

 

Credit...Pool photo by Andrew Harnik

 

 

By Gardiner Harris and Choe Sang-Hun

July 7, 2018

 

 

PYONGYANG, North Korea — North Korea accused the Trump administration on Saturday of pushing a “unilateral and gangster-like demand for denuclearization” and called it “deeply regrettable,” hours after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said his two days of talks in the North Korean capital were “productive.”

Despite the criticism, North Korea’s Foreign Ministry said the country’s leader, Kim Jong-un, still wanted to build on the “friendly relationship and trust” forged with President Trump during their summit meeting in Singapore on June 12. The ministry said Mr. Kim had written a personal letter to Mr. Trump, reiterating that trust.

The harsh North Korean reaction may have been a time-tested negotiating tactic. Two months ago, a brief blowup between the two countries led President Trump to briefly cancel, then reschedule, his summit meeting with Mr. Kim. But North Korea’s remarks also played to a larger fear: that the summit meeting’s vaguely worded commitment to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meant something very different in Pyongyang and Washington.

Distrust on both sides has led the Americans to insist on rapid, deep dismantlement and highly intrusive verification; the North Koreans want an early lifting of sanctions and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among other steps.

 

On Saturday, Mr. Pompeo and his entourage offered no immediate evidence that they had come away with anything tangible to show that North Korea was willing to surrender its nuclear and missile weapons programs. Mr. Pompeo did not meet with Mr. Kim, as he had in past visits, but held talks with Kim Yong-chol, a senior official who has been the country’s point person in deliber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China.

“These are complicated issues, but we made progress on almost all of the central issues,” Mr. Pompeo said before boarding a plane for Tokyo. He called the meetings “productive.”

Administration officials said Saturday that they were neither surprised nor concerned about the North Korean response, and they pointed out that its final lines, the ones attributed directly to Mr. Kim, were conciliatory and referred to a feeling of trust toward Mr. Trump.

The North Korean Foreign Ministry’s assessment was decidedly downbeat.

“The attitude and demands from the U.S. side during the high-level talks were nothing short of deeply regrettable,” the ministry said, accusing American “working-level” officials of trying to destroy the agreement struck in Singapore.

Mr. Pompeo came to Pyongyang to try to get the North Koreans to match their vague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 signed by Kim Jong-un in the June meeting with President Trump — with some kind of action. Among the first priorities were a declaration of weapons sites, a timeline of deconstruction efforts and, perhaps, a written statement that the North’s definition of denuclearization matched Mr. Pompeo’s.

 

Asked if he had gotten any of those, Mr. Pompeo declined to divulge details.

Washington insists that North Korea disclose all the details of its nuclear weapons program, dismantle its facilities and let outside inspectors verify the steps. The idea is to remove all the North’s nuclear weapons and its ability to build more, before offering any significant rewards.

The North has long rejected such an approach, instead demanding that the United States take reciprocal measures in each “phased” step it takes toward denuclearization.

On Saturday, the North Korean statement reiterated that “phased, simultaneous actions” were “the quickest way of realizing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ir meetings with Mr. Pompeo, North Korean officials proposed dismantling a missile engine-test site and opening negotiations for repatriating the remains of American service members killed in the Korean War, the Foreign Ministry said. In return, they proposed that the United States take “simultaneous” actions of expanding bilateral exchanges and announcing an end to the Korean War in July.

But the ministry said that the United States balked at declaring an end to the war, which North Korea said was a crucial first step toward building trust.

“The issues the U.S. side insisted on during the talks were the same cancerous ones that the past U.S. administrations had insisted on,” the ministry said.

It said North Korea had so far taken the “irreversible” action of destroying its underground nuclear test site, while the United States had taken only the “reversible” action of suspending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South Korea.

 

Privately, Mr. Pompeo has said that he doubts the North Korean leader will ever give up his nuclear weapons. And those doubts have been reinforced in recent days by intelligence showing that North Korea, far from dismantling its weapons facilities, has been expanding them and taking steps to conceal the efforts from the United States.

Mr. Trump has said his summit meeting with Mr. Kim was a success, and he has declared the North “no longer a nuclear threat.” Squaring Mr. Trump’s evaluation with what increasingly seems like a more troubling reality has become one of Mr. Pompeo’s greatest challenges as the United States’ chief diplomat.

Mr. Pompeo started his day by leaving the elaborate guesthouse where he was staying to make a secure phone call to Mr. Trump. Also on the call were John R. Bolton, Mr.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er, and John Kelly, the White House chief of staff. State Department officials have assumed that listening devices are planted throughout the guesthouse.

This was Mr. Pompeo’s third trip to Pyongyang, but the first time he had spent the night. Even so, it appeared to have been his least productive visit.

There had been hopes that Mr. Pompeo would get the North to agree to hand over the remains of American war dead. But Mr. Pompeo said that another meeting had been set for July 12 for further talks on repatriating the remains, a dialogue that will be led by the Defense Department.

Mr. Pompeo and Kim Yong-chol began their meetings on Saturday in Pyongyang with the customary flowery greetings. But just before reporters were ushered out of the room, the exchange grew sharper.

“There are things that I have to clarify,” Mr. Kim said.

“There are things that I have to clarify as well,” Mr. Pompeo quickly responded.

 

At the airport in Pyongyang, when asked if he had brought up the satellite images that appeared to show that the North was actually expanding its capabilities, Mr. Pompeo responded: “We talked about what the North Koreans are continuing to do.”

He said they had discussed “achieving what Chairman Kim and President Trump both agreed to, which is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No one walked away from that, they’re still equally committed, Chairman Kim is still committed.”

Blistering rhetoric is certainly not unusual from Pyongyang, but the North’s statement points to the risks of Mr. Trump’s decision to bypass the usual process of extensive low-level talks to build a framework for an agreement that leaders can push across the finish line.

Convinced of his own negotiating abilities, Mr. Trump decided to meet with Mr. Kim directly in Singapore in hopes a face-to-face encounter would cut through decades of hostility and bypass months or even years of back-and-forth.

But national leaders do not negotiate or verify arms control agreements; governments do. Dozens of experts are needed to write the hundreds of pages needed to describe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infrastructure and then delineate how it will be curtailed, dismantled and inspected.

Critics say the administration’s approach — and Mr. Trump’s declarations of success — have ended up easing much of the economic and diplomatic pressure on Pyongyang.

“Negotiating with North Korea is always difficult, but President Trump made it immeasurably harder with his euphoric tweets about how the North is no longer a nuclear threat,” said Wendy Sherman, a top Obama administration diplomat who helped negotiate the Iran nuclear deal and has negotiated with the North Koreans as well.

 

Ms. Sherman added: “With North Korea, there is no full knowledge of what they have, where it is and no ability to verify denuclearization. Long way to go.”

A small group of reporters traveling with Mr. Pompeo were allowed into the Pyongyang meetings to record their initial moments, as is routine for such diplomatic encounters. But the North Koreans allowed reporters to stay several minutes longer than usual.

On Saturday morning, those extra moments led to the recording of an unusually lengthy exchange between Mr. Pompeo and Kim Yong-chol.

“This isn’t your first visit to our country, yet this is your first night in our country,” Mr. Kim began. “Did you sleep well last night?”

“I did, I did, thank you for the accommodation,” Mr. Pompeo answered.

A few moments later, Mr. Kim said, “But we did have very serious discussions on very important matters yesterday. So thinking about those discussions, you might have not slept well last night.”

“Director Kim, I slept just fine,” Mr. Pompeo responded, an edge creeping into his voice. “We did have a good set of conversations yesterday. I appreciate that, and I look forward to our continued conversations today as well.”

Heather Nauert, the State Department spokeswoman, said Mr. Pompeo did not see the process as doomed.

“There’s a lot of hard work that’s left to be done,” she said. “We never thought this would be easy, and that’s why consultations continue.”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2018. 7. 8 도쿄

 

    Mike Pompeo (1963~)                  고노 다로 河野太郞 (1963~)                 강경화 (1955~)

      미국, 제70대 국무장관                            일본, 제150대 외무대신                 대한민국, 제38대 외교부 장관

 

 

 

 

FFVD

Final, Full Verifiable Denuclearization

마지막이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

 

 

 

 

조선인민의 철천지원쑤인             

미제침략자들을 소멸하라!

 

우리 인민의 피맺힌 원쑤, 백 년 숙적

 

미제에게 죽음을!

 

 

 

조선인민의 철천지 원쑤 미제침략자들을 소멸하자!

 

 

 

<사진 : 2017년 7월 8일 0시 인민군 간부들을 대동하고 김일성 주석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

 

 

 

 

 

 

 

 

 

 

 

Home / World / Kim Jong Un 'sees different future' for North Korea: Donald Trump

Kim Jong Un ‘sees different future’ for North Korea: Donald Trump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flew to North Korea for talks following Kim's pledge to Trump at a Singapore summit last month to denuclearize.

 

 

By: Reuters |
July 6, 2018 1:37:46 pm

 

 

President Donald Trump said, “I really believe that he [Kim Jong Un] sees a different future for the North Koreans. I hope that’s true.”

 

 

US President Donald Trump said on Thursday he believes that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ees a different future for his country, as America’s top diplomat heads to Pyongyang for talks on denuclearization.

Speaking to reporters aboard Air Force One as he flew to Montana, Trump said: “I really believe that he sees a different future for the North Koreans. I hope that’s true.”

Trump spoke as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flew to North Korea for talks following Kim’s pledge to Trump at a Singapore summit last month to denuclearize.

 

The Indian Express, July 08. 2018

 

 

 

 

  "We're not going to be doing the war games as long as  

  we're negotiating in good faith,"  

  Trump told Fox News in an interview in Singapore  

  after he met with Kim Jong Un.  

 

  "우리가 북한과 선의(in good faith)로 협상을 진행하는 한,  

  한미연합훈련을 하지 않을 것"  

 

2018. 6. 12(현지시간) Foxnews

 

 

 

 

                                                 NORTH KOREA | Published June 13, 2018

 

North Korean state media highlights

US concession on war games

 

 

By Amy Lieu , | Fox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VmehMh_05pI 

Trump: We want to denuclearize the entire peninsula

On 'Hannity,' President Trump takes Americans inside his meeting with Kim Jong Un.

 

 

North Korean state media highlighted President Donald Trump’s concessions on war games, while lauding the Singapore summit with their leader Kim Jong Un and the U.S. president, Reuters reported Tuesday.

Trump raised eyebrows when he told reporters in Singapore his intentions to stop the joint drills. He called the exercises expensive, “very provocative” and “inappropriate.”

 

 

 

People look at the display of local newspaper reporting the meeting betwe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and U.S. President Donald Trump, at a subway station in Pyongyang, North Korea Wednesday, June 13, 2018. (Kyodo News via AP)

 

 

 

“We’re not going to be doing the war games as long as we’re negotiating in good faith,” Trump told Fox News in an interview in Singapore after he met with Kim Jong Un.

 

North Korea has long objected to the drills as a security threat.

There was confusion over Trump's comment.  There is another major U.S.-South Korean drill that is due in August, Reuters reported.

U.S. forces in South Korea said they “received no updated guidance on the execution or cessation of training exercises.”

The U.S. still maintains around 28,500 soldiers in South Korea. Incidentally, Trump’s announcement apparently surprised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s government in Seoul.

“At this point, we need to know President Trump’s exact meaning or intentions,” according to a statement released by Moon’s office, obtained by The Straits Times. “However we think that it is crucial to pursue various solutions for better dialogue.”

Moon, acting as a mediator, worked for months to help bring about the Trump-Kim summit, Reuters reported.

“Leaving dark days of war and conflict behind, we will write a new chapter of peace and cooperation,” Moon said in a statement obtained by The Times. "We will be there together with North Korea along the way.”

 

 

 

leverage

 

 

 

 

 

 

 

지구촌 오늘

2018. 7. 12

박영서

오종수

 

 

 

미, 2천억 달러 중국산 관세...트럼프 "독일은 러시아의 포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 입니다. 지금 이 시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미국 정부가 2천억 달러어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중국이 여기에 보복할 경우 또 다른 조치를 취할 계획입니다. 일주일 일정으로 유럽 순방에 돌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독일을 신랄하게 비판했고요. 영국 정부 안에서 ‘브렉시트(Brexit)’ 방식을 놓고 갈등이 이어지는 사정, 짚어보겠습니다.

 

진행자)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2천억 달러어치에 새로 관세를 매긴다고요?

 

기자) 네. 2천억 달러 상당 중국산 수입품, 6천여 개 품목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세율은 10%인데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렇게 지시했다고 미 무역대표부(USTR)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대표가 어제(10일) 성명을 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1년 넘도록, 불공정 무역관행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지만, 중국의 행동은 바뀌지 않았다”면서, “이는 미국 경제를 위험에 처하게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진행자) 그래도 이렇게 막대한 규모의 관세를 결정한 이유가 뭐죠?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얼마 전 예고했던 사항입니다. 미국 정부는 최근 500억 달러 중국산 제품에 25% 신규 관세를 확정하고, 지난 금요일(6일)자로 340억 달러어치에 먼저 발효시켰는데요. “유보하고 있는 2천억 달러어치가 있고, 3천억 달러가 더 남아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말했습니다. 중국이 같은 날 똑같이 340억 달러어치, 미국산 자동차 등에 보복관세를 매기자, 미국이 이번에 2천억 달러어치 추가 관세 계획을 공표한 겁니다.

 

진행자) 새로 관세를 매길 2천억 달러어치 중국산 제품들, 어떤 품목인가요?

 

기자) 석탄과 철강, 화학, 첨단기술 제품에 더해, 텔레비전 부품, 냉장고 같은 가전제품도 있고요. 의류, 미용용품, 여성용 손가방, 가구, 자동차 타이어, 디지털 사진기, 야구 장갑, 개·고양이 사료 같은 일반 소비재가 망라됐습니다. 또 정어리, 참치, 대구, 캐비어(철갑상어 알), 개구리 다리, 마늘, 양배추, 오렌지 같은 농수산물도 다수 들어가 있습니다.

 

진행자) 미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것들이군요?

 

기자) 맞습니다. 관세 때문에 가격이 높아지면 미국 소비자들이 입을 피해를 고려해, 소비재는 최대한 제외했던 이전 관세 조치와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인데요. 앞서 미국 정부가 관세를 확정한 500억 달러 제품들은 주로, 중국의 차세대 기술육성 사업인 ‘중국제조 2025’에 해당하는 반도체, 항공기 부품, 화학제품 같은 것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소비재까지 관세 폭이 넓어졌기 때문에, 일반 대중이 미-중 무역전쟁을 실감하게 됐다고 소매업계와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업계와 전문가들의 반응이 어떤가요?

 

기자) 미국인들이 매일 매일 사서 쓰는 물건값이 올라가기 때문에, 추가 세금을 걷는 것과 같다고 전미소매업연맹(NRF) 관계자가 블룸버그 통신에 말했습니다. 'UBS금융'의 로버트 마틴 경제학자는, “중국은 미국에 가장 많은 소비재를 공급하는 나라”라는 점을 강조했는데요. 이번 조치가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에 방해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서도 우려하는데요. 오린 해치(공화) 상원의원은 “중국의 강제적 기술이전을 겨냥한 트럼프 행정부의 노력은 지지하지만, 이번 조치는 무모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진행자) 일반 소비자들이 직접 영향 받을 관세 부과, 언제부터 발효되나요?

 

기자) 아직 두 달 정도 시간 여유가 있습니다. 실무 검토 과정과 함께, 다음 달 말에 공청회를 비롯한 의견 수렴을 거칠 예정인데요. 이 기간에 미-중 당국이 전격 대화에 나서, 최종 발효는 하지 않을 가능성도 월스트리트저널 등이 점치고 있습니다. 주요 경제 매체들은, 이번 조치가 워낙 파급력이 커서, 실제로 발효시키기보다는, 대중 무역협상에 우위를 점하기 위한 미국의 전략 가운데 하나로 분석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의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즉각 보복 의사를 밝혔습니다. 오늘(11일) 상무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미국의 행위에 경악한다”면서, “국가의 핵심 이익과 인민의 근본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보복할 것”이라고 했는데요.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외교부도 비슷한 내용으로 논평했는데요.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의 행위는 전형적인 무역 패권주의”라면서, “중국은 반드시 필요한 반격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이 보복 조치를 하면,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가요?

 

기자) 중국이 보복하면, 새로운 관세를 또 매기겠다고 미국 정부는 공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3천억 달러어치 관세 부과가 남아있는데요. 그러면, 앞서 결정한 500억과 이번 2천억 달러를 포함해 총 5천500억 달러 상당 중국산 제품이 관세 대상이 되는 겁니다.

 

진행자) 5천500억 달러면, 어느 정도 규모인가요?

 

기자) 지난해 중국이 미국에 수출한 총액 5천55억 달러를 훨씬 뛰어넘습니다. 사실상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매기게 되는 건데요. 하지만, 미국이 중국에 수출한 액수는 1천300억 달러 정도에 불과해, 중국으로서는 매번 보복 관세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진행자) 미국 정부의 대중국 대규모 관세 방침 여파가 금융시장에 미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어제(10일)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중국기업들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유망 기술기업인 ‘텐센트’는 전날보다 3.38%나 빠졌고요. 대형 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가 0.10% 하락했습니다. 오늘 뉴욕증시 방향을 가늠하는 지수선물도 약세인데요. 다우존스와 S&P500, 나스닥 선물이 새벽 시간 모두 하락세였습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76% 급락세로 오늘 장을 마쳤고요. 홍콩 항셍지수도 1.29% 떨어졌습니다. 위안화 가치도 함께 하락했습니다.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11일 양자회담을 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듣고 계십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독일을 강하게 비판했다고요?

기자) 네. 방위비 지출 문제 때문인데요. 오늘(11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옌스 스톨텐베르크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을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격한 어휘를 사용해 독일 정부를 비난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Now if you look at it, Germany is captive of Russia...."

기자) 독일은 러시아에서 아주 많은 석유와 가스를 받고 있어서, 러시아에 포로가 됐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주장했습니다.

 

진행자) 독일이 러시아의 포로가 됐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나토 주요 회원국들이 방위에 충분히 돈을 안 쓴다고 꾸준히 비난해 왔는데요. 독일의 경우, 막상 방위비는 안 쓰면서, 나토의 공동방위 상대인 러시아에서 에너지를 사오느라 막대한 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독일과 러시아 사이에 진행중인 ‘노스스트림2' 가스관 사업을 가리킨 건데요. “독일이 러시아에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는 동안, 우리(미국)는 러시아를 상대로 독일을 지켜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독일은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방위비 지출과 에너지 거래는 별개이고, 독일은 어떤 영향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정책을 수행한다고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반박했습니다. 메르켈 총리는 오늘 브뤼셀에서 기자들을 만나, “나는 소련이 통치했던 동독에서 산 사람”이라면서, 독일이 러시아의 포로가 됐다는 발상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은 뭐라고 했습니까?

 

기자) ‘노스스트림2’ 가스관 사업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다른 시각도 있다고 회동 후 기자들에게 말했는데요. 이 문제가 나토와는 관련이 없고, 독일 정부가 결정할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스톨텐베르크 총장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 “We are stronger than apart...."

기자) 이어서 나토의 단합을 강조했는데요. “우리는 함께 할 때 더욱 강하다”면서 미군과 캐나다, 유럽국가들의 군사력 공조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브뤼셀에서 내일(12일)까지 나토 정상회의가 진행되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브뤼셀 나토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영국 방문에 이어, 핀란드 헬싱키로 가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취임 후 첫 단독 회담을 하는데요. 어제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가는 전용 헬기에 오르기에 앞서 소감을 밝혔습니다. "나토 정상회의에 갔다가 영국으로 가는데, 영국은 지금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면서, 그리고 "푸틴 대통령을 만나는데, 푸틴 대통령을 만나는 게 가장 쉬운 일정이 될 것 같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말했습니다.

 

진행자) 나토 정상회의와 영국 방문은 어려운 일정이 될 걸로 예상한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나토 회원국들의 방위비 증액 문제 때문인데요. "나토는 그 동안 미국을 공정하게 대하지 않았다. 미국은 돈을 너무 많이 쓰고, 다른 회원국들은 너무 적게 쓴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지적했습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모든 회원국이 만족할 해법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진행자) 미국은 돈을 너무 많이 쓰고, 다른 나토 국가들은 너무 적게 쓴다. 어떤 배경에서 나온 말이죠?

 

기자) 나토 회원국들이 각자 국내총생산(GDP)의 2%씩 방위비에 할당하기로, 지난 2014년에 10년 목표를 제시했는데요. 지난해 기준으로, 이 약속을 충족하는 나라가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5개 나라밖에 안됩니다. 29개 나토 회원국 대다수의 방위비가 2%에 훨씬 못 미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 문제를 이번 정상회의 의제로 우선할 뜻을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 브뤼셀에 도착한 직후에도 이런 내용을 인터넷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진행자) ‘트위터’에 뭐라고 적었습니까?

 

기자) 미국이 지켜주고 있는 많은 나토 국가들이, 그나마 낮은 2%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뿐 아니라, 미국에 수년 동안 빚을 지고 있다고 적었습니다. 그들이 과연 그걸 갚을 것인가, 트럼프 대통령은 물었습니다.

 

진행자) 다른 회원국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압박에 조금 변화가 보입니다.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은 어제(10일) 정상회의 전야 연설에서 “올해 8개 나라가 2% 방위비를 기준을 넘길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미국과 영국 외에, 그리스, 폴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가 그 나라들입니다.

 

진행자) 나토 정상회의 이후, 영국 방문도 어려운 일정이 될 걸로 트럼프 대통령이 봤는데, 왜 그렇죠?

 

기자) 영국에서 지금 정치적 혼란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럽연합(EU) 탈퇴, ‘브렉시트(Brexit)’ 방식을 놓고 테레사 메이 총리와 야당 사이, 그리고 내각 안에서도 의견 충돌이 이어졌는데요. 결국 브렉시트 담당 장관과 외무장관이 잇따라 사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방문 직전 물러나게 된 보리스 존슨 전 영국 외무장관이 좋은 친구라며, 아쉬움을 표현했는데요. 영국 정치권에서 벌어지고 있는 관련 소식은 잠시 후 상세히 전해드리겠습니다.

 

 

 

테레사 메이 총리가 11일 벨기에 브뤼셀의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본부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 도착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마지막 소식입니다. 영국 야당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른바 브렉시트(BREXIT)를 놓고 국민투표 가능성을 제기했다는 소식이군요.

 

기자) 네, 내년 3월로 예정된 브렉시트 탈퇴 마감 시한을 놓고 지금 영국 정치권이 극심한 혼란상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야당인 노동당의 톰 왓슨 부대표가 10일, 만일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내놓은 브렉시트 안이 제대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면 새로 국민투표를 치러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해 주목되고 있습니다. 영국은 지난 2016년 6월, 영국의 EU 탈퇴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해 43년 만에 EU 탈퇴를 결정했는데요. 이후 지루한 협상 과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진행자) 테레사 메이 총리가 내놓은 합의안은 어떤 겁니까?

 

기자) 현재 메이 총리는 브렉시트 이후에도 EU와 관계를 유지하는 이른바 '소프트 브렉시트(Soft Brexit)'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즉 영국이 EU를 탈퇴하더라도 EU와 관세 동맹을 수립하거나, EU 규정에 맞는 자유무역 지대를 설치해 브렉시트 이후에도 EU 단일 시장 접근권을 확보하길 원하고 있고요. 또 사법 분쟁에 있어서도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을 최대한 존중하는 등 말 그대로 부드러운 EU 탈퇴를 추진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집권당 내부에서조차 반발이 심해 지금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습니다.

 

진행자) 그래서 주요 각료들이 줄줄이 사퇴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EU로부터의 완전 탈퇴를 의미하는 '하드 브렉시트(Hard Brexit)'를 추진했던 브렉시트부의 데이비드 데이비스 장관과 스티브 베이커 부장관이 8일 밤 사임 의사를 밝혔고요. 불과 몇 시간 만인 9일, 보리스 존슨 외무장관까지 사임을 선언하면서 지금 영국 정치권은 극도의 혼란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이들은 영국이 EU에 속박되지 않으려면 EU 단일 시장에서 완전히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습니다.

 

진행자) 브렉시트부면, 브렉시트 현안을 관장하는 주무 부처인데요. 주무 부처의 장· 차관이 한꺼번에 사임하고, 외무장관까지 사임하면 국정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그래서 테레사 메이 총리도 즉각 데이비스 장관의 후임으로 도미닉 랍 주택부 부장관을 임명하고, 보리스 외무장관 후임에는 제러미 헌트 보건 장관을 임명하며 빠르게 수습하고 나섰습니다. 10일 오전에는 개각 후 첫 각료회의도 주재했는데요. 하지만 당장 오는 12일부터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국을 첫 국빈 방문을 하는 일정이 기다리고 있는 등 어수선한 상황이라 메이 총리의 행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진행자) 테레사 메이 총리, 큰 정치적 고비를 맞는 것 같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집권 보수당 일각에서는 총리 교체론까지 나오는 상황인데요. 국민들의 여론도 메이 총리에게 더 이상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영국 '스카이뉴스(Sky News)'가 10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4%가량이 메이 총리의 브렉시트 협상 능력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요. 22%만이 최상의 결과를 도출해 낼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톰 왓슨 노동당 부대표는 지금으로서는 어떠한 합의안도 절대적 지지를 얻을 가능성이 없다며 국민투표만이 지금의 교착상태를 타개할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진행자) EU 측은 영국 국내의 이런 상황에 대해 어떤 반응을 내놓고 있습니까?

 

기자) 협상 시한이 촉박하다며 경고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습니다. 브렉시트 예정일은 내년 3월 29일이지만, 영국과 EU는 올해 10월까지는 최대한 협상안을 마무리 짓기로 했었는데요. EU 측은 영국 내 내분이 길어질 경우, 영국과 아무런 협상도 하지 않고, 브렉시트를 단행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왕이 王毅 (1953~)

중화인민공화국 제11대 외교부장

 

"중국은

자기 자신을 현대화해 나가는 길도

아직 멀다"

 

"때문에 우리는 미국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대신할 필요도 없다"

 

2018. 3. 8 양회 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 ·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

 

 

 

 

 

미국 동부 시간으로 오늘(6일) 새벽 0시 1분부터

  총 340억 달러 중국산 수입품에 신규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세율은 25%고요. 품목은 농사지을 때 쓰는 쟁기부터

항공기 부품, 화학제품, 반도체까지 818가지로 다양한데요.

대다수 세계 언론은 이 소식을 전하면서 'Trade War(무역전쟁)'라는 제목을 붙였습니다.

미국이 중국과 무역전쟁에 충성을 올렸다고 설명하는데요.

당분간 양국의 경제적 마찰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2018. 7. 7 VOA

 

 

 

 

 

지구촌 오늘

2018. 7. 12

박영서

오종수

 

 

미 고율관세에 중국 보복...'사린 테러' 교주 사형집행

 

 

 

6일 중국 베이징에서 미국 업체인 포드사의 차량이 보인다.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 입니다. 지금 이 시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미국이 오늘(6일)자로 총 340억 달러 중국산 수입품에 새로 관세를 매기기 시작했습니다. 또 앞으로 2주 안에 160억 달러를 추가해, 총 500억 달러 제품에 관세를 집행하는데요. 중국도 같은 규모 보복관세로 응수하고 했습니다. 23년 전 일본에서 ‘사린 가스’ 테러를 저지른 옴 진리교 교주 사형 집행 소식, 그리고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투력 저하를 걱정하고 있는, 기관지 ‘해방군보’ 보도, 이어서 짚어보겠습니다.

 

진행자)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새로운 관세를 발효시켰군요?

 

기자) 네. 미국 동부 시간으로 오늘(6일) 새벽 0시 1분부터 총 340억 달러 중국산 수입품에 신규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세율은 25%고요. 품목은 농사지을 때 쓰는 쟁기부터 항공기 부품, 화학제품, 반도체까지 818가지로 다양한데요. 대다수 세계 언론은 이 소식을 전하면서 ‘Trade War(무역전쟁)’라는 제목을 붙였습니다. 미국이 중국과 무역전쟁에 총성을 울렸다고 설명하는데요. 당분간 양국의 경제적 마찰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진행자) 미국이 총성을 울렸으면, 중국은 어떻게 대응했습니까?

 

기자) 같은 규모 관세로 맞받았습니다. 베이징 시간으로 오늘(6일) 낮 12시 1분, 그러니까 같은 시각에 보복 관세를 발효시켰는데요. 미국산 콩을 비롯한 농수산물과 자동차 등에 25%를 부과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어제(5일), “무역전쟁의 방아쇠를 먼저 당기지는 않겠다. 다만 미국이 공격하면 당하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복 조치를 공언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은, 미국이 먼저 공격했기 때문에, 정당하게 대응하는 거라는 말인가요?

 

기자) 맞습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을 비난하면서, 보복 조치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했는데요.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6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의 신규 관세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위반한, 잘못된 행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경제 규모 1, 2위인 미국과 중국의 대치는 “세계 경제회복을 저해하고, 기업과 소비자들에게도 손해를 끼칠 것”이라고 지적했는데요. “중국은 당연히 필요한 반격을 하는 것”이라면서, 앞으로 “WTO에 상황을 통보하고 세계 다른 나라들과 연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곧 추가 조치들이 이어진다고요?

 

기자) 네. 미국 정부는 곧 추가 관세를 집행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어제(5일) 기자들에게 “340억 달러어치에 먼저 관세를 부과하고, 160억 달러 상당에 2주 내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160억 달러 추가 관세는 총 284개 품목이 대상입니다. 중국은 미국이 이 조치를 실행할 경우, 똑같은 160억 달러, 114개 미국산 제품에 추가 보복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진행자) 관세를 매기고 보복하고, 다시 관세를 부과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주 안에 있을 추가 관세에 중국이 보복하면, 한 단계 높은 관세부과까지 예고했습니다. “유보하고 있는 2천억 달러어치가 있고, 3천억 달러어치가 더 남아있다”고 말했는데요. 중국이 다시 보복관세로 대응할 경우, 미국은 추가로 5천억 달러어치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진행자)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미국이나 중국이나,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요?

 

기자) 두 나라는 모두, 손해 보는 것은 상대방이라면서, 경제 체력을 자신하고 있습니다. 먼저 중국을 보면요. 수출 의존형에서 내수 중심으로 경제 기본 구조를 바꾸기 위해 최근 발 빠르게 움직이는 중이라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중국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궈수칭 은행·보험감독위원회 주석은 오늘(6일) 인민은행 기관지 인터뷰에서 “투자 유치와 수출에 의존하던 쪽에서 소비로 균형추를 잡는 단계로 중국의 경제 성장이 이미 전환됐다”고 설명했는데요. “이로 인해 (미국과) 무역마찰에 대응할 강한 내구력을 키운 상태”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미국 쪽에선 어떤가요?

 

기자) 미국 경제가 지금 워낙 좋은 상황이라서, 당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이 판단합니다. 관세 때문에 중국산 제품 가격이 오르더라도 소비가 눈에 띄게 줄지는 않을 것이고, 또 미국산 농산물, 자동차 수출에도 대안이 있을 것으로 보는데요. 하지만, 대치 상황이 너무 오래가면 좋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진행자) 대치 상황이 조만간 풀릴까요?

 

기자) 현재는 미-중간 고위급 협상이라든가, 대치상황을 풀려는 노력이 보이진 않고 있는데요. 오는 11월 예정된 미국 중간선거가 변수입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데이비드 달러 중국 석좌는, 중국과 무역 대치의 악영향이 쌓여, 내년쯤 본격적으로 미국 경제에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은 중국에 공세를 펴더라도, “중간선거 이후에는 (대치 상황을) 수습할 의지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2천억, 3천억 달러 추가관세를 강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6일 일본 도쿄 시내에서 신문사 직원이 옴진리교 교주 아사하라 쇼코의 사형집행 소식이 1면에 난 신문을 시민들에게 건네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듣고 계십니다. 일본 정부가 오래된 독가스 테러 사건 주범을 사형 집행했다고요?

 

기자) 네. 지난 1995년 초 도쿄 도심 지하철역에 ‘사린가스’를 퍼뜨려 사망자 13명, 부상자 6천여 명을 발생시킨 옴진리교 교주 아사하라 쇼코 등의 사형을 오늘(6일) 일본 법무성이 집행했습니다. 이 단체 간부 6명도 함께 사형이 집행됐는데요. 일본 경찰은 옴진리교 잔존 세력의 보복 테러 등에 대비해 경계 태세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진행자) 사망자 13명에 부상자가 6천여 명이나 나온 사건인데, 어떤 일이었는지 먼저 짚어보죠.

 

기자) 23년 전에, 일본뿐 아니라 온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건이었습니다. 주요 정부 기관들이 모여있는 도쿄 지하철 가스미가세키 역에서 출근 시간에, 인체에 치명적인 독가스의 일종인 사린가스가 살포됐는데요. 대규모 테러가 드물고 치안이 비교적 잘 돼있는 일본에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독가스 공격이 벌어졌다는 점에서 충격이 이어졌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알려진 테러집단이 아니라, 종교단체가 벌인 일이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사건을 벌인 것으로 드러난 옴진리교는 앞서, 비판적인 변호사 가족을 살해한 뒤 암매장하고, 불리한 소송을 담당한 판사를 해칠 목적으로 사린가스를 살포하는 등 엽기적인 행각을 지속했는데요. 이런 사건들에 경찰이 본격 수사에 나서자, 관심을 돌리려고 지하철에 가스를 퍼뜨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진행자) 옴진리교가 어떤 종교단체인가요?

 

기자) 신비 체험 같은 걸 강조하는 모임인데요. 교주 아사하라가 1984년 도쿄 시부야에 개설한 ‘옴신선회’라는 요가 수련장에서 시작됐습니다. 1987년 ‘옴진리교’로 이름을 바꾸고 종교기관으로 정식 등록했는데요. 초능력 등을 홍보하면서 청년층을 중심으로 신자가 빠르게 늘었습니다. 신자가 되면 재산을 모두 교단에 바치고 공동 생활하도록 했는데요. ‘최후의 전쟁’이 다가오고 있다면서, 자체 무장을 추진했고요. 이 과정에 사린가스를 제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진행자) 잔존세력이 있다고 하셨는데, 일본 당국이 옴진리교를 그대로 놔둔 겁니까?

 

기자) 해체시켰습니다. 지하철 테러 직후 도쿄법원이 종교단체 해산명령을 내렸는데요. 하지만, 이후에 ‘알레프’로 이름을 바꿨고요. ‘히카리 노 와’라는 파생단체까지 생겼습니다. 이 두 단체에 꾸준히 모이는 신자 수가 아직도 1천5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1995년 일어난 사건에 이제서야 형이 집행된 이유는 뭔가요?

 

기자) 먼저, 사형을 선고하더라도 형은 집행하지 않는 세계적 추세와도 관련이 있고요. 재판 과정이 길어진 탓도 있습니다. 교주 아사하라는 자신이 “일본의 왕이 될 인물”이라고 주장하면서, 법정 진술 도중에 갑자기 영어로 말하고, 재판정에서 조는 등 이상한 행동으로 공판을 지연시켰는데요. 사형을 선고한 1심 판결이 2004년 초에야 나왔습니다. 사건 이후 9년 가까이 걸린 건데요. 이 때문에 일본 사법제도 전반에 불신이 높아지기도 했습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2006년 아사하라 교주와 일행의 사형을 확정했는데요. 그 뒤로 재심 청구가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중국령 홍콩의 군 기지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훈련을 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한 가지 소식 더 보겠습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세계 최대 병력을 자랑하는 군대인데요. 하지만 군인들 사이에 이른바 ‘평화병(Peace Disease)’이 만연해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네, 중국은 지난 1979년 베트남과 마지막으로 전쟁을 치른 후 평화 시기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 때문에 중국 군인들 사이에 이른바 '평화병'이 만연해 전투력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중국 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군보’가 비판했습니다. 해방군보는 이번 주(2일)사설에서, 지난 수십 년 동안 평화병은 인민해방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었다면서, 이를 없애기 위해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인민해방군의 전투 능력에 막대한 손해를 끼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진행자) 평화병, 좀 의아한 병명이긴 한데 그러니까 실전 경험이 없어서 이런 병에 걸렸다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군인으로서 강인한 정신력과 체력을 갖추지 못하고 심신이 미약하다는 비판까지 받고 있는데요. 중국 정부가 오랫동안 유지해온 산아제한 정책에서 그 이유를 찾는 전문가들도 있습니다.

 

진행자) 산아제한정책이라면 1가구 1자녀 정책을 말하는 건가요?

 

기자) 맞습니다.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인 중국은 지난 30여 년간 '1가구 1자녀' 정책을 유지해왔는데요. 그러다 보니 부모들이 하나밖에 없는 자녀들을 과보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은 210만 명 이상, 세계 최대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이 중 70%가 1자녀 가구 출신입니다. 그래서 강도 높은 훈련을 견디지 못해 눈물을 흘리거나 포기하는 군인도 속출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미군은 2017년 기준 130만 명입니다.

 

진행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인민해방군의 전투 능력 강화를 주문하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인민해방군이 수십 년간 전투 경험이 없어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전투력 강화를 요구하고 나섰고요. 2035년까지 군을 현대화하고, 2050년까지 세계 수준의 군대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군의 축소와 훈련을 강조하는 군 개혁에 착수했습니다.

 

진행자) 일각에서는 군대의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신호탄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네, 지난해 중국 인민 해방군 소속 장교들이 군사훈련을 제대로 하지 않고, 보고서를 위조하는 행위가 성행하고 있다는 게 드러나 큰 문제가 됐는데요. 이에 따라 중국 중앙군사위원회가 각 부대가 제대로 훈련을 실시하는지 감시하는 감독관을 파견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진핑 중국 주석은 중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부정부패 근절을 국가 최우선 정책의 하나로 삼고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는데요. 이제 군의 부패 척결로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진행자) 중국 군대의 부패 정도가 심각한가요?

 

기자) 해방군보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적어도 1만3천 명의 군 장교가 처벌을 받았는데요. 한 중국 인민해방군 퇴역 대령은 이제 중국 공산당은 큰 호랑이를 잡는 단계에서 누락 방지 단계로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고위급 장성부터 하급 장교에 이르기까지 빠뜨리는 대상 없이 부패를 척결하겠다는 각오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진행자) 시 주석이 전에 군의 절대적 복종을 강조한 적도 있죠?

 

기자) 네, 시 주석은 지난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건군 90주년 기념 경축대회에서 "인민해방군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당의 깃발 아래에서 당의 방향과 의지대로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또 최근 군의 영리 행위를 금지했는데요. 일각에서는 이런 일련의 움직임과 관련해 시진핑 주석 중심의 권력 집중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같은 규모 관세로 맞받았습니다.

베이징 시간으로 오늘(6일) 낮 12시 1분,

그러니까 같은 시각에 보복 관세를 발효시켰는데요.

  미국산 콩을 비롯한 농수산물과 자동차 등에 25%를 부과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어제(5일), “무역전쟁의 방아쇠를 먼저 당기지는 않겠다.

다만 미국이 공격하면 당하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복 조치를 공언했습니다.

 

2018. 7. 7 VOA

 

 

 

 

Bretton Woods system, BWS

브레튼우즈 체제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에 따라 구축된 국제 통화 체제로

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인 1944년 미국 뉴햄프셔 주 브레튼 우즈에서 열린

44개국이 참가한 연합국 통화 금융 회의에서 탄생되었다.

이 협정을 브레튼 우즈 협정이라 부른다.

 

 

 

 

'수출입국'

 

 

 

 

Time To Get Tough

Donald J. Trump

 

 

 

 

  "워싱턴 정치가들이 아무리 달콤한 말들을 해도  

  중국 지도자들은 미국의 친구가 아니다"  

 

 

 

 

 

 

 

 

I'm going to bring

the jobs back

from China.

 

 

 

 

산업혁명 (産業 革命, Industrial Revolution)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약 1760년에서 1820년 사이에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새로운 제조 공장(manafacturing process)의로의 전환,

이로 인해 일어난 사회, 경제 등의 큰 변화를 일컫는다

 

 

 

 

"Let's Trade Not War!"

 

 

 

 

"Beggar Thy Neighbor (이웃 나라를 거지로 만들기) 정책'

 

 

 

 

 

 

 

 

U.S. Trade Deficit Hits 19-Month Low Due to Record-High Exports

 

 

 

by JOSHUA CAPLAN | 6 Jul 2018

 

 

The United States trade deficit dropped in May to the lowest level in 19 months as exports rose to a record level.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nounced the May trade deficit — the difference between what America sells and what it buys in foreign markets — decreased 6.6 percent to $43.1 billion — the smallest imbalance since October 2016.

Exports climbed 1.9 percent to a record $215.3 billion.

Imports were up a smaller 0.4 percent to $258.4 billion.

 

The Trump administration followed through with imposing tariffs on $34 billion in Chinese products on Friday. China retaliated in kind, starting what Beijing described as the “biggest trade war in economic history.”

American employers kept up a strong hiring pace in June by adding 213,000 jobs in a sign of confidence of President Donald Trump’s economic policies.

The Department of Labor announced Friday that the unemployment rate rose to 4.0 percent from 3.8 percent as more people began looking for work and not all of them found it.

On the same day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began imposing tariffs on $34 billion in Chinese imports and China retaliated with their own tariffs, the job gain showed that the 9-year U.S. economic expansion — the second longest on record — remains on solid ground.

Average hourly pay rose just 2.7 percent from a year earlier. The low jobless rate has yet to force employers to offer higher wages in order to fill job openings.

The broader U.S. economy appears to be on sturdy ground. Economists are forecasting that economic growth accelerated to an annual pace of roughly 4 percent during the April-June quarter, about double the previous quarter’s pace.

 

BREITBART 2018. 7. 6

 

 

 

 

 

 

 

 

 

 

 

 

U.S. added 213,000 jobs in June, beating expectations

Trump's twitter feed had no sneak peeks this time.

 

 

---- Job applicants at a job fair in Sunrise, Florida, on June 21, 2018.Lynne Sladky / AP

 

 

July 6, 2018, 9:34 PM KST / Updated July 6, 2018, 9:37 PM KST

By Ben Popken

 

 

President Donald Trump may have been "looking forward" to Friday morning's jobs report, but this time he didn't seem to tweet out any hints about its performance as the U.S. economy continued to tick upward with growth in jobs and wages in June.

Total nonfarm payroll employment increased to 213,000 jobs in June, the 93rd straight month the number has gone up, the longest recorded streak. It was also higher than the expected gain of 195,000 jobs.

The unemployment rate rose slightly to 4 percent, above the expected 3.8 percent, mainly due to 600,000 Americans entering the workforce.

 

Employment increased in several industries, including health car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hough retail trade lost jobs. Wage growth accelerated in June to 2.7 percent annually.

 

Last month critics slammed Trump for appearing to hint at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jobs report before it was officially posted when he tweeted, "Looking forward to seeing the employment numbers at 8:30 this morning." That sent bond yields and the value of the dollar higher ahead of the report.

This time around his latest tweet was 12 hours prior to the release, praising Republican leadership and America's global standing.

 

nbcnews 2018. 7. 6

 

 

 

 

 

 

 

ECONOMY

U.S. Economic Strength Gives Trump Leeway in Trade Fight With China

Tariffs tend to be economic downers, but so far it is tough to argue China fight is having a broad macroeconomic impact

 

Container ships wait to be unloaded at the Port of Oakland on Monday. The Trump administration on Friday began imposing tariffs on $34 billion in Chinese imports.

PHOTO: BEN MARGOT/ASSOCIATED PRESS

 

 

By Bob Davis

July 6, 2018 4:28 pm ET

 

 

WASHINGTON—The U.S. economy’s strength is emboldening the Trump administration to play hardball in its trade offensive against China.

Tariffs tend to be economic downers with an impact like sales taxes, which push up costs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and slow growth. But so far it is tough to argue that the spat with China is having a broad macroeconomic impact.

 

Economic output in the second quarter is estimated by many economists to have expanded at a 4% annual rate or more, roughly twice the pace of the nine-year-old expansion. The jobless rate, meantime, is near lows last seen during the internet boom in 2000, and wages and incomes are rising modestly. That gives President Donald Trump's administration what it sees as leeway to hit China with-out worrying as much about blow back from U.S. households or businesses caught in the crosshairs.

 

WSJ 2018. 7. 6

 

 

 

'전략 문화 (strategic culture)'

 

 

 

 

The Rise of China Vs. the Logic of Strategy

                                                               - Edward N. Luttwak

 

 

 

 

 

"I have confidence that Kim Jong Un will honor

the contract we signed &, even more importantly, our handshake.

We agreed to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China, on the other hand, may be exerting negative pressure on a deal

because of our posture on Chinese Trade-Hope Not!"

 

@Donald J. Trump 2018. 7. 9

 

 

 

 

 

물론 미국은

국이 아시아에서의 패권국(覇權國)이 되는 것을

저지하려 할 것입니다.

미국은 세계 무대에서

미국에 근접한 도전국(挑戰國)의 존재를 용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결국 중국과 미국 사이에는

냉전 당시 미국과 소련의 관계와 유사한

심각한 안보경쟁이 야기될 것입니다.

                                        ❞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존 J. 미어셰이머 지음 / 이춘근 옮김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John J. Mearsheimer

 

 

 

 

 

 

 

 

 

WORLD

Trump Roils NATO Allies With Calls to Double Military Spending

U.S. leader urges allies to double target to 4% while questioning the alliance’s value and bashing Germany for its support of a Russia gas deal

 

 

 

 

https://www.wsj.com/articles/trump-calls-for-allies-to-increase-defense-spending-at-start-of-nato-summit-1531297516#:~:text=What%20to%20Expect%20From%20NATO%27s,From%20NATO%27s%20Summit%20in%20Brussels

 

Trump Roils NATO Allies With Calls to Double Military Spending

President Donald Trump pressured allies at the NATO summit Wednesday to double the defense spending target to 4% of gross domestic product, while bashing Germany for its military spending and support for a major gas deal with Russia.

www.wsj.com

The NATO summit in Brussels will take place amid tense relationships within the alliance. The Wall Street Journal's Gerald F. Seib looks at what to expect. Photo: Getty

 

 

By Rebecca Ballhaus, Valentina Pop and Laurence Norman

Updated July 11, 2018 6:50 pm ET

 

 

BRUSSELS—President Donald Trump pressed allies to double their military spending target to 4% of GDP, while questioning NATO’s value and bashing Germany for supporting a gas deal with Russia.

After attacking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leaders for months for not meeting a 2% spending target, Mr. Trump said on Wednesday that amount was too low.

 

WSJ 2018. 7. 11

 

 

 

https://www.youtube.com/watch?v=GKdzq2y47_8 

 

728x90